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광주역

 

京畿廣州驛
Gyeonggi Gwangju Station

'''경기광주역'''
(ICT폴리텍대학)


'''다국어 표기'''
영어
Gyeonggi Gwangju
한자
京畿廣州
중국어
京畿广州
일본어
京畿広州(キョンギクァンジュ
'''주소'''
경기도 광주시 광주역로 10 (역동 176-13)
'''관리역 등급'''
보통역
(수서역 관리 / 코레일 수도권광역본부)
'''운영 기관'''
경강선

'''개업일'''
경강선
2016년 9월 24일
경강선
'''역사 구조'''
지상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열차거리표'''
'''경강선'''
경기광주
[image]
경기광주역사 (2020)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연계 교통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경강선 K413번. 경기도 광주시 광주역로 10 (역동 176-13번지) 인근에 소재한다. 부역명은 ICT폴리텍대학으로 최근에 붙여졌다.

2. 역 정보


광주광역시광주역과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기광주'라는 역명으로 개통되었다.
시가지에선 조금 떨어진 위치에 있다. 광주 시가지 중심가라고 볼 수 있는 광주지구축산농협과 직선거리로는 1.1㎞ 거리. 이렇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철도가 없는 지역에 시가지가 만들어지다 보니 지상 철도가 들어갈 부지를 따로 만들지 않았기 때문이지만, 한편으로는 신설 역 주위의 개발을 유도하여 아직도 90년대 구 광주읍내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답보하고 있는 좁디좁은 광주 시가지를 좀 넓혀보려는 의도도 작용했을 수 있다. 역을 중심으로 시가지 확장이 되다 보면 현 시가지와 만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현 시가지에서 버스를 이용해 환승해야 한다는 점에서 전철 접근성은 그리 좋지 못하다. 그나마 역사가 포은대로 변에 있고, 빗자루질급 배차간격을 갖는 시내버스가 많아 광주시 내부의 버스연계는 쉽다는 장점이 있다.
우연하게도 이 역이 위치한 동 이름은 역동(驛洞)이다. 경강선은 1997년에 첫 계획에 반영된 노선이니 당연히 과거 지명유래와는 관련이 없다. 원래는 말을 갈아타기 위해 쉬어 가는 '역참'에서 유래한 지명이다.[1] 고려시대부터 이 동네에는 역참이 있었는데 당시 이름은 경안역으로, 주변 산하 7개역을 관리하는 아주 큰 역이었다. 지금으로 따지면 관리역이나 마찬가지다. 이 역참은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며 사라졌지만 지명으로 그대로 남았고, 1914년에 광주군 경안면 역리로 굳어졌고 시 승격과 동시에 역동으로 전환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러다가 경강선을 건설하면서 우연히 경기광주역이 역동에 들어선 것이다. 이 경기광주역도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10개역을 관리하는 큰 역이고, 과거에 이 역에서 말을 갈아타듯, 승무교대 역시 이 역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어찌보면 경안역이 시대에 맞춰서 부활한 셈.
승무교대 때문에 이 역은 정차 시간 1분으로 유달리 길게 책정되어있다.
역 내부에는 스토리웨이가 없으며, 편의점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2번 출구 방면의 이마트24 편의점을 이용하면 된다.
삼동역 방향으로 Y자 건넘선이 존재한다. 그래서 경기광주역 이서에 비상시 회차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경강선의 월곶-판교 구간과 여주-서원주 구간, 수서광주선, 중부내륙선이 모두 개통되면 이 역에서 KTX-이음을 타고 송도, 원주, 강릉, 충주, 문경 방면으로 빠르게 갈 수 있다. 정차 횟수는 미정이다.

3. 역 주변 정보


1번 출구(남측)로 나가면 ICT폴리텍대학, 역동초등학교, 경안중학교, 대림 e편한세상아파트, 우방 아이유쉘아파트가 있으며, 2번 출구(북측)로 나가면 광주중앙고등학교가 있다.
역 주변이라 하기는 좀 멀지만, 시내버스 환승을 통해 태전지구 혹은 광주지구축산농협, 광주터미널, 광주시청 방면으로 갈 수 있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에서는 이 역까지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경기광주역을 이용하는 광역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수도권 전철 경강선'''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8,502명
10,810명
12,436명
13,690명
'''10,783명'''
  • 2016년 자료는 개통일인 9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9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개통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경강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조금씩 감소하다가 2월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는데, 이 역만큼은 월별/일간 이용객이 2016년 9월부터 2017년 3월까지 1월을 제외하고 증가세를 보였다. 개통 초기인 9월에는 일간 약 7,000명의 승객들이 승하차를 했으나, 10월에 8,000명을 넘었고 12월에는 9,000명, 그리고 2017년 3월 10,000명, 2017년 9월에는 11,000명, 2017년 11월 현재 일평균 승하차량은 12,000~13,000명에 도달하였다.
  • 개통 2년 차, 실질적인 1년 차인 2017년에 하루 평균 이용객 1만 명을 돌파하였다. 초창기부터 많은 사람이 타고 내리는 역으로서 경강선의 평균 이용객 수와 수익을 끌어올리는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각각 신분당선, 분당선과 갈아탈 수 있는 판교역, 이매역을 제외하면 경강선 전체에서 가장 중요도가 높은 역이다. 태전지구에 거주하는 시민들도 상당히 이용하는 편이다.
  • 광주시의 중심역으로서 태전지구를 포함한 주변 택지지구와 역세권 개발등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많은 버스 노선들이 이 역을 경유한다. 시흥시 월곶까지 연장될 경우, 수요의 가파른 증가가 예상된다.

5. 승강장


[image]
경기광주역 승강장
[image]
[image]
조감도상으로는 2면 4선의 쌍섬식의 승강장이지만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지어졌다.[2]
  • 2015년 12월 29일의 건설현장 1
  • 2015년 12월 29일의 건설현장 2
삼동
1


2
초월
1
[image] 수도권 전철 경강선
삼동·이매·판교 방면
2
곤지암·이천·여주 방면
[image]
[image]
바로 역 앞에 역세권개발사업인 '''경기광주역세권개발사업'''이 추진 중이다. 2019년이 되어 우방 아이유쉘 아파트 입주, 태전지구 입주, 역세권 개발까지 완료되면 이 역 주변이 광주의 새로운 중심지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6. 연계 교통


역 앞에 정류소가 설치되어 있어, 1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이용할 수 있다. 해당 정류소에 정차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용인 방면
20, 1113
수원 방면
60, 660
성남 방면
32, 17, 17-1
광주 방면
1, 2, 15-1, 2-1, 2-3
공영 버스
1-10, 1-11, 1-20, 1-21, 17-3, 2-21, 2-22, 2-24, 32-2, 33-2, 33-7, 34, 34-1, 34-10, 34-11, 34-14, 34-12, 38-42
2번 출구로 나오면 경기광주역 2번 출구 정류소가 나오는데 이 정류소는 2,15-1번 버스만 정차한다. 또는 좀 만 걸으면 역동 정류소가 나오는데, 이 정류장도 사실상 정차하는 노선이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1] 지명유래 - 역동, 광주문화원[2] 조감도처럼 2면4선식 고상홈으로 확장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