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한
1. 김정한(소설가)
[image]
金廷漢
1908년 10월 20일 ~ 1996년 11월 28일
대한민국의 소설가. 호는 요산(樂山)이다. 경상남도 부산부(지금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신. 일본 와세다대학 제일고등학원 중퇴. 1908년 출생 1996년 사망. 부산을 대표하는 소설가[1] 이자 부산 지역 문단의 거두였기 때문에 그의 작품을 읽다보면 부산 인근 사람들에게 익숙한 지명이 많이 나온다. 설사 이름이 다르게 나온다 할지라도 사하촌의 절은 범어사, 수라도의 배경은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 명언마을 일대, 모래톱 이야기의 배경은 낙동강 하구 지역인 현재의 을숙도와 강서구 일대임을 어렵지 않게 유추해 낼 수 있다. 실제로 김정한 선생이 사하촌을 발표했을 당시 범어사의 스님들이 '''저 놈 잡아죽여야겠다'''며 집으로 몰려온 적이 있다고(...)[2] 김정한의 작품들은 일제강점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민중에 대한 연민과 연대의식을 바탕으로 낙동강 하구 일대 민초들의 고된 삶을 그려낸 리얼리즘 민중 문학에 속한다.
김정한은 현실에 참여해 불합리한 사회에 저항해야 하는것이 문학인이 갖추어야 할 덕목이라고 생각했다. 김동리가 김정한에게 "정한이 너 참여파 두목으로 한국문학 어지럽힐 거냐?"[3] 고 물으니 김정한은 '''"문학도 인간이 살아가는데 더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것 아니냐. 자네는 정서나 혼으로, 나는 기존의 환경을 고치기 위한 투쟁으로 말이다."'''라고 응수했다. 김정한의 이러한 문학 정신은 소설 산거족에 나오는 구절이자 김정한 문학비에 적혀있는 '''"사람답게 살아가라. 비록 고통스러울지라도 불의와 타협한다거나 굴복해서는 안된다. 그것은 사람이 갈 길이 아니다."'''라는 구절로 요약할 수 있다.
동아일보 동래지국장을 하던중 동아일보가 폐간되자 1940년에 절필 선언한 후 26년간 글을 쓰지 않았던 적이 있었고[4]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성격이었기 때문에 일제강점기때 일본 경찰에게 여러번 피검당했다. 일제강점기 뿐만 아니라 복귀한 1960년대 이후 역시 권위적인 정권들에 비판적이었는데[5] 전두환의 독재에 맞서 저항활동을 했던 5.7 문학협회(현 부산작가회의)의 창립자중 한명으로 이름을 올렸고 1987년에는 자유실천문인협의회의 후신인 민족문학작가회의(현 사단법인 한국작가회의)의 초대 회장으로 추대됐다.
부산일보 논설위원과 부산대 교수, 한겨레신문 초대 이사를 지냈으며 건강이 악화된 1990년대 초반까지 수십년간 매주 부산대와 동아대에서 특강을 했다. 말년에는 심장 질환으로 인해 자택에서 칩거하다가 1996년 사망했다. 부산 수영구 남천성당에서 사회장으로 장례를 치루고, 양산시 물금면의 신불산 공원묘지에 안장했다.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작가의 호를 딴 요산문학관이 있는데 요산기념사업회와 부산작가협회에서 이곳에서 매년 요산문학축전을 개최한다.
1.1. 대표작
1.2. 수상
- 한국문학상
- 은관문화훈장
2. 김정한(수학자)
대한민국의 수학자. 서울특별시 출신(1962년 7월 20일~).
조합론과 계산 수학 분야에서 유명한 수학자이다. 연세대학교 이과대학에서 물리학과 수리물리를 전공하였고, 미국 럿거스 대학교(뉴저지 주립 대학교)에서 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카네기 멜론 대학교, 벨 연구소,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를 거쳐 2006년부터는 연세대학교 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업적으로는 램지의 정리(Ramsey's theorem)에서 R(3,t)의 값이 θ(t^2/log t)[6]
의 점근식을 가진다는 것을 증명한 것 등이 있다. 이 업적으로 1997년
풀커슨상(Fulkerson Prize)을 수상하였다.
[1] 일본 유학시절과 서울에 일을 보러 잠시 방문할때를 제외하면 평생 부산 경남에서 머물렀다.[2] 사하구와는 무관한 제목이다. 사하구의 중심지인 하단역을 기준으로 한다면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을 이용해서 범어사역까지 가서 90번을 타고 가던지, 강변대로 ~ 중앙고속도로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를 타고 멀리 가야한다. 하단역과 범어사역은 2017년 5단계 다대선 연장 구간이 개통할 때까지는 각 역 뒤로 종착역이 있었을 정도로 대척점이다.[3] 1960년대부터 한국 문학계는 순수한 예술로서의 문학의 가치를 추구(순수파)할 것인지, 아니면 현실을 직시하고 사회의 모순 및 문제점을 고발하는 형태로 활동(참여파)할 것인지를 두고 첨예한 논쟁이 이어졌다. 김동리는 이 중 순수파의 유력 인사격으로 활동했다.[4] 문단 복귀작이 모래톱 이야기다. 그러나 그가 친일 작품을 썼다는 논란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5] 유신 시절 김광일을 운동권으로 끌어들인 사람이 김정한이다. 그리고 그 김광일이 민주화운동으로 끌어들인 변호사가 바로...[6] Jeong Han Kim, "The Ramsey Number R(3,t) has order of magnitude t^2/log t", Random Structures and Algorithms 7 (1995), 173-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