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정기전

 

[image]
1. 개요
2. 역사
3. 인기
4. 비판
4.2. 똥군기 및 인권 침해
4.3. 제일고교의 인문계 전환
4.4. 회피 현상
5. 백호기와의 공통점
6. 역대 전적


1. 개요



강원도 강릉시에 소재한 강릉제일고등학교[1]강릉중앙고등학교[2]축구 더비. 매년 강릉단오제 행사때 벌어진다.
과거에는 '농상전', '상농전', '중일전', '일중전' 등 여러 이름이 쓰였지만 현재는 '강릉 정기전'으로 통일되었다.

2. 역사


연고전/고연전처럼 처음에는 상농전/농상전으로 불리었었다.
1920년대 강릉 축구가 강릉 단오제에 편승되어 질적·양적인 축구열기 속에서 '관동 단양제 축구대회'가 시작이다. 원래는 강릉을 비롯한 사천, 연곡, 주문진 등 지역대항 시합이었으나, 1925년에는 대관령을 넘어서 춘천, 평창, 양양, 고성, 장전[3], '''함흥''', '''포항''', '''울산'''에서도 참여했을 정도였다고 한다.

1935년에 강릉공립농업학교가, 1941년에는 강릉공립상업고등학교가 축구부를 창단하면서 '관동 단양제 축구대회'에서 두 학교가 늘 맞부딪히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라이벌로 자리매김했다. 지금은 폐교된 주문진수산공업고등학교(주문진 수고)[4]도 함께 참여하여 삼파전 양상을 띄곤 했지만, 1976년 강원도축구협회 주최로 첫 정기전을 치르게 됐다. 이후 강릉상고의 이름이 강릉제일고로 바뀌면서 일농전/농일전으로 불리다가 강릉농고가 강릉중앙고로 바뀌자 강릉 정기전으로 불리고 있다.
아래는 이 더비매치의 '''위엄(?)'''을 보여주는 사례.

"...두 학교의 숙명적인 축구 전쟁은 194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1935년 강릉농공고가 축구부를 만들자 6년 뒤 강릉상고 역시 축구팀을 조직하면서부터다. 전국대회 지역예선이나 강원도 지역대회에 참가해 맞붙곤 했지만 처음부터 두 학교의 축구시합이 투석전을 동반하는 살벌한 분위기는 아니었다고 한다.

61년 노암 공설운동장이 설립돼 축구가 강릉의 최고 인기 스포츠로 자리잡으면서 두 학교 간 대결 양상도 차츰 거칠어지기 시작했다. 경기 후 승부에 불만을 품은 재학생과 동문들의 투석전도 빈번해졌다. 60년대 강릉농공고를 졸업생 말에 의하면 "그땐 수업 빼먹고 돌 주우러 가기 바빴지. 시합 끝나면 정해진 순서처럼 투석전으로 이어졌으니까"라고 당시를 기억했다.

그래도 강릉 시민 전체가 두 학교 간 축구 시합에 뜨거운 관심을 보이자 강릉시 축구협회가 나서 두 학교 축구 시합을 아예 정기전으로 할 것을 주선했다. 두 학교의 합의로 76년 협회 주관하에 단오제 시기에 맞춰 '강릉 농.상 정기전'이 시작됐고, 78년부터는 봄.가을로 대회를 개최했다. 그러나 문제는 갈수록 심해지는 두 학교 간의 앙숙 관계였다.

마침내 82년 시가전을 방불케 하는 대형 사고가 터졌다. 당시 6월 25일 춘계대회가 끝난 뒤 패배한 강릉농공고 학생들이 분풀이로 강릉상고로 진입하여 학교를 엉망으로 만들고 교문을 떼어 강릉 남대천에 버리자 이에 질세라 강릉상고 학생들이 강릉농공고로 쳐들어 간 것. 경찰이 사태 진압에 나섰으나 남대천을 사이에 두고 양측 학생들이 벌인 치열한 싸움은 며칠 동안 강릉시 전체를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고 한다. 결국 이 사건의 후유증으로 농.상전은 이후 6년간이나 중단되고 말았다.

