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공로

 



[image]
(출처: 위키백과)
1. 개요
2. 특징
2.1. 제한 속도
2.2. 표지판
2.3. 태양광 고속도로
3. 역사
4. 요금
5. 휴게소
6. 고속도로 호칭
7. 고속공로
7.1.1. 수도방사 고속공로 목록
7.1.2. 남북종관선 9개 노선 목록
7.1.3. 동서횡단선 18개 노선 목록
7.1.4. 지역순환선 7개 노선 목록
8. 관련 문서


1. 개요


중국은 2011년 미국의 고속도로 시스템인 인터스테이트 하이웨이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긴 고속도로 시스템을 가진 나라가 되었다. 2014년 기준으로, 총 '''111,950km(!!)''' 로 한 해 '''7,450km(!!)'''길이의 고속도로를 짓고 있다.
중국의 고속도로 공식 명칭은 '''중국국가고속공로망'''(중국어 간체 : 中国国家高速公路网, 정체 : 中國國家高速公路網, 병음 : Zhōngguó Guójiā Gāosù Gōnglùwǎng)으로 크게 7개의 수도방사 고속도로(베이징 중심), 9개의 남북간 고속도로, 18개의 동서간 고속도로 로 구성되어있다. 2005년 1월 13일, 교통부가 공포한 "국가고속공로망규화"로 맞는 고속도로 명칭 '''7918망'''(중국어 간체 : 7918网 정체 : 7918網, 병음 : 7918 wǎng)라고 정하며 그렇게 불린다. 게다가 지방 성(省)정부가 관리하는 고속도로가 있다.

2. 특징



2.1. 제한 속도


중화인민공화국 도로교통안전법은 2004년5월 1일에 전국 고속도로의 제한 속도를 110 km/h에서 120km/h로 변경했다. 그러나 지방의 고속도로에서는 제한속도변경에 시간이 걸리고 있는 개소도 있어 일부에서는 종래의 110 km/h가 되고 있다. 다만, 특수한 구간은 제한 속도를 달리 잡고 있다.[1]
중국의 고속도로들은 보통 4차선으로 제한속도 100km/h이지만 대도시와 연결되고 있는 곳은 8차선이거나 6차선이다. 8차선과 6차선은 제한 속도가 120km/h이다. 최저속도제한은 70km/h이지만 추월 차선의 최저속도 제한은 100km/h로 110km/h와 달리 정해져 있다. 최저속도위반 및 최고속도위반은 교통법규위반으로 여겨진다.

2.2. 표지판


[image]
징하고속공로탕산IC의 표지판
한국과 똑같이 중국어가 먼저이며 당연히 밑에 병음을 쓴다.
[image]
국토가 넓은 탓에 가끔 이런 경우도 있다. 거리를 봐서는 허베이성 스자좡 시 인근 징강아오고속공로황스고속공로가 만나는 천자좡싼파이춘(陈家庄三排村) 지역으로 보인다.

2.3. 태양광 고속도로


2017년에 세계 최초로 산둥 성 지난 시의 순환고속도로 남단에 시범용 1,120m 구간의 태양광 고속도로가 건설됐다.
이 구간엔 5천875㎡ 넓이의 태양광 패널이 1천80m 길이에 걸쳐 하단에 포설돼 있다.
태양광 패널 위의 노면 최상층부에 깔린 반투명의 신형 재료는 마찰계수가 일반 아스팔트 도로보다 높아 자동차 타이어가 미끄러지지 않고, 투광률이 높은 까닭에 태양광을 충분히 흡수해 전력화할 수 있다.
이 도로를 달려본 한 버스 운전사는 시속 100㎞로 달릴 때 주행감은 일반 도로와 다를 바 없었고 제동거리도 비슷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연간 발전용량 100만kW의 이 태양광 도로 전력은 곧바로 전력망으로 수송돼 배전되며, 열에너지로 바뀌어져 겨울철에 내리는 눈을 자동으로 녹이는 용도로도 쓰인다.
노면 하부에 설치된 전자감응장치는 향후 전기차 충전 기술과 결합돼 주행중 무선충전을 실현하게 된다. 또 달리는 자동차는 노면의 각종 정보수집 설비와 접속돼 차량 정보,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창구로도 활용된다.출처
하지만, 개통 5일만에 잠정 폐쇄됐는데, 폐쇄 이유는 1.8 폭의 태양광 발전판 1개가 도난 당하고 주변 7개 태양광 발전판도 파손됐기 때문이다. 결국 중국의 고속도로 관리실태만 드러난 셈이다.#
다시 중국의 첫 본격적인 태양광 발전 슈퍼 고속도로가 2022년 개통해 전기·자율주행 자동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태양광 고속도로는 동부 저장 성 항저우~샤오싱~닝보까지 161㎞ 구간에 6차선 규모로 건설되며 노면 하단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판으로 주행 중인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고 자율주행 지원기능도 갖출 것으로 보인다.#

