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2 어설트 버스터 건담
[clearfix]
1. 개요
기동전사 V건담의 후기 주역 메카. [1] 설정상의 우주세기 최강의 기체.
2. 제원
3. 설명
V2건담의 추가 장비인 어설트 파츠와 버스터 파츠는 쌍방의 장착 부위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리고 점점 강화되어 가는 잔스칼 제국의 모빌슈트들을 상대하기 위해서 리가 밀리티어의 엔지니어들이 V2건담의 강화 파츠를 모조리 달아버린 형태가 바로 V2 AB 건담이다. 무게가 상당히 상승해서 V2건담과 비교해서 가동성은 좀 떨어졌지만 노멀 V2와는 화력과 방어력이 비교가 되지 않는다. 다만 원래부터 같이 붙여놓고 사용하기를 상정해서 제작된 게 아니였기 때문에 생각보다 밸런스는 나빴던 듯 하다.
이론적으로는 V2 최강 폼이지만, 실전에선 출력이 고루 전달되지 못했는지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했다. 작중에선 변변찮은 활약을 못했다. 오히려 기본 폼인 V2만도 못한 모습.
원작에서는 딱 1화 등장하고, 그것도 등장한지 몇분 되지 않아서 어설트 파츠와 버스터 파츠가 파괴되어 버려서 V2건담으로 돌아가버린다. 토미노 요시유키 감독이 원래 이런 완구적인 컨셉을 좋아하지 않아서 이런 취급이 되었다는 후문이 있다. 취급은 좋지 않았지만 위력 자체는 강력했던 버스터, 어설트 파츠와 비교하면 아쉬운 모습.
게임 등에서는 당연히 끝내주는 성능으로 나온다. V건담을 본 사람이 별로 없는지, 게임 등에서 보여준 모습이나 설정상의 위력으로 평가받는 모습이 잦다. 사실 그냥 V2만 해도 충분한 학살병기다.
4. 모형화
5. 게임에서의 V2 어설트 버스터 건담
5.1. 슈퍼로봇대전
슈퍼로봇대전 등의 매체에서도 항상 최강급의 모빌슈트에서 빠지지 않는 강력한 유닛으로 등장[2] 한다. 무장이 다양하기 때문에 등장하는 작품 시리즈에 따라, 심지어 같은 시리즈라도 작품에 따라 성능이 왔다갔다 한다.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서는 우주세기 최후반 기체인 만큼 강하지만, 그 묘한 무장 구성 때문에 파일럿인 웃소의 육성이 곤란하다. 첫 참전은 제2차 슈퍼로봇대전 G. V2 건담을 풀개조하면 V2 어설트 버스터가 된다. 용량 한계 때문인지 중간에 어설트고 버스터고 그런 거 없이 다 건너 뛰고 그냥 V2 어설트 버스터로 강화. 시스템상 무기를 4개 이상 가질 수 없어서 V2 어설트 버스터로 개조할 경우 '''빔 사벨을 포함한 근접 무기가 없어진다'''. 그랑존에게 대미지를 절대로 줄 수가 없다. 그냥 V2로 냅둬서 빔샤벨로 긁어봤자 아프지도 않겠지만... 그리고 그랑존에게는 다른 건담들도 마찬가지라 딱히 디메리트가 아니긴 하다... VSBR이 빔병기가 아니라는 것도 강점, I필드를 가진 적에게도 안심하고 쓸 수 있다. 문제는 웃소가 기합이 없어서 분신을 발동시키기에 애로사항이 꽃핀다. 특히 막판에는 기력을 올릴 졸다구(?)가 2기 밖에 없다. 기합을 가진 시북을 태우는 것도 나쁘지 않는 듯 하지만 시북은 F-91이 있어서, 별로 의미가 없다.
신 슈퍼로봇대전에서는 중반까지 어설트와 버스터 둘 중 하나만 선택 가능하고 극후반에 들어온다. 무난하게 강하다.
