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향곡 제3번(쇼스타코비치)

 


정식 명칭: 교향곡 제3번 E플랫장조 작품 20 '5월 1일'
(Sinfonie Nr.3 Es-dur op.20 "Zum 1. Mai"/Symphony no.3 in E flat major, op.20 'First of May')
1. 개요
2. 곡의 형태
3. 초연과 출판


1. 개요


쇼스타코비치의 세 번째 교향곡. 전작인 2번에 이어 이번에도 단악장 구성에 끝부분에 합창을 붙이는 구성을 취했는데, 작곡자 자신이 완성 직후 남긴 글에 의하면 '혼란과 투쟁이 주가 되었던' 전작과 달리 이번에는 '새로운 사회주의 세계의 건설과 축제 분위기' 의 표현에 진력했다고 되어 있다.
소련 정부 선전국의 위촉을 받아 만든 전작과 달리, 이 곡은 특별한 상부의 위촉 없이 쓰여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29년 여름에 러시아 남부에서 휴양 중에 작곡에 착수한 것으로 보이며, 지인들에게 보낸 편지 등으로 미루어볼 때 꽤 빠르게 작곡되었다고 여겨진다.
종반에 나오는 합창의 가사는 세묜 키르사노프의 시인데, 5월 1일(=노동절)과 혁명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다만 2번에 썼던 베즈미엔스키의 시처럼 노골적인 선동과 투쟁의 메시지가 없기 때문인지, 합창부는 그럭저럭 평이한 어법으로 작곡된 편.
합창뿐만 아니라 곡 전체적으로도 파격의 연속이었던 2번과 달리 3번은 전통적인 작법을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다. 나름 '전통과 혁신의 조화'라는 흥미로운 과제를 담고 있는데다 몰아치기와 고요함의 강렬한 대비, 다이나믹하고 신랄한 현악 속주, 변칙적인 대위법적 진행 등을 특징으로 하는 쇼스타코비치 특유의 관현악법이 본격 등장하기 때문에 음악만 보면 충분히 클래식 팬들의 주목을 받을만 한데, 문제는 작품이 담고 있는 내용이 현재 시대와 맞지 않는 탓에 연주가 잘 안되고 있다는 것.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2. 곡의 형태


