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포역

 


'''노포역'''
(부산종합버스터미널)
[image]
시종착
미개통 경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width=120px><bgcolor=#fff,#191919>
시종착 ||<width=120px><bgcolor=#a2272a> [[양산 도시철도|{{{#!html<div style="font-size:13px"><font color="#FFFFFF"><s>양산선</s><br>(Y01)</font>
]](미개통)
북정 방면
2.9 ㎞ →
}}}}}}

'''다국어 표기'''
영어
Nopo
한자
老圃
중국어
일본어
老圃(ノポ
'''주소'''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2238 (노포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1호선
노포관리역 / 제1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1호선

양산선
'''개업일'''
1호선
1986년 12월 19일
양산선
2024년 1월
'''역사 구조'''
지상 1층 대합실, 지하 1층 승강장
미정(양산선)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1호선)
미정(양산선)
'''열차거리표'''
시종점
'''노포차량기지'''
'''인입선'''
노포차량
사업소

km →
老圃驛 / Nopo Station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요금
7. 양산선 계획
8. 환승센터
9. 기타
10. 연계 교통

[clearfix]

1. 개요


부산종합버스터미널로 가시는 분은 3번 출구로 나가시기 바랍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34번.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2238 (노포동) 소재. 원래 '''노포동역'''이었으나 2010년 2월 25일에 '''동'''으로 끝나는 역들의 '''동'''을 삭제하여 '''노포역'''으로 개명하였다. 부역명은 '''종합버스터미널'''이다.

2. 역 정보


원래 계획에는 없었다가 1986년 12월 19일에 개업하였다. 노포동경상남도 양산시와 인접하고 있는데 수영강 상류 상수원으로 인한 개발제한구역이라 역세권이라고는 노포차량기지와 소규모 화훼농장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없었을''' 정도로 썰렁했다. 그래도 북쪽 울산시, 웅상읍, 정관면에서 오는 버스에서 1호선으로 갈아타는 환승거점 역할이 있었기 때문에 그런 것치고는 유동인구가 꽤 있었지만[1] 이 당시에는 웅상과 정관도 인구가 많은 편은 아니라[2] 이후 21세기만큼 붐비는 역은 아니었다.
그러다 동래구 온천동에 소재했던 고속버스터미널과 동부시외버스터미널[3]금정구 노포동으로 이전하기로 확정하면서 상황이 역전되었다. 2000년 11월 20일부터 2001년 2월 20일까지 약 3개월 동안 부산종합버스터미널환승 주차장 건립을 위해 역사를 폐쇄했고[4] 영업을 재개한 이후부터는 그야말로 상전벽해의 상황이 되어 버린다.
고속버스시외버스 이용객, 그리고 울산광역시, 양산시[5], 정관신도시[6] 등을 왕래하는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환승의 요지로 급부상하게 되었다. 직접 역세권이 없는 수준의 종착역+차량기지 인접역 중에서 이 정도로 뜨고 있는 역은 전국에서도 노포역이 유일하다.
역 구조는 2면 2선식으로 현재는 상대식 승강장처럼 쓰이고 있다. 다만 승강장 바깥에도 여유공간이 남아있어 철로와 전차선만 깔면 전철이 들어올 수 있게끔 건설되어 있다. 마음만 먹으면 노포-양산 철도 기점으로써 경기도 군포시금정역 같은 개념환승 승강장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지만 이 역으로 양산시 방향으로 쭉 북쪽으로 가면 경부고속도로 때문에 막혀서 철도를 뚫기 어렵다. 물론 노포-양산선이 계획되고 있지만 이는 새로 짓는 경전철 개념이다.
노포역에서 다대포행 막차는 23:16경, 신평행 막차는 23:31경에 출발한다.
역사와 차량기지가 있는 곳이 분지의 낮은 곳에 있어서 실질적으로는 지상역이지만 건물과 주차장이 승강장을 덮어버렸기 때문에 얼핏 보기에는 반지하처럼 보인다. 사실 도로가 있는 곳이 약간 산기슭 쪽에 있긴 하지만.승강기 기준으로는 승강장이 1층으로 표시되고 대합실이 2층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지상역이다.
2016년 4월부터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다.
노포역은 다른 종점역과 달리 본선이 아닌 지선 형태로 빠져있다. 이는 앞서 언급했듯 최초 계획이 아닌 차량기지 보상차원에서 지어진 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포역에서 차량기지로 들어가려면 회차선으로 들어간후 운전방향을 바꿔서 종착 승강장 옆쪽으로 나있는 선로를 이용해 차량기지로 들어가야 하는데, 오히려 범어사역이 차량기지의 접근성은 좋은편이다. 차량기지까지 직진만 하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노포역을 이설하거나 범어사역에서 바로 이북으로 연장하고 노포역은 지선의 역으로 이용하는 방법으로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을 연장하는 것은 가능하겠지만 문제는 이북 지역의 수요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3. 역 주변 정보


