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cket Man
[clearfix]
1. 개요
엘튼 존의 1972년 정규 5집 Honky Château의 5번 트랙이며, Your Song과 더불어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대표곡이다.
2. 상세
절-코러스 구성을 가진 전형적인 팝 발라드에 우주적인 분위기가 함께 공존하는 곡으로, 데이비드 헨첼이 연주한 ARP 신시사이저 연주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엘튼 존 밴드의 기타리스트 데이비 존스턴의 슬라이드 기타 연주로 특유의 몽환적인 분위기를 이끄는데 크게 한몫한다.
가사는 화성으로 떠나는 우주비행사가 사랑하는 가족 곁을 떠나면서 느끼는 복잡한 심경을 묘사했다. 우주에 관한 환상을 품으면서도 소외의 은유로 활용했는데, 이는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유년기 시절 우주여행에 대한 환상과 동시에 SF 문학의 거장으로 추앙받는 작가 레이 브래드버리의 1951년 출간된 책 〈The Rocket Man〉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1] 미국의 사이키델릭 록 밴드 펄스 비포어 스와인(Pearls Before Swine)이 레이 브래드버리의 책에서 영감을 받아 똑같은 제목인 "Rocket Man"을 썼고 1970년에 발표한 적 있다.[2] 펄스 비포어 스와인 곡은 우주비행사를 아버지로 둔 자식의 심정을 어머니와의 교감에서 느끼는 내용을 담았다.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해당 곡에 대해 알고 있지만 참고하며 쓰지는 않았다고 밝혔다.[3]
데이비드 보위의 1969년 곡 Space Oddity에서 영감을 받은 곡이라는 주장이 있지만 버니 토핀은 2016년에 이를 부정했으며, 레이 브래드버리의 책에서 영감을 받으며 쓴 곡이라고 밝혔다.[4] 공교롭게도 "Space Oddity"에서 프로듀싱과 편곡은 엘튼 존의 1970년대 작품들에 참여한 프로듀서 거스 더전, 편곡자 폴 벅마스터가 맡았다. 데이비드 보위는 공연에서 "Space Oddity"를 부르다가 "오, 로켓맨!"이라고 외친 적도 있다고 한다.[5]
엘튼 존은 1973년에 이 곡에서 이름을 따와 음반사 로켓 레코드 컴퍼니(The Rocket Company)을 설립했다. 이 음반사로 통해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닐 세다카가 1975년 빌보드 핫 100 1위 히트곡 "Laughter In The Rain"을 비롯한 재기 음반들을 내며 1960년대의 긴 침체를 단숨에 날려버리는 등 엘튼 존과 친분 있는 뮤지션들이 로켓에서 음반을 냈다. 1976년 히트곡 Don't Go Breaking My Heart의 듀엣 가수 키키 디도 로켓 소속이었다.
2016년 12월, 엘튼 존과 버니 토핀 협업 50주년 기념으로 진행한 <Elton John: The Cut> 뮤직비디오 이벤트에 Tiny Dancer, Bennie And The Jets, "Rocket Man"이 뮤직비디오 대상 곡이었다. 최종적으로 선발된 "Rocket Man" 뮤직비디오는 가족을 두고 떠난 난민의 심리를 우주비행사로 비유하며 묘사했다.[6]
2004년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242위, 2010년 개정판 245위에 선정되었다.
3. 배경
1971년 정규 4집 Madman Across The Water가 차트에 오를 무렵, 버니 토핀은 한밤중에 차를 몰면서 영국 링컨셔의 부모 집으로 가다가 하늘에 무수하게 떠 있던 유성들을 보고 새로운 노래의 첫 줄을 생각해냈다. 머릿속에 떠올라 잊어버리지 않으려고 속으로 반복하며 집에 들어간 다음, 첫 두 행을 재빨리 적었다. 그것이 바로 가사의 첫 구절 "She packed my bags last night, pre-flight. Zero hour, 9 a.m., and I'm gonna be high as a kite by then."이다.[7][8]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1972년 1월 초, 프랑스 에루빌에서 Honky Château를 작업했을 때 완전한 가사를 작사했다. 당시 버니 토핀이 저녁 식사를 마치고 방으로 올라가 가사를 쓰고 다음 날, 종이 몇 장을 들고 내려와 엘튼 존에게 주었다. 엘튼 존은 가사를 살펴보면서 크게 마음에 드는 가사가 있으면 피아노로 가서 바로 곡을 작곡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이 곡이다. 곡에서 ARP 신시사이저를 연주한 켄 스콧은 엘튼 존이 이 곡을 10분 만에 작곡하는 걸 봤다고 회고했다.[9]
4. 발매
1972년 3월 3일 앨범의 리드 싱글로 발매되며 미국 빌보드 핫 100 6위, 캐나다 8위, 영국 2위, 아일랜드 6위, 독일 18위, 이탈리아 6위, 호주 13위, 뉴질랜드 11위 등 세계 각지에서 싱글 차트 10~20위권 진입에 성공했다. 원래는 이 곡이 아니라 같은 앨범 수록곡 Salvation을 리드 싱글로 발매할 예정이었다고 한다.[10] 미국에서 3백만 장 이상의 판매를 거두며 RIAA(미국 레코드 산업 협회) 기준 플래티넘 3장을 기록했다.[11]
1970년 10월 발매된 첫 히트곡 Your Song 이후로 발매된 싱글들 중에서 가장 뚜렷한 성공을 보인 첫 곡이며, 곧 엘튼 존의 최대 인기 곡들 중 하나가 되었다. Captain Fantastic과 더불어 엘튼 존의 대표적인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싱글 발매 얼마 뒤, 엘튼 존은 NASA로부터 초대받아 텍사스주 휴스턴의 존슨 우주 센터에 방문했다.[12] 2011년 7월 13일, 엘튼 존은 아틀란티스 우주왕복선의 마지막 임무 STS-135 6일째 되는 날에 이 곡을 부르며 승무원들에게 격려의 말을 꺼냈다.[13]