주로 쓰는 무기에 따라 격투, 사격치가 오르는 시스템을 가진 슈퍼로봇대전 알파에서는 주력병기로 사용할만한 빛의 날개는 격투 무기이면서 수치상 최강 무기라 할 수 있는 롱레인지 캐논은 사격 병기라서 정말로 애매한 기체가 되었다. 무엇보다 이때의 웃소는 기본 격투치가 굉장히 처참했었기에 애매함에 박차를 가했다. 물론 어설트 버스터가 나오기 전까지 V건담 대쉬 같은 것에 태우면 되니 큰 문제는 아니다. 알파 외전에서 전체적인 무장의 위력들이 대폭 상승하고 웃소의 격투치도 올라가서 최강급 MS의 위용을 보여주었다.
슈퍼로봇대전 D에서는 잔스칼과 결전을 벌이는 분기를 타면 입수할 수 있는데, 어설트와 버스터의 양쪽 특수 능력하고 무기를 다 쓸 수 있어서 강력하지만 어설트 파츠와 버스터 파츠를 장비할 때 받는 페널티를 다 받는데다[3] 지형대응이 우주 빼고 전부 A로 추락해서 풀개조 보너스를 지형 S로 주든지 강화파츠를 달아줘야 한다.
대신 어설트와 버스터의 모든 기술을 사용 가능해서 근거리 중거리 장거리 다 커버 가능하며 맵병기도 다수 보유한 괴물같은 장비들을 장착하고 있다. 근거리에서의 빛의 날개, 중거리에서의 베스바, 장거리에서의 롱 레인지 캐논 등으로 아무데나 박아놓고도 다 커버가 가능해지며, 상기한 단점들도 거의 전부 극복이 가능한 단점이기 때문에 사실상 어썰트와 버스터 둘의 장점을 전부 때려박은 기체로 취급되고 있다. 개조단수가 낮다는 점은 구멍 없는 무장구성으로 인해 크게 티가 나지도 않고, 다주차에선 외려 20단 개조의 상승폭이 훨씬 높다는 걸 의미하기에 외려 장점에 가깝다.
5.2.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에서도 대부분 강한 기체로 나온다. 하지만 SD건담 G제네레이션 F에선 빔사벨 하나 달랑 가지고 있고 나머지 3개의 무기가 전부 맵병기인 괴악한 기체로 등장해 만인의 어이를 상실시켰다.(G제네는 맵병기를 쓰면 경험치를 얻을 수 없다) 그래도 SD건담 G 제네레이션 네오에서는 최강급 만능기체 중 하나로 등극했다. SD건담 G제네레이션 SPIRITS에서는 우주세기만 나오는 특성상 최강의 기체로 등장하고 SD건담 G제네레이션 WARS에서도 비싸긴 하지만 강력한 성능으로 등장한다. 워즈에서의 성능은 빛의 날개 맵병기의 범위가 엄청나며, VSBR 2연타가 높은 대미지를 뽑아낸다. 방어력도 높은데다 I필드 덕분에 빔공격은 대부분 무용지물에 애초에 기동력도 높아서 맞는 모습도 보기 힘든 수준. 따라서 매우 좋아보이지만...실제로는 워즈에서 가장 안습된 기체 중 하나. 네오에서의 최강급 만능 기체의 면모는 온데간데 없고 '''개발하면 오히려 더 안 좋아지는 밥값도 못하는 기체'''가 되어버렸다.[4] I필드, 빔코팅, 2연발 VSBR는 V2 어설트에도 전부 있는데 V2 어설트는 여기에 더해 특수사격무기인 메가 빔실드 V자 광선까지 가지고 있다. 맵병기는 없지만 G제네에서 맵병기는 그저 무기 슬롯 낭비일뿐...[5] V2건담이나 V2 버스터는 I필드와 빔코팅이 없지만 대신 V2건담은 빛의 날개를 일반 무기로 쓸 수 있고[6] V2 버스터는 1100 x6의 다연장 미사일을 가지고 있다.[7] 여기까지 읽어도 모르는 사람은 이게 왜 안 좋다는 얘긴지 모를 가능성이 높은데...콕 찝어서 V2AB의 단점을 얘기하자면, '''무장이 모조리 맵병기 아니면 빔병기다.''' 맵병기는 경험치를 주지 않는다는 G제네 특성상 별로 쓸 일이 없고, 남는건 빔병기. 물론, G제네의 적들은 I필드나 빔실드 등으로 도배하고 있다.(...) 물론, V2AB의 화력은 강하기 때문에 뚫을 수는 있지만, 아무래도 대미지가 제대로 다 들어가지 않는다는 얘기. 반면, V2의 일반 무기 버전 빛의 날개나 V2 어설트의 메가 빔실드, V2 버스터의 다연장 미사일은 I필드 따위는 가볍게 씹어준다는 것. 안습...
