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7

 



[image]
[image]
1. 개요
2. 제원
3. 상세
4. 파생형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1. 개요



'''Boeing T-7A Red Hawk'''
T-7A 레드호크는 보잉사브가 공동개발한 미국 공군의 차기 고등 훈련기다. T-38을 대체하는 T-X 프로그램에서 록히드마틴KAIT-50A와의 경합을 거쳐 선정되었다. 선정 이전에는 임시로 보잉 T-X 혹은 BT-X라고 불렸으나 이후 2019년 9월에 해당 제식명을 공식 부여받았다. 미국 공군용으로 351대(최대 475대)가 생산될 예정이다.

2. 제원


비공식 제원표는 인터넷에 올라온 상태이며, 공식 제원표는 아직인 것으로 보인다.

3. 상세


하드웨어 성능보다는 가격을 중시한 개발 목표를 가졌다. 보잉의 생산 능력과 여객기 사업에서 파생된 최신 공정, 사브의 설계 간소화 기술과 원가절감 노하우가 발휘되었다. 미국 정부가 추산한 예상 총 사업비 163억 달러의 약 56% 밖에 안 되는 92억 달러의 가격으로 T-50A를 제치고 수주에 성공했다.
스마트폰처럼 앱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최신 환경에 따라 수월하게 업데이트하거나 최적화할 수 있다. 지상 시설과의 데이터링크를 통해 비행 중 실시간으로 모의 전투 시뮬레이션을 내려받는 기능이 있다. 그리펜 전투기처럼 몇 가지 공구만으로 간단하고 빠르게 분해, 정비가 가능하다고.#
2022년까지 개발 완료 후 2023년에 저율 생산에 들어가 2024년에 IOC를 획득할 예정이다.
미 공군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최초로 흑인으로 구성된 미 육군 항공부대 제332전투비행대 '터스키기 에어맨'의 용맹함을 기리기 위해 차세대 고등훈련기 꼬리 날개를 붉은색으로 도색하고 레드호크라는 공식 애칭을 붙였다.
2019년 11월 19일 T-7A가 저고도 고속 비행 테스트에 성공했다. T-7A는 45.7 미터 고도에서 901km(560 mph) 속도의 고속 비행을 했다.
배치시기가 2024년인데 이는 미 공군의 낡아빠진 T-38 훈련기가 도저히 버틸 수가 없는 시기다. 4+a 년 이나 되는 훈련공백을 우려하고 있다고. 여기에는 보잉이 입찰을 미루어, 미의회가 T-X 프로그램을 지연시켰던 사정이 있다. 다만 단순하게 '''보잉 봐주기'''라고 여길 수는 없다. 경합 없이 단독으로 록히드-KAI의 T-50A를 채택했다면, 가격이나 옵션 요청 등에서 큰 손해를 볼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미국이 FA-50 기종을 소수 도입을 추진 중이다. KAI가 훈련대행사인 힐우드 항공에 4~8기를 판매를 하고, 미군은 이를 단기간(5년) 임대할 예정이다. 미공군의 새로운 조종사 훈련 프로그램 테스트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다만 이러한 움직임에서 미국이 T-50을 같이 쓰려고 정책 변화를 꾀함을 읽으려는 추정이 있다.
2020년 제작사인 보잉이 737 사태에 이은 코로나 사태로 구제금융을 신청하면서 개발에 적신호가 켜졌다. 양산시기가 늘어지거나, 초기 예정가격보다 비싸질 가능성이 있다.
미국은 군 전략과 밀접한 보잉이라는 기업을 버릴 수는 없다. 예정된 도입은 정상적으로 이뤄지겠지만, 시기가 늦춰지고 가격도 올라간다면 도입대수가 줄어들 수도 있다. 가령 최대 도입량은 475기지만 최소 도입량은 351기로 120대 이상 차이다. 가격이 비싸지거나 양산시기가 늘어져 T-50과의 혼성운용으로 가면 120대 정도가 날아갈 수도 있다는 뜻. 보잉은 KC-46, V-22 등에서 개발 지연과 비용 떡상을 초래한 사례가 많아 기우만은 아니라는 평이다.
T-X 프로그램만 바라보며 기다리고 있던 유럽 등의 서방국가에서 더는 기다리지 못하고 M-346이나 T-50을 구매하는 쪽으로 흘러가 파이를 갉아먹는 사태가 생길 수도 있다. 어느쪽이든 보잉 입장에선 손해이다.
또 하나의 문제는, 미 공군만이 아니라 미 해군에서도 슬슬 훈련기가 필요해 지는 시기인데 T-7의 완성이 늦어질 경우 해군측에선 아예 T-7을 배재해 버리고 T-50이나 T-100(M-346의 T-X 프로그램 출품 버전)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는 점이다.[1] 공군용 기체와 달리 해군용 기체에는 방염처리, 기골보강, 어레스팅 후크 장착 등 추가 개수가 필요한 상황인데 공군용도 완성하지 못한 시점에서 과연 제 시기에 해군용 사양을 맞춰줄 수 있느냐는 의문시 될 수 밖에 없고, 어차피 공군용으로 300대 이상 도입이 확정된 상황에서 보잉을 밀어줘야 할 당위성도 사라지니 해군 입장에서는 부담도 덜 한 상황이다. 비록 공군용 만큼 대수가 많지는 않겠지만 '''그 미군에 제식 훈련기로 납품하는 기체'''라는 타이틀은 세계 방산시장에서도 큰 메리트를 갖게되며 T-7의 해외 판매에 큰 걸림돌이 될 수 밖에 없다.
물론 '아메리칸 퍼스트'를 제창하는 현재 미국의 상황에서, 그래도 200여대가 넘는 만만찮은 수주량인 만큼 미해군 입장에선 T-7 쪽에 우선권을 줄 테고, 원래부터 해군용에 대한 소요가 없었던 T-50이나 T-100 모두 해군용으로 개조하는 것이 T-7보다 유리할 것은 없는 상황[2]이기에 실제로 T-7 대신 다른 기체가 선정될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어찌됐든 납기일을 맞춰 개발에 성공하지 못한다면 세계 방산시장에서의 보잉의 신뢰성에 금이 가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이 된다. 안 그래도 737 MAX 문제로 민간 여객기 쪽에서 신뢰성이 떨어졌는데 군용기에서까지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절대로 피해야 할 일이지만 현재 보잉의 상황은 그리 만만치 않은 편이다. 현재로선 T-7을 어떻게든, 그것도 최대한 잡음 없이 성공시키는 것 만이 보잉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길[3]이 되어버렸다.

