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선

 

國際線 / International Route
1. 개요
2. 항공의 경우
3. 철도의 경우
4. 버스의 경우


1. 개요


국내선과 대비되는 말로, 출발지와 도착지의 국적이 서로 다른 경우를 의미한다.
국내선과 국제선을 구분하는 이유는 승객의 자연스러운 분리를 위한 목적도 있고 국제선에 필요한 시설(입국장, 세관, 면세구역 등)을 따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2. 항공의 경우


일반적으로 국제선은 장거리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내식과 음료를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극초 단거리인 경우는 생략하거나 핫밀이 아닌 샌드위치 등으로 대신하는 경우도 있으며 저가 항공사의 경우에는 추가 요금을 따로 받기도 한다. 공항(이나 시내의 특정 구역)에서 수속을 밟고 출국수속을 마쳐야 보세구역에 진입할 수 있으며 보세구역 내에 위치한 탑승구에서 출발하게 된다.
그러나 미국과 같이 국제선과 국내선이 같은 터미널에서 출발하고, 자신이 탈 국내선 바로 옆의 게이트에서 국제선이 출발하는 경우, 면세구역은 국제선의 그것과 공유하지만 국제선은 도착 후 별도의 통로를 거쳐 입국심사대로 향하고, 국내선은 타는 곳과 같은 에어사이드로 나가게 해서 짐을 찾은 뒤 랜드사이드로 나간다. 물론 국제선과 국내선의 짐 찾는 곳은 다르다.
한국의 지방 공항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환승하기 위해 '내항기'를 탑승하는 경우, 일종의 '경유(transfer)'로 보기 때문에 여권이 반드시 필요하며 출국수속을 해당 공항에서 마치기 때문에 국제선으로 가야 한다.
세계에서 제일 짧은 국제선은 아래와 같다.
한국에서 가장 짧은 국제선은 아래와 같다

3. 철도의 경우


한국은 북쪽이 휴전선으로 가로막혀 사실상 섬나라나 다름 없기에 국제선 철도는 존재하지 않지만, 육로로 국가간 철도망이 연결되어 있는 나라에서는 철도 중에서도 국제선이 존재한다. 특히 유럽의 경우 솅겐조약으로 국가 간 이동이 자유로워 이런 국제선 철도가 활성화되어 있다.
국제선 철도를 담당하는 역에서는 국제공항처럼 출입국 수속을 담당하는 공간이 있어 그 곳에서 출입국 수속과 보안 검사 등을 통과한 다음 국제선 철도 탑승구로 가게 된다. 이 과정은 국제선 항공편과 대동소이하다.

4. 버스의 경우


[image]
센다 운송그룹의 국제선 서비스인 투리부스 인테르나시오날. 멕시코에서 출발하여 휴스턴까지 가는 차량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휴전선으로 가로막혀 있어서 국제버스는 존재하지 않지만, 도로로 연결된 국가에는 국제 버스가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옴니부스 메히카노스투리멕스 인테르나시오날미국멕시코 사이에서 운행중인 노선들을 예로 들 수 있다.
국제선 항공편 및 철도편과의 큰 차이는 출발하는 터미널에서 출입국 심사를 진행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국경까지 이동한 뒤 국경에서 모든 승객들을 하차시켜 그곳에서 입국심사를 밟게 한 뒤 잔여구간을 운행한다.
통일 한국에서 국제버스를 운행한다고 가정한다면, 이러한 출입국 심사 방식을 적용하는 한 국제선과 국내선을 분리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국내선과 국제선 플랫폼을 섞어놔도 된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을 예로 들면 한 플랫폼에는 부산행 버스가 출발하는데 옆 플랫폼에는 베이징행 국제버스가 출발한다던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