2012년 4월, ISS에서 근무하는 우주인 안드레 쿠니퍼스가 이 곡이 우주에서 울려 퍼지게 했는데, 이는 "Rocket Man" 40주년을 기념한 깜짝 이벤트였다. 이에 무척 감격스러워한 엘튼 존은 답례를 안 할 수 없다면서 2012년 4월 12일,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한 〈The Million Dollar Piano〉 공연에서 부른 "Rocket Man"을 녹음한 뒤 안드레 쿠니퍼스가 속한 유럽우주기구에 선물했다고 소개했다.[14]
5. 참여자
- 보컬, 작곡, 피아노 - 엘튼 존
- 작사 - 버니 토핀
- 어쿠스틱 기타, 슬라이드 기타, 백 보컬 - 데이비 존스턴
- 베이스, 백 보컬 - 디 머리
- 드럼, 백 보컬 - 나이절 올슨
- ARP 신시사이저 - 데이비드 헨첼
- 프로듀싱 - 거스 더전
6. 매체에서
- 엘튼 존의 대표곡 중 하나이다 보니 수많은 커버곡들이 존재한다. 스타 트렉의 커크 선장으로 유명한 캐나다 배우 윌리엄 샤트너가 1978년 제5회 새턴상 시상식에서 진지하면서 유쾌하게 낭송한 버전이 유명하다. 버니 토핀이 당시 윌리엄 샤트너 공연 소개를 맡기도 했다.[15] 이 낭송은 패밀리 가이에서 패러디되었다.[16]
- 케이트 부시가 이 곡을 1991년에 커버했다. 이 커버곡은 1991년 발매된 엘튼 존과 버니 토핀 헌정 앨범 Two Rooms에 수록되었다. 케이트 부시의 커버곡은 1991년 11월 25일 싱글로 발매되어 영국 12위, 호주 2위 등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17]
- 1996년 영화 더 록에서 니콜라스 케이지가 적을 제압할 때 써먹었다. 적에게 엘튼 존의 로켓맨을 들어 본 적 있는가라고 하자 그런 음악은 질색이라고 하지만, 그 말의 의도는 적에게 직접 로켓을 발사한다는 뜻이었다. 결국 적은 다른 의미로 진정한 로켓맨이 된다.
- 제이슨 므라즈가 이 곡을 2005년에 커버했다. 제이슨 므라즈는 이 곡을 2005년 정규 2집 《Mr. A-Z》를 작업하면서 어쿠스틱 데모로 녹음했다. 이 데모 곡은 《Mr. A-Z》 아이튠즈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18]
- 코미디 밴드 Ninja Sex Party가 이 곡을 2017년에 커버했다.[19]
- 2017년 CGV의 삼성 VR 광고에 삽입되었다 [20]
7. 가사
She packed my bags last night, pre-flight
그녀는 비행 전날인 어젯밤 내 짐을 꾸렸어
Zero hour, nine a.m. And I'm gonna be high as a kite by then
로켓 발사는 아침 9시, 그리고 난 연처럼 떠올라 있을 거야
I miss the earth so much, I miss my wife
지구가 몹시 그립고, 아내가 보고 싶겠지
It's lonely out in space On such a timeless flight
도착 시간도 정해지지 않은 비행일테고, 우주는 외롭겠지
And I think it's gonna be a long, long time
내 생각엔 오랜 시간이 될 것 같아
Till touch down brings me 'round again to find
다시 집으로 돌아와 사람들이 생각하는
I'm not the man they think I am at home
내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될 때까진 말이야
Oh, no, no, no, I'm a rocket man
절대 아니지, 나는 로켓맨이야
Rocket man burning out his fuse up here alone
이 위에서 홀로 퓨즈를 다 태워 없애는 로켓맨이지
Mars ain't the kind of place to raise your kids
화성은 애들을 키울 곳은 아니야
In fact, it's cold as Hell
사실, 지옥처럼 추워
And there's no one there to raise them if you did
그렇게 하려 해도 애들을 키울 사람은 아무도 없지
And all this science I don't understand
이 과학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겠어
It's just my job five days a week
난 그저 일주일에 5일만 일하면 되지
A rocket man, a rocket man
로켓맨, 로켓맨
8. 라이브
1972년부터 꾸준히 불렀다. 1980년대부터 즉흥 연주를 덧붙여 12~15분 정도 길게 연주했다.[22]
- 1972년 2월 5일 런던 로열 페스티벌 홀 라이브
- 1974년 12월 24일 영국 런던 해머스미스 오데온 극장 라이브
- 1976년 9월 17일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라이브
- 1977년 11월 3일 웸블리 아레나 라이브
- 1979년 5월 25-27일 경 러시아 모스코 라이브
- 1984년 6월 30일 웸블리 스타디움 라이브
- 1985년 7월 13일 라이브 에이드
- 1986년 12월 14일 호주 시드니 라이브
- 1995년 11월 25일 브라질 리오 라이브
- 1998년 8월 13일 미국 새크라맨토 라이브
- 1999년 10월 16일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 라이브
- 2000년 10월 21일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 라이브
- 2001년 7월 17일 터키 에베소 라이브
- 2007년 3월 25일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 라이브
- 2009년 10월 2일 프랑스 파리 라이브
- 2013년 2월 28일 칠레 비나델마르 라이브
- 2016년 9월 11일 런던 하이드 파크 라이브
- 2018년 10월 13일 미국 디트로이트 라이브
- 2019년 5월 16일 제72회 칸 영화제 "엘튼 존/태런 에저튼" 라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