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斗'''말 두
'''부수
나머지 획수'''

斗, 0획
'''총 획수'''
4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ます''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dǒu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획순
1. 개요
2. 자형
3. 용례
3.1. 낱말
3.2. 지명
3.3. 인명
4. 부수
4.1. 부수 예
4.2. 나라별 부수명칭

[clearfix]

1. 개요


斗자는 용량을 재는 도구( 정도의 양, 한대 이전에는 자루가 달린 국자가 일반적이었다)나 자루가 달린 술 따위를 푸는 용기를 가리킨다.
글자의 자원은 양을 재는 자루가 달린 국자를 본뜬 상형자. 또한 그 국자의 형상 때문에 성좌의 이름(북두칠성)이 되었다.
중국에서는 /간체자로 斗자를 사용한다.
유니코드는 6597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4급으로 분류된다.

2. 자형


[image]
[image]
[image]
[image]
갑골문
금문
대전체
소전체

3. 용례



3.1. 낱말



3.2. 지명



3.3. 인명



4. 부수



명칭: 말두부
강희자전 안에 68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32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4.1. 부수 예


추가 획
한자
기본자

6획

7획

9획

13획


4.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말두부
  • 중국: 斗字旁
  • 일본: と・ます・とます
  • 미국: Radical dip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