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制'''절제할 제
'''부수
나머지 획수'''

, 6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고등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セイ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zhì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반대자

[clearfix]

1. 개요


'제한하다', '규제하다', '규제', '만들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절제하다
'''음''': 제
'''일본어'''
'''음독''': セイ
'''훈독''': -
'''중국어'''
'''표준어''': zhì
광동어: zai3
객가어: chṳ
민남어: chè
오어: tsr(T2)
'''베트남어'''
chế
유니코드에는 U+523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BLN(竹月中弓)으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4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금문 때부터 등장하는 글자로, (아닐 미) 자와 (칼 도) 자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여기서 未 자는 잔가지가 돋아 있는 나무를 본뜬 글자로, 나무를 자르고 다듬는 모습에서 '자르다'라는 뜻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의미가 확장되어 '규제하다', '제한하다'와 같은 추상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또한 '규제'라는 명사로서도 쓰이게 되었다. 현재의 자형은 예서 이후에 정립된 것으로, 刀 자 왼쪽에 있는 자형은 制 자 (혹은 製 자와 같이 制 자를 포함하는 글자)를 제외하고는 다른 글자에서 볼 수 없는 자형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지명/창작물




3.4. 중국어


  • 중국어에서는 (지을 제)의 간체자로 制를 쓴다.

4. 유의자


  • (지을 작)

5. 반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