사실 이게 다 맵병기 때문이다. 메가 빔 캐논을 일반 무기로 갖고 있었거나 미사일, V자 광선, 빛의 날개 중 하나만 달려있었어도 개발했더니 더 안 좋아진다는 굴욕적인 평가를 받지는 않았을 것이다.[8] 설정상으로는 저 모든 무기를 다 가지고 있는데, 왜 쏘지를 못하는지. 그야말로 안습의 극치. 그래서 SD건담 G제네레이션 WORLD에서는 메가 빔 캐논이 일반무기로 추가되었다.
SD건담 G제네레이션 OVER WORLD에서는 메가 빔 실드가 2~3의 특수사격으로 추가되었다.[9] 전형적인 사격계 빔병기로서의 전작들의 취급에 비해 고질적인 대빔방어 기체에 대한 약세를 극복하여[10] V2 계열의 톱으로 등극했다. 이는 게임 자체가 다연장 병기 개념이 사라지면서 더이상 V2 버스터 건담이 과거의 사기스러운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는 것도 꽤 크다. 그리고 상당수의 주역 유닛들이 특수각성 무기가 추가된 상황에서 여전히 각성 계열 무장이 전혀 없기 때문에 본 파일럿인 웃소를 태울 경우 전용 특능중 하나인 뉴타입이 쓸모가 없어진다. 대신, 바꿔 말하자면 각성치가 있든 없든 아무나 맘에 드는 파일럿을 태워도 밥값 이상을 해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야말로 범용성 좋게 쉽게쉽게 아무나 태워서 아무렇게나 굴리기 좋은 유닛.
개더비트류에서는 분기에 따라 턴에이 건담에 대칭되는 역으로 등장. GBA판에선 V2만 등장했다.
개더비트2의 턴에이 루트로 기렌 자비가 나오는 최종화를 보면, 로랑이 탈취된 턴에이를 V2AB를 타고 가서 도로 빼앗아오는 황당한 장면을 볼 수 있다.
모노아이 건담즈에선 여러 모로 사기적인 기체인데, 턴X의 월광접을 빛의 날개로 털어버린다(....).
더 웃긴 건 정작 턴에이는 월광접을 사용해 둘 다 박살나는 결말이지만 이쪽은 말 그대로 털어버렸다(....). 게임상 성능도 최고급인데 빛의 날개가 베리어+필살기 역할을 하고 기본 무장도 강력한 대미지의 베스바, 전 스텍 공격의 스프레드 빔포드, 직선형 간접무기인 메가빔포 등을 갖추고 있다. 다만 전 병기가 빔병기라 I필드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간단하게 입수하려면 건담 엑시아를 어느정도 키워서 교환하면 된다.
이름 때문인지 가끔 듀얼 건담 '''어설트''' 슈라우드 + '''버스터'''건담 or 베르데 '''버스터''' 건담의 조합식으로 등장하는 작품도 있다.
5.3. 건담vs건담(게임)
건담vs건담(게임)에서는 V2건담의 특수능력으로 등장.(통상 V2건담도 여기에 묶어서 서술한다.)