89년 재개된 상.농전은 2년 만에 경비 과다 부담을 이유로 다시 중단되는 우여곡절을 겪다 94년 두 학교 동창회 주관으로 부활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참조

3. 인기


요즘 어떻게 하고 있는지 궁금하면 아래 링크 클릭. '''고교 축구 대회에 기업 스폰서가 들어온다(...).''' 폭력은 없어졌지만 그 중요도와 열기만 놓고 보면 대한민국 축구 더비 중 이만한 것도 없다. ## 강릉사람이 강릉 정기전을 모른다면 간첩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인기가 끝내준다.
하긴 시작년도를 따지면 1970년대로 1980년대에 출범한 K리그 저리가라할 정도의 정통성을 가지고 있으니...이러한 동네에서 뒤늦게 2008년이 되어서야[5] K리그 프로축구팀 강원 FC가 창단한 게 미스터리로 느껴질 정도.
강원 FC 창단이후 제일고와 중앙고를 거르고 강릉문성고등학교가 강원 FC의 유스팀으로 지정될뻔 했으나[6] 어른들의 사정으로 문성고가 빠지고 결국 강릉제일고가 유스로 지정되었다. 그 후 프로축구팀의 관리를 받는 제일고등학교에 비해 강릉중앙고가 밀리는 형국이 되어 버렸다.관련글 결국 이때문에 강릉중앙고측에서 형평성 문제와 이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전력차 문제를 제기하며 정기전 참가를 거부해, 2014년에는 정기전이 무산되었다. 클럽 당 유스팀을 하나씩만 두는 축구 정책이 바뀌지 않는 한 이 문제가 해결되기 어렵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는 정기전 자체가 역사속으로 사라질 수도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2016년에 다시 열리기는 했다.

4. 비판


이러한 위엄이 있는 것도, 떠들썩한 동네잔치인 것도 사실이지만 마냥 좋기만 한 행사인 건 아니다.

4.1. 훌리건


강릉 정기전이 재개된 이후에 알아서 자제들 했다지만 그래도 농공고등학교나 상업고등학교나 주먹 좀 쓴다는 친구들이 있었기에 옛적 농상/상농 시절 경기결과에 따라 재학생끼리의 폭력 사태 혹은 혈기를 주체 못한 졸업생끼리의 폭력 사태는 그냥 부대행사라 할 수 있었다. 당연하겠지만, 강릉이 태백산맥 너머 영동지역의 중심이다보니 동문들이 강원도 전체에 퍼져있고 이들이 붙는다면 어디든 따라붙는다는 사실. 이때문에 전국대회 예선전을 중립경기로 치렀는데 거기서도 원정팬들이 싸움질을 했었다고(...).

4.2. 똥군기 및 인권 침해


'''강압적인 응원 문화'''도 문제 중 하나였다. 일단 두 학교 모두 남고에 양 학교 다 자존심이니 어쩌니 하며 응원전이 치열했고 전교생을 동원한 질서정연하며 변화무쌍한 응원은 그야말로 하나의 멋진 볼거리라 졸업생들과 관객들은 무척 높은 수준의 응원을 보며 즐겼다지만 '''그 완성도는 어디서 비롯되었겠는가?'''[7] 뒤에 후술할 제주특별자치도백호기 청소년 축구대회의 염가판이라 봐도 무방할 정도다.
경기 일정에 맞춰 개월 단위의 준비기간을 거쳐 응원 연습에만 몰두하며 학업은 뒷전으로 미루고, 뭐 쌍방 다 공부라고는 죽어도 안 하는 학교로 유명했던 건 차치하더라도[8], 학생들이 그 뜨거운 햇빛 아래 날이면 날마다 몇 시간이고 강제동원이 되었어야 했는가? '''응원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준비물의 구입부터 시작해서 강제적인 참가의 강요와 도주하는 학생들을 감시하고 제재하며, 훈련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의 묵인, 방조 아래 학생들 자체적으로 상하적 선후배 관계를 바탕으로 극히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수단을 사용해 부조리한 문화를 주입해 왔다.''' 양학교에 만연했던 수직적인 선후배 문화는 양 학교 공히 응원의 주축이라 할 수 있으며 다른 학교로 따지면 1진이라 할 수 있는 응원단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교내 폭력, 금품 갈취 등으로 이루어지는 학생들 간의 상하관계는 응원단을 중심으로 성립된다고 봐야 하며 그 원흉이라 할 수 있는 응원단 내부에서는 다른 교내 조직들보다 한층 높은 강도의 폭력이 행해진다. 최근 상업고등학교가 교명을 제일고로 개명하며 인문계로 전환함에 따라 제일고등학교에선 이 응원문화가 한층 약해졌으나 아직도 몇 시간을 할애하여 학생들을 땡볕에서 괴상한 구호나 외치고 하고 있으며 심지어 강릉제일고등학교강릉중앙고등학교에는 아직도 강압적인 분위기나 일부분 폭행이 형성중이다.[9]
교사들의 묵인, 방조에는 후원금의 문제도 의문으로 제기할 수 있다. 거친 남학생들을 교사가 통제하는 것보다 차라리 같은 학생들에게 그 통제를 맡기는 편이 더 편하다는 점은 이해할 수 있지만 [10], 긴 세월 동안 수업은 제쳐 두고 응원 준비에 심혈을 기울였던 것은 이상하다. 특히 이 축구 정기전이 양학교에게 있어 큰 행사이며 타지로 떠나있던 동문들도 이 행사를 위해 한데 모이며 경기의 질뿐 아니라 응원전의 질을 통해 졸업생들 나름대로 학교의 명예 등을 가늠했던 것, 또한 경기가 끝나면 굳게 조직된 각 학교 동문회를 통해 거액의 후원금이 들어오는 것은 과연 이 행사와 학생들의 강제적 동원 이면에 무언가가 존재하는 것인지에 관해 의문을 자아낸다.