4. 파생형


보잉은 FA-50처럼 경공격기 버전을 예고한 바가 있다. 미 의회의 지원을 받는 연구소 역시 무장 버전의 T-7A를 도입해 본토 방어용으로 사용하고 4, 5세대기는 해외의 더 위험한 작전 환경에 파견하는 것이 좋다는 취지의 보고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실제로 대한민국 공군F-16PB, KF-16이 일부 분담해 맡고 있던 방공 / 요격 등의 방어 임무 및 근접항공지원 임무를[4] FA-50에 인계하고 F-16 계열은 F-15K, F-35와 함께 공세적 제공 임무 위주로 투입할 예정이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1] 실제 미 해군은 공군과는 다른 기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상당히 빈번하게 일어난다. 훈련기 역시 공군이 T-38 탤론을 쓰는데 해군은 T-45 고스호크를 쓰는 등 가능한 한 자신들에 맞는 기체를 따로 쓰는경우가 다반사로, 현재 국방비 문제나 보잉 살리기 일환으로 T-7이 가장 유력한 후보지만 T-50, T-100에도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2] 특히 안그래도 T-7보다 비싼 기체들인데 개조비용이 들어가면 더 비싸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3] 다른 민항기 쪽에서 재기의 발판을 마련해도 T-7에 문제가 생기면 "보잉 기체는 잘 나가다가도 언제 어디서 문제를 일으킬 지 모른다"라는 인식을 줄 우려가 있다. 당분간 미군의 항공기 쪽에서 새로운 대형납품계약이 없을테니 T-7에 대한 주목도가 높은 만큼 어떻게든 안정화를 시킬려면 T-7과 이후의 신규 민항기쪽에서 연타석으로 성공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다.[4] 보통 방어나 근접항공지원은 주로 3세대 전투기인 F-4, KF-5가 맡으나, 이들의 노후화가 진행중이라 F-16도 일부 분담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