보통은 통상의 V2건담으로 싸우다가 게이지를 소비해서 일정시간동안 어설트버스터 형태로 환장 가능한 독자적 시스템을 갖고있다. 통상의 V2가 3000코스트 기체 치곤 사격전 화력이 2000코스트 수준으로 빈약한데 반해 어설트버스터를 장착하면 원작에서의 취급이 거짓말같을 정도로 강해지는데 빔 라이플이 판정이 거대화되고 한방에 다운시키는 메가 빔 라이플이 되며, 차지시간이 엄청 짧은 롱레인지 캐논, 서브사격의 스프레이건, 뒤격투의 메가 빔 실드에 의한 사격방어/설치/V레이저 공격 등 장착한동안은 전 기체중 최강급의 무기성능을 가진다.
다만 환장이 해제되면 게이지가 회복되지 않는 10초의 쿨타임이 존재하고, 0까지 썼다면 쿨타임 10초+회복시간 50초로 엄청난 시간을 요구하기에 개막후 써서 상대의 전력을 갈아버릴것인가, 최후의 카드로 남길것인가의 상황에 따른 선택이 요구되는 기체. 또한 환장 해제는 임의로도 행할 수 있고 해제후엔 V2의 잔탄이 전부 회복된다. 그리고 V2는 빔라이플 장탄수가 10으로 장착후 바로 풀어버리면 어지간해선 빔라이플의 탄이 다 떨어지기 전에 어설트버스터의 쿨타임 종료와 함게 다시 사용가능.이걸 잘 활용하면 임펄스 건담 급의 무한탄막을 전개하는게 가능한데 자연스럽게 폭발력을 잃어버리게 되나 파트너가 모빌파이터등의 고화력기체라면 선택지에 넣을 가치도 있다.
5.4.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에서
[1] 49화에 등장해 10분만에 리타이어..[2] 건담vs건담NEXT의 C코스 9면의 타겟은 뉴건담+V2+턴에이인데, '''토미노 세계관 최강 기체들이라는 공통점'''이 있다.[3] 다른 건 몰라도 이동력이 -2가 되어서 6이 되는 건 골치 아픈 점. 가속으로 때울 수 있지만….[4] 물론 그렇다고 객관적으로 안습은 아니다. 강하긴 강하다. 그냥 V2나 V2 어설트, V2 버스터보다 안 좋을뿐...[5] 로봇대전과는 달라서 맵병기로 적을 잡아도 '''경험치를 안 준다.''' 덕분에 쓰이는건 MP를 고속으로 올려 초강기 돌입을 가속하는 미아 전용 자쿠워리어의 라이브와 적군의 EN을 죄다 증발시키는 월광접 정도...[6] 5000의 고위력에 특수 격투라서 모든 배리어를 관통한다. 게다가 2매스는 구멍이거나 발칸밖에 못 쓰는 기체들이 많기 때문에 더더욱 효율적.[7] 원래 V2AB는 전통적으로 무기 수 제한 때문에 다연장 미사일이 없어서 오히려 V2 버스터보다 약하다. SD건담 전통적으로 빔에 대한 방어가 가능한 적들이 많은지라, 다연장 미사일 공격을 가진 유닛이 우대되는 편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기체 불문하고 다연장 미사일 같은 다단히트 무장을 전탄 명중하면 대미지가 상당히 잘 뽑히는 것도 있다. 사실 V2 버스터는 G 제네 시리즈 전통의 사기 유닛이다. 그놈의 다연장 미사일이 뭔지...[8] 꼭 그렇지만도 않은게 능력치도 V2 어설트, V2 버스터보다 V2AB 쪽이 떨어진다. 공격력, 방어력, 이동력이 전부 동일하면서 기동성은 오히려 V2AB 쪽이 낮다. 수치상으로만 봐도 오히려 V2 쪽이 V2AB보다 뛰어난 유닛.[9] V2 어설트와 동일[10] 전통적으로 빔병기는 적의 특수 방어 기능을 (I필드라든가 대빔코팅이라든가) 우회하기가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