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차니즘

 


[image]
[image]
1. 개요
2. 상세
3. 창작물에서의 귀차니즘
3.1. 귀차니스트인 캐릭터
4. 기타
5. 관련 문서


1. 개요


아무것도 안 하고 싶다. 이미 아무것도 안하고 있지만, '''더 격렬하게''' 아무것도 안 하고 싶다.

- 유해진, 삼성카드 광고

"귀찮-"이라는 국어 형용사 어간을 어근 삼아 영어 접미사 "-ism"을 붙여서 만든 신조어. 영어로는 Gwichanism, Lazism쯤 되겠다. 파생어로 귀찮음을 많이 느끼는 사람을 뜻하는 "귀차니스트"가 있다.
웹툰 스노우캣에서 등장한 뒤로 거의 일반명사화되었다. 다만 어디까지나 일반명사화에 공헌을 한 것이지, 가장 먼저 쓴 건 아니다. 누가 가장 먼저 썼는 지에 대해서는 몇몇 주장이 있지만 근거가 불분명하다.

2. 상세


웹툰이나 인터넷 연재 소설들의 연중 사유 1위.[1] 잘 돌아가던 블로그가 문 닫는 이유가 되기도 하는 무서운 사상이다. 사상이라지만 전염성이 강하고, 분위기에 따라 불특정 다수에게 파괴적으로 번져 나가기 때문에 때때로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비유되기도 한다. 그래서 나온 농담이 AGS(Acquired Gwichanism Syndrome, 후천성 귀차니즘 증후군).
현실적으로는 "현상유지 편향"(status quo bias)이라고 하여 누구나 어느 정도는 귀차니즘이 있지만, 이게 정신병적으로 심하게 진화하면 무기력증을 동반한 우울증이 되기도 한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가면 '''인간의 생활을 용이하게 하는 온갖 도구와 기술의 발달'''을 초래하지만[2], 부정적인 방향으로 가면 '''개인적 몰락과 정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인류는 귀차니즘 때문에 망할 것이다."라는 우스갯소리도 있지만, 앞서 말한 대로 인류는 귀차니즘 하나 때문에 생활을 윤택하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지금은 한창 기술이 발달하고 있는 중이라서 그렇게 보일 수도 있지만 언젠가 그 귀차니즘을 향한 기술적 특이점에 도달하게 되면 인류는 정말 아무 것도 안할 수 있을 것이고, 모두가 여가를 누리는 세상이 올 수도 있다.[3] 하지만 아직은 그렇게 되려면 많은 가시밭길이 남아있다.
"시작이 반"이라는 관용구를 언급하면서 시작이라도 해보는 게 어떻냐는 말을 들으면, 귀차니스트들은 "반이 시작"이라고 뒤집어서 반이나 했는데 이제야 시작이냐며 귀차니즘을 합리화한다.

3. 창작물에서의 귀차니즘


  • 워크래프트 시리즈오크들은 흑마법의 광기가 빠져나가자 종족 전체가 귀차니스트 환자가 되어버리는 진풍경을 보여줬다.

3.1. 귀차니스트인 캐릭터




4. 기타


  • 한국어도 영어도 아닌 단어임에도 불구하고 발음하기 어렵지 않으면서 묘한 맛이 있는 신기한 단어이다. 그래서 널리 퍼진 걸지도.
  • 유의어로 귀차니즘이 쓰이던 것과 비슷한 시기, 혹은 그보다 약간 빠른 시기에 '게으르니즘'[4]이라는 신조어도 있었으나, 귀차니즘의 약진과 더불어 현재는 사어가 되었다.
  • "아깝다"와 마찬가지로 한국과 일본에는 둘 다 "귀찮다"는 표현이 있지만 영어에는 없다.
  • 귀차니스트들을 "게으르만족"이라는 표현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쪽은 보다시피 게르만족의 패러디.
  • 일본 2ch쯔꾸르 스레에서는 제작자가 만들다가 귀찮거나 질려서 때려쳤을 때 에타-나루(エターなる)라고 표현한다. 영원히 완성되지 않을 거라는 뜻에서 '이터널'과 '되다'를 합친 단어이다.

5. 관련 문서



[1] 실제로는 무언가 지나치게 많은 것을 접하게 되면서 차츰 무디어져 가고, 점점 높아지는 눈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작품이 적어지면서 점점 무언가를 찾아서 보기가 힘들어지거나 어려워짐으로써 귀찮다는 걸 느끼게 되는 경우이다. 혹은 나이가 들어 체력적으로 육체 연령이 저하되고 의욕이 없어지면서 무언가 따로 하길 귀찮아하게 된 상태, 혹은 지나치게 열정을 소모해 여러 가지 의욕이 고갈된 상태를 일컫는 수도 있다.[2] 예를 들어 라면을 비롯하여 조리 과정을 최대한 줄인 인스턴트 식품,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과 연락하기 위해 전보에서 전화로, 나아가 휴대전화에서 스마트폰까지 지속적으로 발전해 온 통신기기가 있다. 리모컨도 멀리 있는 전자기기를 쉽게 조작하려고 만들어졌다. 또 다른 극단적인 예로는 뭘 마실 때 잔을 들기도 귀찮았던 사람이 빨대를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3] 구체적으로는 모든 인류가 일하지 않아도 의식주가 해결되고 뇌파를 통해 생각으로 명령을 내리기만 해도 되는 세상이다.[4] 게으른 + -ism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