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喪'''잃을 상
|
| | '''총 획수'''
| 12획
|
| 중학교
| | |
|
| -
|
'''일본어 음독'''
| ソウ
|
'''일본어 훈독'''
| も, ''うしな-う''
|
|
| 丧
|
'''표준 중국어 독음'''
| sāng, sàng
|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잃을 상(喪)'''. '잃다', '죽다', '상례'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 '''훈''': 잃다 '''음''': 상
|
'''일본어'''
| '''음독''': ソウ '''훈독''': も, ''うしな-う''
|
'''중국어'''
| '''표준어''': sāng 광동어: song1 객가어: sông 민북어: só̤ng 민동어: sŏng 민남어: song[1] / sng[2] 오어: saan (T1)
| '''표준어''': sàng 광동어: song3 객가어: song 민동어: sáung 민남어: sòng 오어: saan (T2)
|
'''베트남어'''
| tang
| táng
|
유니코드에는 U+55A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RRV(土口口女)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3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원래
갑골문에서 이 글자는 뽕나무 사이에
口(입 구) 자 여러 개가 끼어 있는 형태로 그려져,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桑(뽕나무 상) 자가 합쳐진
형성자였다.
금문에 이르면 밑에
亡(없을 망) 자가 추가되는데, 이는 뜻과 소리를 동시에 나타낸다.
소전에서 桑 자가 일그러져
犬(개 견) 자와 같은 형태가 되고,
예서에서 형태가 전체적으로 뭉개져 지금과 같은 형태가 되었다.
3. 용례
4. 유의자
5. 반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