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천사 10층 석탑

 


[image] '''대한민국 국보 제86호'''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開城 敬天寺址 十層石塔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정연도'''
1962년 12월 20일
'''제작시기'''
고려 충목왕 1년(1345)
[image]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로비에 소장된 모습.
1. 개요
2. 내용
3. 기타
4. 바깥고리
5. 국보 제86호
6. 같이보기


1. 개요


국보 제86호로,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이라고도 한다. 한국에서는 드문 대리석으로 만든 불탑이다.
일반적으로 연상하는 한국적인 이미지의 불탑의 모습과는 달리 상당히 화려한 장식이 특징인데 원나라의 양식을 도입해서 만들었다고 한다. 사실 그 기원이 고려 후기 친원 권문세족들이 제작한 것이라 그렇다. 원나라 황제, 황후, 황태자의 만수무강과 원나라의 만세불변을 기원하며 지었다고 한다. 그 원나라 황후가 바로 기황후. 또한 석탑1층에 원 황제와 고려 국왕의 장수와 복을 빈다는 내용이 나와있다.
훗날 세조 때 만들어진 국보 제2호인 원각사지 10층 석탑에 영향을 주었다. 실물을 보면 재질이나 외관이 유사하다. 참고로 원각사지 십층석탑은 현재 탑골공원에 전시되어 있다.
10층 석탑이지만 구조적으로는 3층석탑과 7층석탑을 합친 형태로 구획되었다. 중국 문화권 불교에서 사찰의 탑은 양(陽)을 상징하는 홀수에 따라 층을 홀수로 맞춤이 원칙이다.

2. 내용


본래는 개성 교외 지역[1] 경천사라는 절에 있었는데 다나카 미츠아키라는 일본인이 일본에 무단반출해갔다가 어니스트 베델의 활약으로 조선은 물론 일본 내에서도 반발여론이 들끓었다고 한다. 다나카 미츠아키는 일본궁내대신으로 순종 황제의 가례에 참석하려고 왔다가 경천사지 석탑이야기를 들었던 모양이다. 그리고는 순종 황제가 하사했다고 사기치고 대놓고 무단으로 해체해 갔다고 한다.
그 후 조선총독부에서 실태조사 후 반환요구를 하여 1918년 다시 일제 강점기 조선으로 돌아왔다. 대한제국을 떠나 조선으로 돌아온 셈. 당시 조선총독 데라우치 마사다케는 한반도가 지속적으로 일본의 식민지로 있을 것이라고 판단해서 반환을 요구했다. 쉽게 말해서 데라우치 마사다케는 딱히 조선의 물건을 조선에 반환시켜 주려고 한 것이 아니라, 자기 앞마당에 있는 장식물을 훔쳐갔다고 생각한 것.(...)
해방 이후에는 6.25전쟁 등의 수난을 겪다가 1960년에 서울 경복궁에 전시시켜 놓았다. 다행인지 아닌지 모르겠지만 원래 자리(개성)[2]에 가져다 놓거나 일본으로 불법반출된 상태가 유지됐다면 지금 우리가 경천사지 10층 석탑을 눈으로 보기는 힘들었을 것이다.[3]
이후 경복궁 복원사업이 진행되고 산성비로 인해서 대리석재인 석탑의 보존문제가 심각해져서 결국 문화재청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하고 산성비로 부식된 석탑의 복원공사를 마친 후에 이전하여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의 로비에 서 있다. 관련 기사

3. 기타


[image]
  • KOF 97에서는 한국의 경복궁 스테이지에 이 탑이 보이는데 당시는 국립중앙박물관[4]이 세워지기 전이었기에 97년 당시 그곳에 전시되어 있어 해당 스테이지에 나왔다.
  • KBS 1TV의 교양 프로그램 천상의 컬렉션 14회에 대표 문화재로 소개되기도 하였다.
  • 더 콰이엇염따의 곡 Bentley 2 뮤비의 배경이다.

4. 바깥고리



5. 국보 제86호


경천사는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부소산에 있던 절로, 고려시대 전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절터에 세워져 있었던 이 탑은 일제 시대에 일본으로 무단으로 반출되었던 것을 되돌려 받아 1960년에 경복궁으로 옮겨 세워 놓았다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 놓았다.

3단으로 된 기단(基壇)은 위에서 보면 아(亞)자 모양이고, 그 위로 올려진 10층의 높은 탑신(基壇) 역시 3층까지는 기단과 같은 아(亞)자 모양이었다가, 4층에 이르러 정사각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다. 기단과 탑신에는 화려한 조각이 가득 차 있는데, 부처, 보살, 풀꽃무늬 등이 뛰어난 조각수법으로 새겨져 있다. 4층부터는 각 몸돌마다 난간을 돌리고, 지붕돌은 옆에서 보아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 형태의 기와골을 표현해 놓는 등 목조건축을 연상케 하는 풍부한 조각들이 섬세하게 새겨져 있다. 탑의 1층 몸돌에 고려 충목왕 4년(1348)에 세웠다는 기록이 있어 만들어진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다. 새로운 양식의 석탑이 많이 출현했던 고려시대에서도 특수한 형태를 자랑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석탑의 일반적 재료가 화강암인데 비해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다는 점도 특이하다. 전체적인 균형과 세부적인 조각수법이 잘 어우러진 아름다운 자태로 눈길을 끌며, 지붕돌의 처마가 목조건축의 구조를 그대로 나타내고 있어 당시의 건축양식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이러한 양식은 이후 조선시대에 이르러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국보 제2호)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일본으로 반출되면서 훼손되었던 원래의 탑 형태를 국립문화재연구소의 복원작업을 거쳐 현재 새로 개관한 용산의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6. 같이보기



[1] 오늘날 경기도 개풍군. 예성강을 마주 보고 있는 바로 그 동네로 사실 개성에서도 꽤 거리가 있다.[2] 다만 만약 남북통일이 이루어진다면 그 때는 원래 자리가 있는 개성으로 옮겨질 가능성도 있다.[3] 원소재지가 북한에 있으면서 비슷한 신세였던 북관대첩비는 2005년에 우리나라를 거쳐 북한으로 돌아가기라도 했지 이 쪽은 분단으로 인해 원소재지로 돌아가지도 못하고 남한에 계속 남게 되었다.[4] 건물로 쓰던 조선총독부가 철거되고 현재의 국립고궁박물관이 당시 국립중앙박물관 건물 역할을 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