魚氷に上り 耀よひて
'''봄이와서 빛나는구나'''
자켓 이미지. 약간 섬뜩하다. 일단 중상해 등의 심각한 신체 훼손에 대한 화상 및 올 누드 등의 성적 이미지에 해당되어 (…) 링크 처리 유지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가는 아사키.
곡명의 읽는 법은 "우오히니노보리 카가요이테(うおひにのぼり かがよいて)" 참고로 의미는 하이쿠의 7.5조에서 유래한 것으로, 魚氷に上る는 "얼음이 녹아 갈라지고 그 틈새로 물고기가 떠올라 헤엄치다"라는 뜻을 함축한, "봄"을 나타내는 시어이다.[1] 즉, 제목의 뜻은 '''봄이 와서 빛나는구나''' .[2] 이 곡을 보통 우리나라에서 부를 때는 그냥 앞뒤 다 생략하고 맨 앞 글자만 따와서 물고기/물괴기, 앞글자 魚氷을 그대로 읽은 "어빙" 이라고도 하며 氷魚로 뒤집어 "빙어"라고도 한다.
본래 읽는 법은 저렇지만 비마니 백스테이지 35에서는 너무 읽기 어렵다는 이유로 '''싱글벙글 선플라워 키스(ニコニコサンフラワーキッス)'''라는 읽기로 바꿨다.[3]
HARD EXC+AJR 영상
White Hard EXC+AJR 영상
하드 패턴은 '''9레벨 최강.'''[4] 동 작곡가의 万物快楽理論과 함께 애매한 판정으로 탑을 다툰다. 106이라는 낮은 BPM에 적은 오브젝트 수가 맞물려 스코어링이 어렵다. 배치 자체는 곡을 상당수 따라가지만 아사키 곡의 특성상 멜로디를 파악하기 힘들다는게 문제(...) 전술한 특징 때문에 万物快楽理論보다 어렵게 느끼는 사람도 있다. 플레이를 하다보면 둘 다 어렵긴 마찬가지지만... [5] 8분음 정박으로 시작하지만 첫 노트가 2TOP이기 때문에 터치 타이밍을 잡기 어려워 박자감을 잃을 수 있다. 이후 일반 오브젝트와 롱 오브젝트가 꾸준히 섞여 나오는 데다 오브젝트가 끝나는 타이밍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풀콤보 난이도 또한 상급에 속한다. 개인차에 따라선 스코어링 한정 9레벨 최강급을 넘어 '''11레벨''' 중하급까지 체감 난이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 곡, 万物快楽理論의 상위 호환으로 太陽の子이 존재하는데 이쪽은 아예 정박구간 하나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모조리 개박이라서 어빙과 만쾌보다 훨씬 판정 뽑기 힘들다.
다만 회수컷은 약 93.5%정도로 마호로바교같은 것과 비교하면 굉장히 양반인 편. 단 이 퍼센트를 찍기가 말이 쉬운 레벨이라서(...) 이게 회수컷이 이렇게 양심적인게 후반의 그 드럼비트 구간은 전부 다 금테 오브젝트가 아니라 까만색 오브젝트 즉 저스트 리플렉을 날릴 수 없는 것들로만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이렇게 되는 것.
미디엄 패턴 또한 6레벨 상급에 속하는 패턴으로 일각에서는 '''동레벨 하드보다 어려운 미디엄'''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 결국 판정 강화를 감안해도 불렙이라 리플레시아에서 부활할때는 1레벨 더 증가
2018년 3월 1일 유구의 리플레시아에서 부활했다. HARD는 판정이 완화된 관계로 MEDIUM과 달리 그대로 구 9레벨에 해당하는 11레벨로 유지. 그리고 아래의 리뉴얼 채보의 SPECIAL 채보를 약간 수정한 WHITE HARD 난이도가 추가되었다.
볼짜2 4월 28일 업데이트로 나온 채보.
드럼 EXT 플레이 영상
기타 EXT 플레이 영상
베이스 EXT 플레이 영상
발견! 되살아난 BEMANI 유적의 해금곡으로 이식되었다.
아사키의 두번째 앨범 天庭에 3번째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러닝타임은 6분 30여초. 숏버전의 마지막 스크리밍이 더 길어졌지만 '''가사집에 없는 가사가 있어서''' 뭐라고 말하는건지 알아들을 수 없다(...)
자켓이미지가 사람에 따라 무서울 수도 있으므로 플레이 하거나 관련 영상(밑의 영상 포함)을 찾아 볼 때 주의. 리플렉 비트 볼짜2 까지는 플레이어 아이콘이 할당되어 있는 악곡이라 가끔 어빙 아이콘을 쓰는 사람과 매칭을 하게 되면 놀라는 경우도 있다.
crimm이 앨범자켓을 자기 스타일로 그린 적이 있다.
1. 개요
자켓 이미지. 약간 섬뜩하다. 일단 중상해 등의 심각한 신체 훼손에 대한 화상 및 올 누드 등의 성적 이미지에 해당되어 (…) 링크 처리 유지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가는 아사키.
곡명의 읽는 법은 "우오히니노보리 카가요이테(うおひにのぼり かがよいて)" 참고로 의미는 하이쿠의 7.5조에서 유래한 것으로, 魚氷に上る는 "얼음이 녹아 갈라지고 그 틈새로 물고기가 떠올라 헤엄치다"라는 뜻을 함축한, "봄"을 나타내는 시어이다.[1] 즉, 제목의 뜻은 '''봄이 와서 빛나는구나''' .[2] 이 곡을 보통 우리나라에서 부를 때는 그냥 앞뒤 다 생략하고 맨 앞 글자만 따와서 물고기/물괴기, 앞글자 魚氷을 그대로 읽은 "어빙" 이라고도 하며 氷魚로 뒤집어 "빙어"라고도 한다.