3. 역사


중국은 미국과 비슷한 크기의 나라로 넓은 나라의 교통을 위해서 빠른 교통 시스템이 필요했다. 1980년대 이전에는 국도를 제외한 철도 교통 중심이었기 때문에 도로교통이 성장 할 수 없었다. 물론 국도는 있으나 물류수송량이 워낙 철도가 압도적이라 도로에 대한 관심이 없었다. 개혁개방이 시작한 1978년 당시에 도로 교통이 '''2.8%'''을 차지했지만 철도는 '''54.4%'''을 차지할 정도로 철도 교통이 워낙 컸다. 그러나 경제가 성장하면서 철도교통이 아닌 지역 간의 교통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고속도로 라는 대안이 처음 나오기 시작했다. 같이 도로 교통도 성장하면서 주목받는 것은 당연하다. 1984년 6월 7일선다고속공로가 중국의 고속도로 최초로 착공을 하였다. 선다고속공로는 현재의 선하이고속공로의 중첩 구간이다.

4. 요금


1km 당 약 0.5위안에서 최저요금에 따라 거리와 상관없이 적용된다. 고속도로에 의한 표준적인 금액보다 높을 경우[2]이나 저렴한 경우[3]도 존재한다. 통행요금과 관련없이 고속도로는 고규격으로 건설되어 있다.
대부분의 고속도로는 카드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고속도로에서의 입구에서는 한국의 통행권처럼 운전자에게 입선 카드를 준다. 지불되는 요금은 고속도로에서 나갈 때에 운전수가 출구 요금소에 입선 카드를 반환할 때 그의 주행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일부 고속도로는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을 채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대한민국의 하이패스와 비슷한 시스템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현금지불과 중국의 어플인 알리페이와 위챗으로도 적지 않은 구간에서 지불이 가능하며, 점점 확대되는 추세이다.

5. 휴게소


휴게소나 간이 휴게소는 교통량이 많은 고속도로에서는 고밀도에 설치되고 있으며, 특히 주유소의 밀도는 높다.
중국의 고속도로는 휴게소의 비중이 좀 적은 편이다 하지만 명절때만 되면 사람이 넘쳐나는것은 한국과 마찬가지.
다만 중국이 국토가 넓기 때문에 휴게소간의 시설이나 서비스 차이가 심하게 나는 편이다. 인구가 많은 지역을 달리는 고속도로에 있는 휴게소들은 2010년대에 대대적인 시설 확충 및 서비스 개선작업에 들어가서 한국의 고속도로 휴게소와 비교해도 큰 손색이 없는 곳이 많은 반면에 시골 오지를 달리는 고속도로의 휴게소는 아직도 시설이 낙후된 경우가 허다하다.
다만, 휴게소 치곤 과한 휴게소들도 있는 곳이 있다.#

6. 고속도로 호칭


중국에서는 예전에 '''"모터웨이(Motorway)"'''도 '''"하이웨이(Highway)"'''도 맞춰서 '''"프리웨이(Freeway)"'''라고 칭했다.
여기서 "프리"는 "무료"를 말하는것이 아니고, 교통이 자유롭게 흐르고 있어, 교차지점은 각 차선이 분리되어 고속도로상의 교통은 신호기나 일시정지 표식과 같은 교통 제어 시설에 의해 규제되지 않는 것을 뜻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통행요금을 징수하는 고속도로인 것에도 관련되지 않고 "프리"를 "무료"로 오해했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1990년대에 고속도로를 의미하는 단어를 '''"익스프레스웨이(Expressway)"'''의 명칭으로 통일시켰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는 "하이웨이"는 고속도로를 의미하는 단어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또 중국에서는 '''쾌속공로(快速公路)'''와 '''고속공로(高速公路)'''라고 하는 구분도 존재한다. 양자는 거의 동일하지만 쾌속공로는 주로 도시부에 정비된 고규격도로 즉, 대한민국자동차전용도로고속화도로, 도시고속도로와 비슷한 개념인 도로라고 봐도 무방하다.