또한 이 수직적 문화가 몇십년이고 대물림된 것, 좀 과장되게 말하면 그러한 강압적인 선후배 문화 자체가 두 학교 졸업자들이 많은 수를 차지하는 강릉시 전체에 만연케한 것이 과연 옳은 일이라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읍면 지역이 아닌 강릉시내에 남학생이 통학 가능한 고등학교는 현재 강릉고, 명륜고, 제일고, 농공고, 경포고, 문성고가 있다. 경포고와 문성고는 비교적 역사가 짧으며 남녀공학이라곤 하지만 여학생 비율이 말도 안 되게 높게 배정하는 것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4개 학교가 남학생의 교육을 책임지고 있다고 보는 게 맞다. 이 중 인문계 명문고인 강릉고는 유학생 비율도 있고 대개의 학생이 타지로 나간다는 것, 또다른 인문계인 명륜고도 강릉에 머무르는 비율이 크지 않다는 것을 감안하면 실질적인 강릉시내의 경제, 상업적 주도권은 농공고와 제일고가 양분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주민들은 별로 의식하고 있지 않지만 이 강압적이고 수직적 관계에 바탕한 인간관계는 강릉 시내의 경제, 상업활동에 있어서 일종의 카르텔로 작용하고 있다.

4.3. 제일고교의 인문계 전환


정기전의 두 축이였던 강릉 농공고(강릉 중앙고)와 강릉 상고중 강릉 상고가 교명을 강릉 제일고등학교로 바꾼 후 인문계로 전환한다. 이 과정에서 고교 평준화가 시행 중인 강원도는 소위 '뺑뺑이'라고 불리는 고교 추점제를 이용 중인데, 이런 와중에도 '''제일고는 계속해서 정기전에 참가하였다.'''
옛 강릉상업고등학교가 보통과(인문계) 추가 및 인문계 학교로 전환하고 교명을 현재의 강릉제일고등학교로 변경한 것은 2002년이다. 그리고 강릉시에서 고교평준화가 시행된 것은 한참 뒤인 2013년이다. 그 이전까지는 비평준화 지역으로서 원서를 내고, 중학교 성적과 입학 시험에서 합격해야 입학 가능했다.
실업계인데다 어느정도 지원제와 면접제인 중앙고등학교와 달리, '가고 싶어서 간 것도 아닌인문계열고등학교에서 강제동원 응원을 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 과정에서 폭행은 없을 지언정[11] 학생부등의 간부층의 압박과 똥군기, 더불어 교사진의 전형적인 학생 인권 무시와 한여름 낮 운동장에서 정식 교과 시간을 할애 한 채 한창 입시가 중요한 3학년까지 포함한 단체 훈련이 5년째 자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점은 그냥 넘어갈 문제가 아닌 것이, 제일고등학교는 엄연한 인문계 고등학교이며, 추첨제로 온 것이라 학생들은 제일고로 배정 받았다는 이유 하나로 똥군기 속에서 강제동원 응원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4.4. 회피 현상


