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관

 


1. 개요
2. 역사
3. 신관을 지낸 인물
4. 창작물
4.1. 신관이 직업인 캐릭터


1. 개요


'''신관'''('''''')은 을 모시거나 신탁을 사람들한테 알리는 직업을 말한다.
비슷한 직업으로 성직자가 있지만 신관은 정의상 성직자와 다른 개념이다. 벼슬 官자가 나타내듯이 신관은 관직, 혹은 공적인 직업으로서의 입장이 강조되는 것이고, 성직자는 특정 교단에서 자격을 받은 종교인이다. 쉽게 말하자면 신관은 종교 분야에 종사하는 국가공무원, 성직자는 사설 단체의 자격증 소지자라고 할 수 있다. 영어 'pontiff'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고대 로마 제국의 국가 사제를 의미하던 'pontifex'.
신관과 성직자(사제)는 둘 다 종교와 관련된 직업이기에 여러모로 비슷한 느낌이 나는지라, 서브컬쳐에선 신관과 사제의 용어를 혼동해서 사용하는 설정충돌이 매우 잦은 편이다. 하지만 '''신관과 성직자(사제)는 둘 다 엄연히 별개의 직업이다.'''
신관이라는 직업이 있으려면 국교가 존재하거나, 혹은 그에 준하는 중앙권력기구의 공인이 있어야 한다. 반대로 조직화된 교단이 없는 무당과 같은 경우도 국가의 인정이 있다면 신관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삼한에 존재했던 소도(蘇途)를 떠올려보면 된다. 물론 이 두 가지는 병존 가능한 개념으로, 현대에도 존재하는 쉬운 예를 들자면 로마 교황가톨릭이라는 종교의 최고 성직자이며 동시에 바티칸이라는 실체화된 국가의 최고 신관(폰티펙스 막시무스)이다. 반면, 제정분리 원칙이 자리잡은 현대 세속국가의 성직자는 종교 집회를 주관하는 전문가이기는 하지만, 보통은 국가가 그 성직자에게 종교 의례를 주관하는 관직을 주지 않기 때문에 신관이라 부를 수는 없다.
본 문서에는 서양 개념 '폰티펙스'(Pontifex)의 번역어로서의 신관과 일반 한자(漢字) 조어로서의 신관, 일본 신토에서의 신관이 섞여있으므로 유의 바람. 밀접한 공통점이 있지만 엠페러(Emperor)와 황제(皇帝)가 다르듯 상세한 범 문화적 이해를 요구하는 까다로운 단어다.

2. 역사


종교가 발생한 고대 시대에서부터 존재하였으며 신의 권위를 빌어 예언을 알리는 등의 역할을 했다. 신의 은총을 향한 민중으로부터의 경외감은, 곧 종교가 왕에 필적할 만큼의 세속화된 권력을 누리게 되는 근원이 된다. 이러한 종교권력은 종종 제정일치화되는데, 유대 왕국이나 부여의 왕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총 책임자였고, 로마 공화국 당시 별도의 직책이던 폰티펙스 막시무스로마 제국 성립 이후 로마 황제 칭호 중의 하나로 흡수된 것이 그 예. 서로마 제국의 후신을 칭한 신성 로마 제국에서 역대 황제들이 가톨릭의 수호자 칭호를 쓴 것 또한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게 아니면 세속권력과 끊임없는 타협과 투쟁을 낳게 되는데, 한 예로 중세 유럽을 스펙타클하게 만드는 일련의 사건들이 바로 이 왕권과 신권의 대립이다. 세계사 시간을 흥미롭게 만드는 신성 로마 제국, 십자군 원정, 카노사의 굴욕, 아비뇽 유수가 대표적.

3. 신관을 지낸 인물



4. 창작물


왠지 모르게 무능하거나 흑막인 경우가 많아 안 좋은 대접을 받고 있다. 300이라든가...
성기사를 대신하는 단어로 신관전사라는 말을 쓰기도 하는데, 위의 설명처럼 의미가 딱 일치하지는 않는다. 군종장교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4.1. 신관이 직업인 캐릭터



[1] 1947년부터 다이쇼 덴노의 직계 자손들을 제외한 모든 방계 황족들과 화족들이 평민으로 전락함.[2] 오가사와라 사야코릴리안 여학원 고등부 3학년 때, 호리베 미키라는 발음만 듣고서 추론해낸 것들.[3] ...좀 그렇지만 신관은 신관이다. [4] 신관이라고 표현했지만 사실 댈람의 최고회의격인 신관회의 최고위자를 뜻하는 명칭이다. 원문도 Hierach. 프로토스 자체가 젤나가를 신 취급하며 모시긴 한다만 이쪽은 신을 모시는 지위라기보단 총사령관이나 통수권자의 느낌이 강하다. 현대로 치면 연방 대통령이나 다름 없는 직위 실제로 hierarch라는 단어에는 '고관', '유력자'라는 뜻도 있으며, '신관회' 로 번역되는 hierarchy에도 ‘(큰 조직의)지배층(고위층)’이라는 뜻이 있고 예전 왕국이나 제국의 관료제를 가리킬 때 많이 쓰인다. 즉 결과적으로 볼 때 논란성이 짙은 의역이다. 그래도 공허의 유산이 알려진 덕분에 일반적으로 신관이라 칭하면 아르타니스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중국어는 종교적 색채가 더 심해서 大主敎로 번역해 놓았다(...)[5] TRY 애니 한정[6] 여기에서는 신관 모드만 등장.[7] 정확히는 대신관이라고 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