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국
[image]
[Clearfix]
1. 개요
金炳國
1825년 ~ 1905년
조선 말기의 문신이다.
2. 생애
철종의 장인 김문근이 그의 숙부다. 형으로 김병학이 있다.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일원이었다. 그러한 세도가의 자제답게 1850년 과거 급제 이후 1853년 대사성에 특진되었고, 1857년에는 예조 판서, 1858년에는 병조 판서와 호조 판서를 맡았고, 1860년에는 훈련대장에 이르렀다.
1863년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면서 안동 김씨 세도 정치의 세가 껶었으나 김병국은 흥선 대원군과의 친분이 두터운 편이어서 1864년에 이조 판서가 되었다. 형인 김병학이 철종 실록이나 대전회통 같은 편찬 사업에 힘을 썼던 것과 같이 김병국은 흥선 대원군의 주요 정책 중 하나였던 경복궁 중건이라는 중책을 맡았었다. 1874년 흥선 대원군이 실각한 뒤에도 계속 집권하여 우의정이 되어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때 중도적 입장을 취했다. 1878년 좌의정이 되었고, 1880년 김홍집이 가져온 조선책략에 따라 연미국론을 주장하며 미국과의 수교에 찬성했다.
1882년 임오군란의 수습을 계기로 집권한 흥선 대원군이 통리 기무 아문을 혁파하고 설치한 삼군부의 영삼군부사가 되었고, 흥선 대원군 실각 이후에도 계속 살아남아서 호조 판서와 총리 통리 내무 아문 사무를 거쳐 12월 총리 군국 사무가 되었다. 1884년 영의정 세자사 총리 군국 사무가 되었고, 1885년 영돈녕부사가 되었다가 벼슬 자리에서 물러났다.
한마디로 평가하자면 안동 김씨 세도 정치로 정치에 입문했지만 김병국의 행적 상당수는 오히려 근대사에 집중되어 있었다. 형 김병학도 마찬가지로 흥선 대원군과의 친분으로 인해 안동 김씨 세도 정치 이후에도 살아남았고 형제 모두 최고 관직인 영의정에 올랐다는 점에서 그야말로 보기 드문 처세를 보인 인물들이다. 다만 형제의 성향이 달라 형 김병학은 위정척사에 가까웠으나, 김병국은 개화에 중립적이거나 우호적인 입장이었다.
그의 손자로 일제시기의 유명한 서화가인 영운 김용진이 있고 현재 그 후손들은 김병국의 묘를 파묘하고 화장해버리고 브라질로 이민을 떠났다고 한다.
3. 기타
흥선군이 젊은 시절 파락호의 삶을 자처해, 사대부집을 돌며 돈이나 뜯고 술이나 마시면서 놀고있을때 김병국은 흥선군의 기품을 눈썰미 좋게 알아차려 많은 도움을 줬다. 그 예로 흥선군이 설날 차례지낼 돈이 없다며 찾아왔을때도 아무도 모르게 1만냥이나하는 거금을 아무도 모르게 전달했고, 흥선군의 아들들에게도 많은 용돈을 챙겨주었다. 이러한 눈썰미 덕분에 흥선군이 집권하고 조대비에게 찍혀 생사의 갈림길에 서있을때 대원군이 살려주었다
4. 매체에서
1982년 작 KBS 드라마 《풍운》에서는 민지환[1] 이 맡았다. 흥선대원군이 파락호로 지내던 시절의 관계가 제법 재미있게 묘사되어 있다. 작중 초반부에 철종의 후사를 논의하는 안동 김씨의 회동에서 흥선군을 차기 왕재[2] 로 추천하기도 할 정도.[3]
2001년 작 KBS 드라마 《명성황후》에서는 배우 박철호[4] 가 맡았다. 흥선대원군과 친밀했던 기믹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 이 드라마에서 그 기믹은 형인 김병학이 가지고 갔다. 아예 김병학은 대원군의 유일한 평생지기처럼 나올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