7. 고속공로


2005년 1월 13일, 중국 교통부가 공포한 "국가고속공로망규화"로 채용된 방사상 고속도로와 종횡의 고속도로망을 조합시킨 정비 계획이며, 수도에서 방사선 7개, 9개의 남북종관선, 18개의 동서횡단선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7918망"'''이라고 칭해졌다.
고속공로 노선번호 부여방식은 국가에서 관리하는 국가급 노선의 경우 国(Guo)의 '''"G"'''라는 문자가 붙으며 성 정부에서 관리하는 성급 노선은 省(Sheng)의 '''"S"'''자 문자로 시작한다.[4] 그리고 노선의 형태별로 번호 부여방식이 달라진다.
노선별 번호 부여방식은 다음과 같다.
  • 수도방사선에는 베이징에서부터 동북쪽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징하고속공로부터 시계방향으로 1에서 9까지(실제로는 7까지)의 번호가 붙는다.
  • 남북종관선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11에서 89까지의 홀수번호를 부여한다. 이는 한국과 미국 고속도로 노선번호의 반대방향으로 매겨지는 것이다.
  • 동서횡단선에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10에서 80까지의 짝수번호를 부여한다. 이는 한국과 미국 고속도로 노선번호의 반대방향으로 매겨지는 것이다.
  • 91에서 99까지의 숫자는 각 지방(분지, 도시권, 섬 등)을 순환하여 연결되는 도로의 숫자이다.
  • 간선도로에 부속되는 연락선에는 간선 번호의 뒤에 1이 있고 또 1로부터 시작되는 숫자로 되어 있다.[예시1]
  • 도시순환고속도로에는 접속하는 간선도로의 번호의 뒤에 0이 있고 또 1로부터 시작되는 숫자로 되어 있다.[예시2]
  • 간선도로에 병행되는 노선에는 방위(방각)의 영어 머리 문자인 N·E·W·S의 문자를 붙일 수 있다.[예시3]

7.1. 노선 목록



중국의 고속도로는 중국 전역으로 뻗어나가는 수많은 수도방사형 노선 및 간선 노선들, 그리고 그 지선들로 구성되어 있어, 가독성 및 공간상의 편의를 위해 위에 링크된 틀에 문서를 따로 분리하였다. 따라서 위 표를 참고할 것.

7.1.1. 수도방사 고속공로 목록


  • G1(징하고속공로) : 베이징-하얼빈 고속도로. 중국 최초의 고속공로이다.
  • G2(징후고속공로) : 베이징-상하이 고속도로.
  • G3(징타이고속공로) : 베이징-타이베이 고속도로[5]
  • G4(징강아오고속공로) : 베이징-홍콩-마카오 고속도로
  • G5 (징쿤고속공로) : 베이징-쿤밍 고속도로
  • G6 (징짱고속공로) : 베이징-라싸[6] 고속도로
  • G7 (징신고속공로) : 베이징-우루무치[7] 고속도로

7.1.2. 남북종관선 9개 노선 목록



7.1.3. 동서횡단선 18개 노선 목록



7.1.4. 지역순환선 7개 노선 목록


  • G91 (랴오중 순환 고속공로) 랴오닝 성 번시 시 ~ 랴오닝 성 푸순 시
  • G92 (항저우만 순환 고속공로) 상하이 시 ~ 저장 성 닝보 시
  • G93 (청유 순환 고속공로) 쓰촨 성 청두 시 ~ 충칭 시 ~ 쓰촨 성 청두 시
  • G94 (주강 삼각주 순환 고속공로) 광둥 성 선전 시 ~ 홍콩 ~ 마카오 ~ 광둥 성 선전 시
  • G95 (수도지역 순환 고속공로) 베이징 시 ~ 허베이 성 ~ 톈진 시 ~ 베이징 시
  • G98 (하이난 순환 고속공로) 하이난 성 하이커우 시 ~ 하이난 성 싼야 시 ~ 하이난 성 하이커우 시
  • G99 (타이완 순환 고속공로) 타이완 성 타이베이 시 ~ 타이완 성 가오슝 시 ~ 타이완 성 타이베이 시[8]

8. 관련 문서



[1] 징짱고속공로의 팔달령 구간은 4차선인데다가 선형이 너무나도 좋지 않아 14km짜리 구간단속의 제한속도가 '''60km/h'''이다. 이 구간은 최저제한속도가 없다.[2] 진찌 고속공로는 1 km당 0.66위안[3] 징시 고속공로는 1 km당 0.33위안[4] 이러한 영문 규칙은 국도(国道)와 성도(省道)번호 명명규칙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예시1] G15 선하이 고속공로의 연락선으로 취급되는 르자오 - 란카오간 고속도로에는 G1511이라는 번호로 되어 있다. 이후의 연락선은 G1512, G1513으로 되어 있다.[예시2] G15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G1501, G1502 등[예시3] G15에 병행되는 창수 - 타이저우간 고속도로에는 G15W의 번호로 되어 있다.[5] 푸저우까지만 개통되어 있다. 타이베이까지는 해저터널을 뚫을 구상을 하고 있는 것 같은데 현실성 문제와 양안관계를 고려해보면 향후 몇십년 이내에는 어려울 것 같다.[6] 티베트[7] 위구르[8] 타이완은 중국 대륙의 지배가 미치지 못하므로 서류상으로만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