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舍'''집 사
'''부수
나머지 획수'''

, 2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일본어 음독'''
シャ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shè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반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집 사(舍)'''. '집', '여관'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집
'''음''': 사
'''일본어'''
'''음독''': シャ
'''훈독''': -
'''중국어'''
'''표준어''': shè
광동어: se3
객가어: sa, sà
민북어: sia̿
민동어: siá
민남어: sià
오어: so (T2)
'''베트남어'''

유니코드에는 U+820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MJR(人一十口)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4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현재 자형은 (사람 인) 자와 (혀 설) 자를 합친 것처럼 보이고 부수도 舌 자이지만 혀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실은 뜻을 나타내는 (입 구)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나 여)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는 余 자가 집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나, 이 글자가 일찍이 '나'라는 1인칭 대사로 가차되어 쓰였기 때문에, 집을 나타내는 글자는 口 자를 더해 표현한 것이다. 舍 자가 余 + 口의 형태라고 하기에는 余에서 마지막 두 획이 생략된 것처럼 보이는데, 余 자도 원래 갑골문금문까지만 해도 마지막 두 획이 없었다.
이 글자는 (버릴 사) 자의 통가자로 쓰일 수 있으며, 이때는 상성으로 읽는다. 현대 대륙 중국어에서는 捨 자의 간체자로 쓰인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지명



4. 유의자



5. 반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머금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