이런 막장 문화를 간파한 지역의 많은 학부모들이 자녀들을 위해서(자녀들이 심각하게 공부를 못하거나 일진 문제아가 아닌것을 조건으로) 필사적으로 이 두 학교를 기피하고 정상적인 다른 고등학교로 자녀들을 진학시키는 경우도 가끔 있다.
물론 후에 상고가 인문계인 제일고등학교로 변환된 이후 제일고가 배정된 이후엔 제일고를 피할려면 1년을 꿇거나(...) 미리 이사를 가는 방법 외엔 없는 답이 없는 싱황이 되었다. 물론 제일고가 3년 연속으로 서울대학교를 보내고 명문이였던 강릉고등학교가 처참한 실적을 보이며 바라보는 모습이 바뀌고 있지만 정기전에 대한 회피는 여전하긴 한 듯 하다.

5. 백호기와의 공통점


앞서 전술하였듯이 제주특별자치도백호기 청소년 축구대회가 이와 매우 흡사하다. 좁은 지역사회와 낙후한 교육문화, 지역 정치인(혹은 토호)들을 대거 배출하는 몇몇 제주시[12]내 남고들의 강한 연고의식(혹은 패거리주의 ), 그리고 이러한 연고의식을 백호기라는 스포츠 더비를 통해 재생산하는 학교, 교사, 그리고 선후배문화가 그렇다. 몇몇 학교는 사관학교 응원을 본따서 만든 일종의 매스게임을 학교의 자랑으로 여기며 홍보영상에도 활용하지만, 실상을 들여다 보면 그 응원문화 자체보다도 그것을 너무나도 절대시하는 학생들의 의식에 심각성을 느낄 수 있다. 백호기 기간에는 응원문화에 대한 비판을 입 밖에 내놓을 수 없으며[13], 다소간의 선배의 폭력도 교사들이 승인해준다. 군대문화가 파고들었던 구시대의 학교문화의 잔재라고 할 수 있겠다.
사실 이러한 응원연습 외에도 제주시의 남고들의 경우 공식적인 절차로서 신입생들에게 학생회가 '선배교육'이라고 불리우는 군기잡기 행사를 시행하는 일까지도 저질러 왔다. 신병 군기잡기도 아니고... [14] 응원연습 역시 선배교육의 연장선 혹은 대체물로서 존재하는 것이기도 하다. [15]

6. 역대 전적


일자
회차
대회명
결과
1976년 6월 2일
제1회
농 · 상 친선 축구대회
무승부
1977년 6월 5일
제2회
상 · 농 친선 축구대회
무승부
1978년 6월 3일
제3회
춘계 친선 축구대회
'''상고승'''
1978년 11월 12일
제4회
추계 친선 축구대회
무승부
1979년 5월 30일
제5회
춘계 친선 축구대회
무승부
1979년 11월 17일
제4회
추계 친선 축구대회
무승부
1980년
-
1차 중단

1981년 6월 7일
제7회
춘계 친선 축구대회
'''상고승'''
1982년 6월 25일
제8회
춘계 친선 축구대회
'''상고승'''
1983년
-
2차 중단[16]

1989년 6월 9일
제9회
춘계 친선 축구대회[17]
'''상고승'''
1990년 5월 28일
제10회
춘계 친선 축구대회
무승부
1991년
-
3차 중단[18]

1994년 6월 12일
제11회
농 · 상 친선 축구대회
'''농고승'''
1995년 6월 4일
제12회
상 · 농 친선 축구대회
'''농고승'''
1996년 6월 23일
제13회
농 · 상 친선 축구대회
무승부
1997년 6월 8일
제14회
상 · 농 친선 축구대회
무승부
1998년 5월 31일
제15회
농 · 상 친선 축구대회
무승부
1999년 6월 20일
제16회
상 · 농 친선 축구대회
무승부
2000년 6월 10일
제17회
농 · 상 친선 축구대회
무승부
2001년 6월 24일
제18회
상 · 농 친선 축구대회
무승부
2002년
-
4차 중단

