斗
[clearfix]
1. 개요
斗자는 용량을 재는 도구(말 정도의 양, 한대 이전에는 자루가 달린 국자가 일반적이었다)나 자루가 달린 술 따위를 푸는 용기를 가리킨다.
글자의 자원은 양을 재는 자루가 달린 국자를 본뜬 상형자. 또한 그 국자의 형상 때문에 성좌의 이름(북두칠성)이 되었다.
중국에서는 鬪/鬥의 간체자로 斗자를 사용한다.
유니코드는 6597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은 4급으로 분류된다.
2. 자형
3. 용례
3.1. 낱말
3.2. 지명
- 강원도 강릉시 두산동(江原道 江陵市 斗山洞)
- 경기도 오산시 두곡동(京畿道 烏山市 斗谷洞)
- 광주광역시 광산구 두정동(光州廣域市 光山區 斗亭洞)
-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光州廣域市 北區 斗巖洞)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蔚山廣域市 蔚州郡 斗東面)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蔚山廣域市 蔚州郡 斗西面)
- 두정역 (斗井驛)
- 두실역 (斗實驛)
3.3. 인명
4. 부수
명칭: 말두부
강희자전 안에 68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32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4.1. 부수 예
4.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말두부
- 중국: 斗字旁
- 일본: と・ます・とます
- 미국: Radical dip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