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推'''밀 추/퇴
'''부수
나머지 획수'''

, 8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スイ
'''일본어 훈독'''
お-す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tuī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반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밀 추/퇴(推)'''. '밀다', '미루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밀다
'''음''': 추/퇴
'''일본어'''
'''음독''': スイ
'''훈독''': お-す
'''중국어'''
'''표준어''': tuī
광동어: teoi1
객가어: thôi
민북어: tó
민동어: tŏi
민남어: the[1] / thui[2]
오어: the (T1)
'''베트남어'''
suy, thôi
유니코드에는 U+63A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QOG(手人土)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4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뜻을 나타내는 (손 수)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새 추)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 글자는 원래 다음자(多音字)로, 昌모脂운 계열(尺隹切, 한국한자음 '추')과 透모灰운(他回切, 한국한자음 '퇴') 계열의 한자음이 있다. 두 한자음 사이에 의미상 차이는 딱히 없다. 중국어의 대다수 방언에서는 透모灰운 계열의 한자음이, 한국어와 일본어에서는 昌모脂운 계열의 한자음이 우세한다. 다만 한국어의 경우, 퇴고(推敲) 등[3]의 단어에 한해서 透모灰운으로 읽는다. 베트남어의 경우 일반적인 한자음은 透모灰운이고, '생각하다'라는 의미로 쓰일 때는 昌모脂운으로 읽는다.

3. 용례



3.1. 단어


  • 고퇴(敲推)[4]
  • 유추(類推)
  • 추계(推計)
    • 추계학(推計學)
  • 추단(推斷)
  • 추대(推戴)
  • 추동(推動)
  • 추량(推量)
  • 추력(推力)
  • 추론(推論)
    • 가언추론(假言推論)
  • 추리(推理)
    • 가설추리(假說推理)
    • 가언추리(假言推理)
    • 간접추리(間接推理)
    • 귀납추리(歸納推理)
    • 연결추리(連結推理)
    • 유비추리(類比推理)
    • 추리력(推理力)
    • 추리 만화(推理 漫畵)
    • 추리 소설(推理 小說)
    • 추리 통계학(推理 統計學)
    • 한정추리(限定推理)
  • 추산(推算)
    • 역추산학(曆推算學)
  • 추심(推尋)
  • 추앙(推仰)
  • 추이(推移)
  • 추정(推定)
  • 추진(推進)
    • 반동추진(反動推進)
    • 추진력(推進力)
  • 추천(推薦)
  • 추측(推測)
  • 퇴고(推敲)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지명/창작물


  • 추구(推句)
  • 추측록(推測錄)

4. 유의자



5. 반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누구 수)
  • (비록 수)
  • (벼리 유, 바 유)
  • (생각할 유)
  • (오직 유)
  • (어릴 치)
  • (이끌 휴)

[1] 백독[2] 문독[3] 퇴고, 고퇴(敲推), 퇴환(推丸)은 '퇴'로 읽고, 推窓(퇴창/추창), 推戶(퇴호/추호)는 '퇴'와 '추' 모두 가능하다.[4] 퇴고(推敲)와 같다. 둘 중에서는 '퇴고'를 압도적으로 많이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