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량욱

 


[image]
康良煜
1904년 12월 7일 ~ 1983년 1월 9일
1. 개요
2. 출생
3. 학력
5. 신학교 입학과 목사 안수와 목회 활동
6. 정치 활동
7. 관련 문서


1. 개요


일제강점기의 장로교 목사·교육자이자 북한의 목사·교육자·정치인이다. 종교·정치계 요직을 두루 역임했다. 조선그리스도교연맹 중앙위원회 위원장(1946년-1983년)과 조선사회민주당 중앙위원회 위원장(1958년-1983년)과 최고인민회의 대의원(1948년-1972년)과 북한 부주석(1972년-1983년)을 맡는 등 종교계, 정치계 요직을 두루 역임했다. 김일성의 외종조부로도 유명하다. 평안남도 대동군 용산면 하리 칠곡[1]부락 출생.

2. 출생


1904년 12월 7일 평안남도 대동군 용산면 하리 칠곡부락에서 강병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육촌 형 강돈욱은 1899년 창립된 하리교회[2]의 창립 교인이자 장로 중 한 사람이었을 정도로 그의 가족과 친척은 일찍이 구한말부터 개신교 신앙을 받아들였다. 일찍이 개신교 신앙을 받아들인 그의 가족과 친척을 따라서 그도 개신교 신앙을 받아들였지만 그의 가족과 친척이 주로 출석하던 하리교회가 아닌 소룡리교회에 출석했다. 하지만 그 외 그의 유년시절에 대한 자세한 사실은 알려지지 않았다.

3. 학력


신덕소학교를 졸업하고 숭실중학교를 졸업한 후 숭실전문학교에 입학했으나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주오대학 예과를 수료했다. 숭실전문학교에서 중퇴한 이유는 바로 가족의 가난이었다. 비록 본인은 가난하게 자랐고 그 때문에 숭실전문학교를 중퇴해야 했지만 그는 그 당시 조선 사람으로써는 교육을 잘 받은 축에 속했다[3]. 이 시기 받은 교육은 그의 이후 교사활동과 목회활동에 보탬이 되었다.

4. 교사


주오대학 예과를 수료하고 조선으로 귀국한 그는 육촌 형 강돈욱이 창립한 창덕소학교 부임으로 교사생활을 시작했다. 창덕소학교 교사로 근무한 시절에 외종손 김일성의 담임으로써 그를 가르치기도 했었다. 이 때 인연은 훗날 해방 후 북한에서 그가 정치활동을 시작하는데 있어 이점으로 작용했다. 강량욱은 창덕소학교에서 근무하다가 1930년에 진남포득신소학교로 전근했고 1930년대 중반 조선예수교장로회 평양신학교에 입학할 때까지 교사생활을 계속했다.

5. 신학교 입학과 목사 안수와 목회 활동


1930년대 중반 평양신학교에 입학했고 재학 중 장대현교회 전도사로 활동했다. 1943년 3월 평양신학교롤 제38회로 졸업했다. 졸업 이듬해 1944년 봄 조선예수교장로회 평양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1923년 창립된 평양 고정교회[4]의 담임목사로 부임했다. 북한교회연구원 원장 유관지 목사가 수집한 증언에 따르면 고정교회 담임목사 시절의 강량욱은 건장한 체구에서 나오는 좋은 성대로 찬양을 잘 인도하고, 사경회도 잘 인도해서, 별명이 "사경회 목사"였고 때로는 "제2의 김익두"[5]라는 말을 듣곤 했다고 한다. 설교 실력도 뛰어나서 월남개신교 신자 중 광림교회 원로 김선도 목사, 전(前) 인천제2교회 담임 이삼성 목사 등 고정교회 담임 시기 강량욱의 설교를 직접 들어본 인사들은 그의 설교 실력을 대단히 뛰어나다고 평했다. 강량욱은 광복 후에도 계속 고정교회를 담임했는데, 1946년 3월 13일 일어난 암살 시도 사건 때까지 교회 목사 사택에 거주했다.

6. 정치 활동


1945년 10월 강량욱은 신천지역 부흥회 도중 김일성을 처음 만났다.

7. 관련 문서



[1] 다른 이름은 '칠골'[2] 하리교회는 6.25 전쟁 중 파괴되고 1989년 칠골교회라는 이름으로 재건된다.[3] 일제시대 말기인 1945년까지도 조선의 문맹율은 75%였다. 일제시대 조선에서는 중등교육까지만 받고도 초등교육 교사 노릇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4] 6.25 전쟁 때 파괴되었다.[5] 일제시대 유명한 부흥사이자 목사였던 김익두는 해방 후 북한 정부에 협조하여 조선그리스도교연맹 총회장을 지냈지만 6.25 전쟁 중 북한 정부를 배신하고 국군·UN군을 지지하여 총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