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
1. 한글 자모의 아홉 번째
한글 자모의 아홉 번째 글자. '''지읒'''이라고 표기하지만 모음 조사가 붙었을 때의 받침은 /ㅈ/가 아닌 /ㅅ/ 소리를 내게 되어 있다(예: 지읒을 [지으즐](X), [지으슬](O)). 그러나 이건 '지읒'이라는 단어에서만 그렇고 나머지 ㅈ받침이 붙은 다른 단어는 모음 조사가 붙었을 때 /ㅈ/으로 발음해야한다.(예: 낮에 [나제])
한글 창제를 조음기관 모방으로 본다면 ㅈ이 ㅅ의 센소리로 ㅅ에 한 획을 더해 만든 글자이나 파스파 문자 차용으로 본다면 ㅈ은 파스파 문자의 /s/자를 다듬은 글자이고 오히려 ㅅ이 ㅈ에서 한 획을 감획해서 만든 글자가 된다.
치경구개 파찰음으로 혓바닥을 경구개에 넓게 대었다가 터트리면서 마찰을 함께 일으킨다. 된소리로는 ㅉ이 있으며 '''쌍지읒'''이라고 부른다. 북한에서는 '''된지읒'''이라고 부르는데 조선어 신철자법 제정 당시에는 '''찌ᄋ\ᅳퟹ'''으로 불렀다.
본래는 치경 파찰음([t͡s]~[d͡z])이었으나, 임진왜란 이후 치경구개 파찰음([t͡ɕ]~[d͡ʑ])으로 변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그래서 현대 한국어에서는 '자'와 '쟈', '저'와 '져' 등이 발음상으로 변별되지 않는다. 이는 ㅉ과 ㅊ도 마찬가지. ㅈ, ㅉ, ㅊ 다음의 이중 모음 문서 참조. 다만, 북한의 문화어에서는 지금도 '자'와 '쟈', '저'와 '져' 등의 발음이 서로 변별된다.
국어의 초성과 종성에 두루 쓰이나 종성(받침)으로 쓰일 경우 'ㄷ'의 불파음과 똑같은 상태로 끝난다.
ㅈ의 모양은 글씨체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ㅅ 위에 ㅡ를 붙인 형태이고(그리스 문자의 소문자 π와 비슷하다) 다른 하나는 가타카나 ス를 쓰듯이 쓰는 형태이다. 필기할 때는 후자가 애용되는 편이다. 아마도 전자는 3획으로 써야 하는데 후자는 2획으로 쓸 수 있으니 필기하기 좀 더 편해서인 듯하다.[10] 이는 ㅉ과 ㅊ도 마찬가지인데 ㅉ에서는 한 술 더 떠서 フ→フ→\ 이런 필순으로 쓰기도 한다. 즉, 양쪽 ㅈ의 마지막 획을 아예 하나로 합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원래 6획인데 절반인 3획(...)으로 줄어든다. 훈민정음 판본에서는 ㅈ이 좌우대칭으로 되어 있다. (이는 ㅅ과 ㅊ도 마찬가지다) 나중에 필기를 쉽게 하기 위해 ス 모양으로 바뀐 필체가 생긴 듯하다.
종성일 때에는 용례가 그다지 많지는 않다. '갖다(가지다), 곶, 궂다("궂은"), 짓궂다, 낮, 늦다, 맞다, 맞-(마주), 멎다, 맺다, 벚꽃/벚나무(버찌), 빚, 빚다, 잊다, 잦다(자주), 젖, 젖다, 좆, 짖다, 꾸짖다, 찢다, 찾다' 정도이다. 드물게 쓰이는 표현이지만 '살갗', '가죽'과 관련이 있는 '갖옷' ㅈ 받침이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j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는 ch(무성음), j(유성음)으로 표기된다.
2. 축약어로서 사용되는 ㅈ
ㅈㅈ는 GG의 의미로 사용되는데, GG → 쥐쥐 → ㅈㅈ로 한글화한 것이다. 간혹 gg를 친다는 것이 한/영 전환을 하지 않아서 ㅎㅎ가 되는 경우도 있고, ㅈㅈ를 치려 하였는데 ww가 되는 경우도 있다.
또는 이 비속어를 쓰려고 하는데 심의에 걸릴 상황에서 ㅈ으로 압축해서 쓰기도 한다. (예: 거참 ㅈ같네.)
[1] '''자'''석[예사소리] 관습적으로 무기음으로 표기하나, 사실 현대 서울 한국어에서는 어두에서 ㅊ에 아주 약간 더 가까운 기식을 가지며, ㅊ과 차별되는 주요 변별 자질은 낮은 음조(F0)이다.[2] 반'''전'''[3] 호미'''곶'''[4] '''맞'''이[5] 마찰음화. 지'''읒'''은 한글자음이다.[6] 마찰음화+구개음화. 지'''읒'''이 발음하기 어렵다.[7] '''낮'''만 되면[8] 발'''자'''국[9] '''맞'''히다[10] 사실 전자의 형태라도 2획으로 쓸 수 있다. ㅅ을 V를 뒤집어 쓰듯이(혹은 ㄱ을 45도 회전시키듯) 1획으로 연결해서 쓰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