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중앙고등학교
- 하위 문서: 광주중앙고등학교/기숙사
[clearfix]
1. 개요
경기도 광주시 역동에 위치한 일반계 및 특성화(농업계) 고등학교(종합고등학교).
1942년 이 학교가 지어질 당시의 명칭은 '광주농업고등학교'였다가 1971년 광주종합고등학교로 바뀌었다. 이후 2006년 광주중앙고등학교로 개명하였다. 기성세대는 아직도 과거의 명칭인 광주종고로 부르기도 한다. 종합고등학교라는 명칭답게 인문계열과 특성화계열이 모두 존재한다.
2. 역사
2.1. 학교 연혁
- 1942. 04.01 : 광주 공립 실수학교 개교
- 1952. 07.09 : 광주농업고등학교 개교(농업과 3학급)
- 1952. 09.03 : 석성균 초대 교장 취임
- 1971. 12.30 : 광주종합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1997. 07.10 : 풍물놀이반 창단
- 2003. 09.26 : 경기도 지원 『좋은 학교』선정
- 2006. 03.01 : 광주중앙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2007. 09.28 : 보통과 30학급, 특성화 12학급
- 2010. 09.01 : 제 20대 김현수 교장 취임
- 2011. 09.01 : 청운관 신축
- 2014. 02.06 : 제 60회 졸업(538명, 총 14,375명)
- 2014. 03.03 : 482명(14학급[3] ) 입학
- 2014. 09.01 : 제 21회 이세현 교장 취임
- 2016. 09.01 : 제 22회 김만곤 교장 취임
3. 교훈 및 상징
3.1. 교육목표
[image]
3.2. 학교 상징 및 교훈
[image]
[4]
4. 특성화계열의 학과[5]
- 농업유통정보과
- 산업기계과
- 식품가공과
- 조경과[6]
5. 학교 시설
- 학교 총 부지면적 : 78,984㎡ (교내 65,569㎡, 교외 13,415㎡)
- 보통교실 : 46실
- 특별실 : 총 15실
- 과학실 : 3실
- 미술실 : 1실
- 다목적실 : 1실
- 성적처리실 : 1실
- 도서실 : 2실
- 상담실 : 1실
- 모둠학습실 : 1실
- 시청각실 : 1실
- 방송실 : 1실
- 휴게실 : 2실
- 인쇄실 : 1실
- 미술실 : 1실
- 다목적실 : 1실
- 성적처리실 : 1실
- 도서실 : 2실
- 상담실 : 1실
- 모둠학습실 : 1실
- 시청각실 : 1실
- 방송실 : 1실
- 휴게실 : 2실
- 인쇄실 : 1실
- 관리실 : 11실
- 보건실 : 1실
- 급식실 : 1동 2층
- 체육관 : 1동 2층
- 미래관(1~2층) : 1동
- 풍물전수관 : 1동 2층
- 식품공학관 : 1동
- 산업공학관 : 1동
- 기숙사 : 2동
- 멀티미디어실 : 1실
- 정보처리실 : 2실
- 식품기초실습실 : 1실
- 제빵실습실 : 1실
- 식품가공실습실 : 1실
- 육묘온실 : 1실
- 벤로온실 : 1실
- 포장디자인실 : 1실
- 관엽온실 : 1실
- 화훼장식실 : 1실
- 농업기초실습실 : 1실
- 운전연습장 : 1실
- 농업기계실 : 1실
- 원동기정비실 : 1실
- 농업공작실 : 1실
- 보일러실 : 1실
- 제도실습실 : 1실
- CAD그래픽실 : 1실
- 중장비정비실 : 1실
- 숙직실 : 1실
- 창고/관사 : 1실
6. 학교생활
교문으로 들어와서 맨 앞 오른쪽에 있는 건물이 구관(본관)이고 왼쪽에 있는 건 벽돌로 외관이 꾸며진 신관인데[7] , 구관(본관)엔 1학년 교실이 배치되고 신관엔 2, 3학년 교실이 배치된다. 만들어진 때가 달라서인지 구관(본관)엔 건물 뒷쪽 끝(정문 기준)에 화장실이 배치되었고 그렇기에 3학년 앞쪽반 학생들(1,2,3반)은 화장실을 갔다오기 위해 쉬는 시간을 생각보다 많이 소모해야한다. 신관엔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운동장엔 여느 학교처럼 인공잔디가 깔린 축구장이 있고 그 주변을 분홍색 경주로가 감싼 형태이다. 이 경주로는 야간자율학습을 신청한 학생들이 저녁 급식을 먹고 산책을 하는 곳이기도 하고, 학교가 저녁때에도 개방되어 있다 보니 동네 주민들이 가끔 산보하는 곳이기도 하다. 축구장에서 더 깊게 들어가면 농구장과 철봉[8] 과 풋살장이 있다.[9] 운동장 왼쪽에는 각종 초목을 심은 학교공원인 꿈동산이 있는데 벤치까지 있어서 낮에는 제법 괜찮은 산책로이고 여기서 졸업 사진을 찍기도 한다. 밤에는 인적이 없어서 좀 으스스하다.