2003년 6월 1일
제19회
농 · 일 친선 축구대회
무승부
2004년 6월 26일
제20회
일 · 농 친선 축구대회
'''농고승'''
'''1:1
(4 PK 3)'''[19]
2005년 6월 11일
제21회
농 · 일 친선 축구대회
'''농고승'''
2006년 6월 3일
제22회
일 · 농 친선 축구대회
'''농고승'''
2007년
-
5차 중단

2008년 6월 8일
제23회
강릉단오제 축구정기전
'''제일고승'''
2009년 5월 23일
제24회
강릉단오제 축구정기전
'''제일고승'''
2010년 6월 19일
제25회
강릉단오제 축구정기전
무승부
2011년 6월 5일
제26회
강릉단오제 축구정기전
'''중앙고승'''
2012년 6월 23일
제27회
강릉단오제 축구정기전
'''제일고승'''
2013년 6월 15일
제28회
강릉단오제 축구정기전
'''제일고승'''
2014년
-
6차 중단[20]

2015년
-
메르스로 인해 무산

2016년 6월 11일
제29회
강릉단오제 축구정기전
'''중앙고승'''
2017년 6월 3일
제30회
강릉단오제 축구정기전
'''제일고승'''
2018년 6월 17일
제31회
강릉단오제 축구정기전
'''중앙고승'''
2019년 6월 8일
제32회
강릉단오제 축구정기전
'''제일고승'''[21]
2020년
-
코로나19로 인해 무산


[1] 구 강릉상고[2] 구 강릉농고[3] 지금의 북한 강원도 고성군[4] 현재는 학교 부지에 강원도립대학이 위치해 있다.[5] 사실 1987년에 현대 호랑이가 연고로 삼았던 적이 있다.[6] 이는 강릉제일고와 강릉중앙고 두 쪽 중 한 쪽을 선택하는 순간 반대쪽에서 강한 반발을 예상했기 때문이었다.[7] 당장 북한의 대표적인 매스게임만 봐도 완성도를 위해서 수십만명이 강제로 동원되어서 군대를 능가하는 통제하에 수개월을 응원에 매달린다.[8] 강릉제일고등학교는 일반계 고등학교로 전환되었고 강릉중앙고등학교만 공업고등학교로 그대로 남아있다.[9] 이러한 강압적인 연습, 연습과정에서의 구타와 욕설등 북한의 아리랑 연습과정과 매우 흡사하다. 기사를 참조하라.[10] 보통 일진이나 폭력적인 선배를 통해 학생들을 통제하는 기법을 활용하는 교사들이 많은데, 매우 비교육적이며 교사의 직무를 포기한 처사이다. 편하긴 하겠지. 내리갈굼[11] 암암리에 소수 있는 경우도 있긴 하다.[12] 과거에는 자치시였으나 이제는 행정시이다.[13] 당연히 교사와 선배의 탄압 때문[14] 아직까지도 학생회가 제대로 못하는 학생은 간접적으로 체벌을 시킨다. 예전처럼 직접적인 폭행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다고 봐도 무방하나 간접적으로 학생들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가한다.[15] 강원도나 제주도같은 작은 사회는 외떨어진 곳이라 교육문화가 상당히 낙후된 편이라고 한다. 따라서 육지의 대도시들처럼 학생인권조례라든지 하는 인권신장 노력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편이라고 한다. 체벌은 당연히 존재하고, 육지의 학교에서라면 진보적 언론에서 이슈화했을 법한 사건들이 몇 년 전 까지 엄연히 존재했다. 그래서 언급했다시피 많은 학부모들이 자녀들이 공부를 심각하게 못하거나 문제아 일진이 아닌 이상 다른 지역의 고등학교로 전학을 보내거나 본토로 이사를 간다.[16] 1982년 6월 25일 제8회 대회 직후 재학생들간 폭력사태가 발발해 6년 동안 취소함.[17] 강원도축구협회 주선으로 부활[18] 경비과다 부담으로 양교협의중단[19] 이때는 무승부시 승부차기를 도입했다.[20] 강릉제일고등학교가 강원 FC의 유스팀으로 지정된 이후 형평성이 맞지 않다는 이유로 개최 중단을 선언했다.[21] 강릉중앙고등학교가 금강대기 전국고등학교축구대회에, 강릉제일고등학교가 대한축구협회장배 전국고등학교축구대회에 참여했다. 일정 상 문제로 인해 양측 학교가 이번 정기전에 1학년 선수들이 뛰는 걸로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