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문성

 

[image]
[image] '''대한민국의 사적''' '''제48호'''
'''관문성'''
關門城
Gwanmunseong Fortress
[ 펼치기 · 접기 ]
'''소재지'''
울산광역시 북구 중산동 산11
'''분류'''
유적/정치국방/성/성곽
'''면적'''
991\,774㎡
'''지정연도'''
1963년 1월 21일
'''제작시기'''
통일신라
'''위치'''


1. 개요
2. 역사

[clearfix]

1. 개요


울산광역시 북구 중산동에 있는 신라시대의 산성이다. 사적 제48호.

2. 역사


'''성덕왕 21년, 모벌군(毛伐郡)에 성을 쌓아 일본이 노략질하는 길을 막았다.'''

삼국사기제8권 신라본기 제8 성덕왕 21년


개원(開元) 10년 임술(서기 722)에 비로소 '''보화군(毛火郡)에 관문(闕門)을 쌓았다.''' 지금의 모화촌(毛火村)으로 경주(慶州) 동남쪽 경계에 속하는데, 일본(日本)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요새였다. 둘레가 6,792보 5자였으며, 동원된 인부는 39,262명으로 감독자는 원진(元眞) 각간(角干)이었다.

삼국유사제2권 기이 제2 효성왕[1]


'''관문성'''은 본부 동쪽 45리에 있다. 돌로 쌓았는데 둘레가 6,799척이다. 지금은 허물어졌다.

(중략)

임관군 부의 동쪽 45리에 있다. '''성덕왕 때에 모화군에 성을 쌓아 일본이 침략해 오는 길을 막았는데, 경덕왕이 임관이라 고쳐 불렀다.''' 고려시대에 주에 예속시켰다. 석성의 남은 터가 아직까지 남아 있는데, 사람들이 관문이라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경상도 경주부 성곽조(城郭條)와 고적조(古跡條).

통일신라 성덕왕 시대에 수도 서라벌 남쪽을 왜구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지어졌다. 정확히 말하면 모벌군성(毛伐郡城)혹은 모벌관문(毛伐關門)이라 불렸으며 각간 원진이 감독하에 건설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름대로 경주 외곽을 막는 관문 역할을 했던 성으로 꽤나 유명한 요새였는지 당나라 기록에도 관문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그 나라의 산은 수십리씩 연결되어 있는데, 입구의 골짜기에 튼튼한 쇠문짝을 만들어 달고 '''관문(關門)'''이라 한다. 신라는 이 곳에 항상 궁사 수천명을 주둔시켜 지킨다.

신당서 권220 열전 제145 신라전(원문)

지도를 보면 알 수 있지만 경주와 울산의 경계지점인 여기는 울산항으로 왜군이 상륙했을 때 지나쳐야 하는 좁은 협곡 지형으로 척 봐도 방어하기 좋은 요충지다. 12km의 성벽이 산능선을 따라 쭉 이어져 있어서 '''신라의 만리장성''' 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2] 상당히 오버스런 별명인 것 같고 사실 그렇긴 하지만(...) 가리는 나무가 산에 별로 없었던 옛날에 찍은 사진들을 보면 그럭저럭 장성스러운 느낌은 난다. 사실 조선시대부터 이미 이 성을 만리성(萬里城)이라고 불러왔다고 하니까 현대에 급조된 별명은 아니다.

관문성(關門城)

부의 동쪽 45리 울산 경계에 있다. 돌로 쌓았는데 둘레가 6799척이다. '''지금은 만리성(萬里城)이라 부른다.''' 【이상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나오는데 사이사이에 빠진 것을 보충하였다.】

동경잡기》. 1845년

[image]
[image]
성 안에 성문과 건물터가 여럿 있지만 위 사진을 보다시피 본격적인 복원은 시작되지 않은 상태다.

[1] 삼국유사의 오기.[2] [image] 관문성을 설명할 때 거의 언급되는 편으로 반쯤 공식 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