급식은 대체로 다른 학교에 비해 맛있지는 않은 편이다. 식당은 건물이 2층으로 되어 있는데 학교 내 방송을 통해 정해진 시간마다 정해진 반들이 식사를 하러간다.
6.1. 주요 행사
- 라온제 : 매년 12월
- 체육대회 : 매년 5월
6.2. 기숙사
항목 참조.
6.3. 학습 분위기, 내신, 모의고사, 대입
학습 분위기는 매우 좋은 편이다. 공부하는 분위기가 어느정도는 잡혀있는 학교라고 할 수 있다. 경기 광주에서 자타공인 명문고의 이미지를 갖고 있기에 광주 전역과 외부에서 내로라하는 학생들이 이 학교에 몰려오는 경우가 많아 내신의 경우 고득점을 취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모두가 어느정도 성적은 받기 때문에 내신 나눠먹기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부 교과전형을 쓸 수 있는 학생이 매우 드물다. 모의고사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상당히 높은 성적을 거둔다. 대입은 내신을 나눠먹기 하는 풍조 때문인지 고교 입학 내신 성적에 비해 매우 떨어진다.
6.4. 17년 11월 급식 파동
최근 급식 부실에 관하여 뉴스와 인터넷 기사에 나오기도 하였다. 17.11.10 채널A 뉴스기사 17.11.13 중앙일보 기사 17.11.08 연합뉴스 기사 17.11.08 디스패치 기사
이로 인해 학생들은 학생회를 중심으로 보이콧을 진행하였으며, 17.11.09일 중식 보이콧을 진행하였다. [10]
7. 출신 인물
8. 여담
- 하복은 흰색 반팔 상의와 옅은 회색의 하의로 평범한 디자인이다. 동복은 갈색 하의와 흰색 와이셔츠 위에 고동색과 자주색을 섞은듯한 기괴한 색의 가디건(혹은 조끼)을 입고 짙은 황토색 부직포로 만들고 어깨뽕을 살짝 첨가한 마이#s-4라서 처음 입어보는 신입생들은 위화감이 좀 들지도 모른다. 2015년 2학기 때부터 명찰도 지급했지만 핀이 달려 있어서 빼고 다닐 수가 있다보니 착용하지 않는 학생들도 많다[11] .그래도 교사들이 학생들 이름을 잘 외우기 위해서 원래 없던것을 심사숙고해서 만들기로 결정한 거니 교사를 배려하는 착한 학생들은 교내에서만이라도 착용해 주자.
- 네이버에 '광지원농악보존회'를 검색하면 학교의 풍물전수관이 나온다.
- 풍물반은 매 방학마다 여름, 겨울 합숙을 하는데 매번 합숙마다 꼭 발표회를 한다. 풍물반 학생들의 노력을 봐서라도 한번쯤 보러가 주자. 이렇게 힘들게 연습해서 그런지 풍물반 대회와 진학실적이 썩 좋은 편이다.