본래 읽는 법은 저렇지만 비마니 백스테이지 35에서는 너무 읽기 어렵다는 이유로 '''싱글벙글 선플라워 키스(ニコニコサンフラワーキッス)'''라는 읽기로 바꿨다.[3]
2. 리플렉 비트
HARD EXC+AJR 영상
White Hard EXC+AJR 영상
하드 패턴은 '''9레벨 최강.'''[4] 동 작곡가의 万物快楽理論과 함께 애매한 판정으로 탑을 다툰다. 106이라는 낮은 BPM에 적은 오브젝트 수가 맞물려 스코어링이 어렵다. 배치 자체는 곡을 상당수 따라가지만 아사키 곡의 특성상 멜로디를 파악하기 힘들다는게 문제(...) 전술한 특징 때문에 万物快楽理論보다 어렵게 느끼는 사람도 있다. 플레이를 하다보면 둘 다 어렵긴 마찬가지지만... [5] 8분음 정박으로 시작하지만 첫 노트가 2TOP이기 때문에 터치 타이밍을 잡기 어려워 박자감을 잃을 수 있다. 이후 일반 오브젝트와 롱 오브젝트가 꾸준히 섞여 나오는 데다 오브젝트가 끝나는 타이밍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풀콤보 난이도 또한 상급에 속한다. 개인차에 따라선 스코어링 한정 9레벨 최강급을 넘어 '''11레벨''' 중하급까지 체감 난이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 곡, 万物快楽理論의 상위 호환으로 太陽の子이 존재하는데 이쪽은 아예 정박구간 하나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모조리 개박이라서 어빙과 만쾌보다 훨씬 판정 뽑기 힘들다.
다만 회수컷은 약 93.5%정도로 마호로바교같은 것과 비교하면 굉장히 양반인 편. 단 이 퍼센트를 찍기가 말이 쉬운 레벨이라서(...) 이게 회수컷이 이렇게 양심적인게 후반의 그 드럼비트 구간은 전부 다 금테 오브젝트가 아니라 까만색 오브젝트 즉 저스트 리플렉을 날릴 수 없는 것들로만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이렇게 되는 것.
미디엄 패턴 또한 6레벨 상급에 속하는 패턴으로 일각에서는 '''동레벨 하드보다 어려운 미디엄'''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 결국 판정 강화를 감안해도 불렙이라 리플레시아에서 부활할때는 1레벨 더 증가
2018년 3월 1일 유구의 리플레시아에서 부활했다. HARD는 판정이 완화된 관계로 MEDIUM과 달리 그대로 구 9레벨에 해당하는 11레벨로 유지. 그리고 아래의 리뉴얼 채보의 SPECIAL 채보를 약간 수정한 WHITE HARD 난이도가 추가되었다.
2.1. 리뉴얼 채보
볼짜2 4월 28일 업데이트로 나온 채보.
3. GITADORA OverDrive
드럼 EXT 플레이 영상
기타 EXT 플레이 영상
베이스 EXT 플레이 영상
발견! 되살아난 BEMANI 유적의 해금곡으로 이식되었다.
4. 가사
5. 여담
아사키의 두번째 앨범 天庭에 3번째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러닝타임은 6분 30여초. 숏버전의 마지막 스크리밍이 더 길어졌지만 '''가사집에 없는 가사가 있어서''' 뭐라고 말하는건지 알아들을 수 없다(...)
자켓이미지가 사람에 따라 무서울 수도 있으므로 플레이 하거나 관련 영상(밑의 영상 포함)을 찾아 볼 때 주의. 리플렉 비트 볼짜2 까지는 플레이어 아이콘이 할당되어 있는 악곡이라 가끔 어빙 아이콘을 쓰는 사람과 매칭을 하게 되면 놀라는 경우도 있다.
crimm이 앨범자켓을 자기 스타일로 그린 적이 있다.
[1] 라임라이트에선 이 곡이 해금되는 7-2 글래스가 ↑ 모양인것도 이 시어와 관련이 있다.[2] 실제 가사를 보면 익사해 물귀신이 된 사람을 물고기에 빗댄 것으로 추정된다.[3] 니코니코 대백과와 픽시브 백과사전에는 이 독음으로 올라가 있다. 레미위키에서는 Uohi_ni_nobori_kagayo'''hi'''te로 등재하고, 본문에서는 '장난으로(jokingly)' 저 독음을 제시했다고 썼다. 실제로 곡명 색인이 가능한 게임에서 이 곡을 찾아도 딱히 な행에서 나오지 않고 여전히 あ행에서 나온다.[4] 원래 くちばしにチェリー와 함께 9레벨 최강을 담당하고 있었지만, 이 곡이 콜레트 Autumn시즌에 삭제되면서 9레벨 보스곡이 되어버렸다. [5] 다만 AAA선 까지는 빙어가 더 어렵지만 AAA+이상의 고득점을 노릴 때는 만쾌가 훨씬 어렵다는게 중론. 멜로디를 완벽히 숙지하면 상대적으로 쉬워지는(?) 빙어와는 달리 만쾌는 실시간으로 바뀌는 bpm과 엇갈리는 싱크 문제로 기록갱신이 상대적으로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