전체 연주 시간은 약 24~27분 가량인데, 단악장이기는 하지만 네 개 섹션이 중단없이 이어진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4악장 교향곡 형식을 응용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첫 번째 섹션은 클라리넷이 약간 모호한 조성감을 갖고 부드럽게 불면서 시작하는데, 클라리넷 연주가 끝나면 속도를 약간 올려서 트럼펫이 다소 통속적인 행진곡풍 멜로디를 연주한다.
이어 관현악의 갖가지 악기들이 저마다 중요해 보이는 악상들을 연주하는데, 대부분 그냥 지나가는 식으로 나열된다. 기존 주제들을 몇 번이고 울궈먹는 고전 소나타 형식으로는 절대 설명할 수 없는 구조인데, 대신 대위법 고렙 스킬인 푸가토(짧은 푸가)를 삽입해 갑자기 집중력을 높이는 아이디어를 도입하고 있다.
푸가토 후반부에서 전체 관현악이 한층 세게 연주해 클라이맥스가 나오는데, 트럼펫이 굉장히 화려한 솔로를 연주하며 부각된다. 이어 스네어드럼의 행진 리듬에 실려 호른이 다소 순진하고 낙관적으로 보이는 새로운 멜로디를 연주하고, 다른 악기들이 주거니 받거니 하다가 음량이 전체적으로 서서히 작아진다.
두 번째 섹션은 속도가 느려져 조용하고 서정적으로 연주되는데, 완전히 새롭게 진행되지는 않고 이전 섹션에 나왔던 각종 선율들의 조각들이 조금씩 나오며 이행하는 식으로 되어 있다. 주로 목관악기들의 솔로가 등장하며, 좀 더 느린 템포로 세 번째 섹션에 들어간다.
세 번째 섹션은 현악기 위주로 연주되는데, 바이올린을 비롯한 찰현악기들의 풍부한 표정을 잘 살린 대목이다. 물론 후기 낭만파처럼 질척거리지는 않고, 반음을 종종 넣어 특유의 약간 신랄한 맛도 내고 있다. 이 섹션이 끝날 즈음부터 다시 속도가 서서히 빨라지기 시작하고, 금관악기와 타악기가 가세하면서 거의 부르짖는 듯한 두 번째 클라이맥스가 나온다.
관현악 클라이맥스가 마무리되면 '최초의, 최초의 5월 1일(В первое Первое мая)' 이라는 노랫말을 시작으로 키르사노프 시에 의한 합창부가 등장하는데, 기본 3화음이나 동음 제창 등이 위주가 되어 2번보다는 다소 보수적인 성악 어법을 사용하고 있다. 대신 관현악도 합창에 묻어가는 식으로 처리되어 전작보다는 더 전면에 내세워지는 효과를 보고 있다.
새로운 기법들을 과도하다 싶을 정도로 많이 집어넣은 2번에 비하면 한층 보수적인 어법을 취했지만, 교향곡이라기 보다는 교향시에 가까운 구성과 분위기의 급격한 전환 등은 거의 극음악이나 오페라에 가까울 정도. 다만 이 곡 이후 쇼스타코비치가 교향곡에 성악을 사용한 것은 몇십 년이 더 지난 1960년대에나 가서였다.
관현악 편성은 피콜로/플루트 2/오보에 2/클라리넷 2/바순 2/호른 4/트럼펫 3/트롬본 3/튜바/팀파니/베이스드럼/스네어드럼/심벌즈/탐탐/트라이앵글/글로켄슈필/실로폰/현 5부(제1바이올린-제2바이올린-비올라-첼로-콘트라베이스). 합창 편성은 전작과 마찬가지로 전통적인 혼성 4부 합창인 소프라노-알토-테너-베이스 파트 구성이다.

3. 초연과 출판


완성한 이듬해인 1930년 1월 21일에 알렉산드르 가우크의 지휘로 레닌그라드 국립 아카데미 카펠라 합창단과 레닌그라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초연했고, 전작인 2번과 마찬가지로 전반적으로 호평을 받았다. 출판은 약간 늦은 1932년에 소련 국립음악출판소에서 행해졌다.
다만 출판되고 몇 년 후 강철의 서기장 동무가 권력을 잡았고,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2번과 함께 평단으로부터 '형식주의 추종 작품' 이라는 초필살기를 얻어맞아 연주 금지크리를 먹고 말았다. 서기장 동무가 사망한 후에도 한참동안 묻혀 있다가 흐루쇼프 집권 후반기에야 금지 조치가 풀렸는데, 소련 붕괴 후에는 또다시 시대에 뒤떨어진 애물단지 취급을 당하고 있는 상황.
곡의 작법과 완성도만 보면 2번 교향곡과 더불어 젊은 쇼스타코비치의 재능과 독창성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지만, 곡 내용이 내용인지라 현재까지도 이 작품이 콘서트홀에서 공연되거나 단독 앨범으로 출반되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어지간한 쇼스타코비치 매니아들도 부담스러워하는 곡이 되어 버렸다.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전집 앨범에나 의무적으로 수록되는 정도.
당연히 한국에서도 연주된 바가 없으며 아예 연주 시도조차 없었다. 애초에 가사가 매우 빨갱이스러운 탓에 민주화되기 이전의 한국에서는 이 곡을 거론하는 것 자체가 불법이었다. 물론 21세기 이후에는 불법 여부를 걱정할 필요는 없어졌지만 어떤 용감무쌍한 지휘자가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전곡을 달리지 않는 한 앞으로도 콘서트홀에서 듣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