- 신관 5층에는 흡연실이 있었다. 당연히 학생용은 아니고 교사용. 현재는 철거되었다.
- 챌린저반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는 학교이기도 했다. 대상은 기숙사에는 들어갈 성적은 못 되지만 공부하고 싶은 학생들. 근데 이 챌린저반의 프로그램이라는 게 별도의 교실(챌린저 실)에서 11시 30분까지 야간자율학습. 그게 끝이다. 태전동-오포 방면의 버스가 늦어도 10시 30분이면 끊긴다는 걸 감안하면 부모가 알아서 태우러 오라는 거나 다름없다. 이런 부조리한 시스템임에도 불구하고 수요는 꽤 있었다(...)
- 남자 기숙사의 열람실에는 SKY룸이 있는데 어원은 대학입시의 그 스카이 맞다. 특실이라고도 불렸는데 간단히 말해 성적이 가장 우수한 학생들을 학년별로 모아놓은 곳이다. 열람실로 들어가는 길에 있는 한쪽 벽면이 유리로 되어있는 방인데 취지는 우수학생의 수학 여건 보장 + 기타 학생들의 동기부여였겠지만... 초창기에는 일반 학생들이 쓰는 책상보다 불편한 책상을 쓰고 사물함도 따로 있어 보통 자리보다 더 번거로운 곳이었다. 게다가 개중에는 눈에 너무 잘 띈다며 불편해한다는 학생도 있었고. 그럼에도 많은 학생들이 선망하는 곳이기도 했다.
- 매점은 본관 뒤, 급식실 왼편에 위치해있다. 가격이나 판매하는 종류들은 나쁘지 않다.
- 교내에 고양이가 산다! 고양이를 사랑하는 모임이라는 단체가 만들어져 이 고양이들을 보살피고 있다.
- 이승기의 '하기 힘든 말' 뮤직비디오의 배경으로, 2006년 당시의 학교 모습이 조금씩 담겨 있다. 이승기와 남상미가 같이 촬영한 교실은 구관 1층 교문과 가장 가까운 교실이었다. 영상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인근의 광남고만큼은 아니지만 학교가 외곽에 위치해 있다보니 교통이 조금 불편하다. 용인, 오포, 태전동, 광주시내 방면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학교 앞 정류소까지 오는 버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성남, 초월, 곤지암 방면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구3번종점, 광주터미널 정류장에서 하차후 버스를 갈아타거나 도보로 5~10분 정도 걸어야 한다.
참고로 성남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3-1번을, 용인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20번을, 태전동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32번을, 오포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17번을, 퇴촌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38-42를 주로 이용하는 편이다.
[1] 학교 공식사이트에서는 1942년, 학교알리미에서는 1952년으로 확인됨.[2] 인문계는 해당 없음.[3] 보통과 10학급, 특성화 4학급[4] 여담으로 광주중학교와 교가가 거의 똑같다. 가사 中 '광주중학교' 부분만 '광주중앙고'로 수정되었을 뿐 나머지 부분은 완전히 같다.[5] 인문계는 해당 없음.[6] 2016년 조경과로 학과명이 바뀌었다. 변경 이전의 명칭은 화훼장식과.[7] 매년 신입생 예비소집일에 모든 인문계 입학 예정인 학생들이 신관 1학년 반으로 모이는데, 상당수의 학생이 지금 자신이 앉아 있는 곳이 신관이라는 사실에 놀란다.[8] 보도 블럭이 다 드러난 곳에 난데없이 배치 되어있다. 관리를 잘 안해서 가을에는 은행잎으로 테러를 당한다(...)[9] 본관을 등지고 보는 기준으로 왼쪽부터 풋살장, 농구장(2개), 그다음에 철봉이 있고, 농구장 앞에는 멀리뛰기 트랙으로 보이는 것도 있다.[10] 선택적 보이콧이여서 급식을 먹은 학생들도 있지만 꽤 성공적이었다.[11] 사실 핀이 질이 안 좋아서 물 좀 묻으면 바로 녹이 슨다 카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