M039 대화구폭약
[image]
2013년 미국 아칸소 주 포트 채피(Fort Chaffee) 훈련장에서 M039를 설치 중인 미 육군 제3보병사단 소속 부대원의 모습
M039는 미군의 제식 화구생성용 폭약이다.
[image]
최소 1941년의 제 2차 세계대전 시점에 사용된 듀폰 사의 43 파운드형(19.5kg)에 유래를 두고 있으며, 이후의 베트남 전쟁을 거쳐 1987년에 국가재고번호(NSN) 1375-01-250-6029가 부여된 40 파운드형(18.1kg)이 현재 미군의 표준 화구생성용(Cratering) 폭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image]
원기둥 모양의 M18A2 보관통 내부에는 어뢰 또는 대형항공폭탄 등의 장약인 H6형 복합주폭약 17.7kg과 A5형 전폭약 0.2kg이 충전되는데, 이를 점화할 신관#s-2 자체가 없으므로 블록 모양을 한 M112 C4형 복합고폭약 2개를 상단에 부착한 뒤 이를 기폭시키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2013년 미국 아칸소 주 포트 채피(Fort Chaffee) 훈련장에서 M039를 설치 중인 미 육군 제3보병사단 소속 부대원의 모습
1. 개요
M039는 미군의 제식 화구생성용 폭약이다.
2. 상세
2.1. 역사
[image]
최소 1941년의 제 2차 세계대전 시점에 사용된 듀폰 사의 43 파운드형(19.5kg)에 유래를 두고 있으며, 이후의 베트남 전쟁을 거쳐 1987년에 국가재고번호(NSN) 1375-01-250-6029가 부여된 40 파운드형(18.1kg)이 현재 미군의 표준 화구생성용(Cratering) 폭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2.2. 특징
[image]
원기둥 모양의 M18A2 보관통 내부에는 어뢰 또는 대형항공폭탄 등의 장약인 H6형 복합주폭약 17.7kg과 A5형 전폭약 0.2kg이 충전되는데, 이를 점화할 신관#s-2 자체가 없으므로 블록 모양을 한 M112 C4형 복합고폭약 2개를 상단에 부착한 뒤 이를 기폭시키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3. 출처
4. 등장매체
4.1. 게임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image]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 - 과거 시점의 알렉스 메이슨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사용한다.
-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