역은 부산종합버스터미널 건물과 붙어 있다. 역 이용객 수는 적지 않지만 일대가 개발제한구역이라 역세권 주변에는 소규모 농장 몇 정도 뿐. 역을 나와서 보이는 횡단보도를 건너 오른쪽으로 향하면 매달 2일, 7일, 12일, 17일, 22일, 27일 5일 간격으로 열리는 5일장이 있다. 일명 오시게 시장. 아주 옛날부터 동래구 온천장역 일대에서 이름을 떨치던 제법 큰 시장이었으나 1960년대에 전근대적인 5일장을 부산직할시내에서 모두 없애기로 시 방침이 정해져 폐지되었다가 우여곡절 끝에 노포동 근처로 옮겨온 것이다.[7]
역 근처에 스포원파크 금정체육공원, 경륜장이 있다. 거리가 1.5km 정도 되어 걷기에 녹록한 거리는 아니기 때문에 셔틀버스가 상시 운행 중이다. 셔틀버스외에도 스포원파크 금정체육공원를 경유하는 마을버스[8]도 자주 다니니 이용하기 좋다.
티머니부산종합버스터미널 구내에 있는 GS25 2곳(승하차장, 매표소)과 우체국,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ATM에서만 충전이 가능했지만 2014년 11월 29일부터 티머니의 지하철 충전이 부산 도시철도로 확대되면서 노포역에서 티머니를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

4. 일평균 이용객


노포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자료없음
35,200명
32,730명
32,010명
30,457명
35,257명
35,790명
'''38,158명'''
36,530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36,652명
36,861명
36,708명
36,579명
36,771명
35,927명
34,165명
32,295명
30,422명
30,084명
2020년
19,312명
역세권이 논밭뿐인 시골 지역에 있는 역이지만 하루 평균 30,084명(2019년 기준)이 타고 내리는 주요 역이다. 역 앞에 있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은 부산을 대표하는 버스터미널로써 전국 각지로 연결하는 시외버스/고속버스가 총결집하는 곳이라, 부산 외부로 나가는 승객들이 이 역을 찾는 경우가 많다.
특히 부산은 유독 버스터미널이 도시 외곽으로 밀려나있고 도로 상태가 나쁘기 때문에, 지하철을 이용하여 버스터미널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 수혜를 톡톡히 보고 있다. 또한, 양산시울산광역시로 이어지는 수많은 시내버스의 종점이기도 해서, 이 지역으로 가는 양산과 울산 주민들이 환승 거점으로 삼는 역이기도 하다. 부산의 최 외곽이면서 교통의 요지인 독특한 포지션이 주요 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다.
다만, 2014년까지 36,000명 대를 유지하다가 기름값이 큰 폭으로 하락해 매년 1천여 명씩 수요가 줄고 있다. 이 역만 그런 것이 아니라 부산 도시철도를 포함한 모든 철도 역이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어, 줄어든 수요의 대부분은 자가용으로 빠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동부산권인 동래구, 연제구, 금정구, 해운대구, 수영구, 기장군 등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부산 서부터미널이 더 접근성이 좋기 때문에 사상역보다 수요가 떨어진다.
하지만 여전히 노포역 환승주차장에는 차댈곳이 부족할 정도로 수요가 넘쳐나며 터미널 이용객+환승객등을 포함해 항상 3만명대를 유지중이다. 심지어 주차공간 찾는시간 때문에 버스타고 노포역으로 오는것과 시간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일이 자주 벌어진다. 아무래도 동래, 서면, 부산역, 남포동등 부산의 주요지역을 운전해서 가기엔 도로정체와 주차문제등이 있어 많은 부담이 되기때문에[9] 노포역에 차를 대놓고 도시철도를 이용하는게 꽤나 괜찮은 선택이 된다.

5. 승강장


부산 도시철도의 시종착역 중 양산역과 함께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없으나 양산선 개통 시 환승역이 되어 횡단이 가능해진다.
노포행 열차타고 노포역 도착 후 대합실로 올라 갈 때 타는 곳 4-3에서 내리면 바로 앞에서 에스컬레이터를 탈 수 있다.
곡선 승강장이다.[10]
지하 승강장이다.[11]
[image]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image]
노포역사
[image]
역 안내도
범어사




종착역

[image]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동래·연산·서면·부산역·다대포해수욕장 방면

당역종착
까치산역과 비슷하게 양산도시철도 개통 시 상행선 옆 빈 공간에 승강장이 지어질 예정이다.

6. 요금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1
교 대

노 포

4
미 남

동 래

수 안
동해
부 전

교 대

센 텀

7. 양산선 계획



기존 1호선 역사를 공유하게 되며, 계획도에 따르면 수도권의 금정역처럼 다대포 방면 한정으로 양산선과 1호선간의 '''3초 환승'''과 반대편 승강장 횡단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두 노선의 중간역인 수도권 금정역은 운이 좋아서 시간이 딱 맞아떨어져야 3초 환승이 가능하지만 여기는 각 노선의 기종점이기 때문에 승강장에서 기다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더욱 편리하다. 즉 양산선 노포행 열차가 노포역 도착시 왼쪽 선로로 들어와 왼쪽 문을 열면, 바로 맞은편에 문을 열고 대기하고 있을 1호선 열차와 바로 평면환승이 되는, 전국에서 손꼽히는 개념환승 구조가 될 예정이다.
이외에 국도7호선 방향으로 웅상, 장기적으로 울산광역시를 잇는 부산 도시철도 신정선 계획의 기점역도 이 역이다.

8. 환승센터


부산종합버스터미널과 노포역이 붙어 있고, 노포역 2번 출구로 나가면 시내버스 환승센터가 있다. 금정공영차고지 출발 일부노선, 울산으로 가는 울산 좌석차적 시내버스양산시 시내버스의 노포역 종점노선은 환승센터에서 출발하고 있다.
다만 환승센터까지 들어왔었던 부산 버스 49, 부산 버스 148이 2016년 6월 25일부로 철수되고 부산 버스 37, 부산 버스 90이 대신 들어오게 되었는데, 물론 37번이나 90번은 충분히 들어올 만한 노선들이다. 하지만 37번의 경우에는 북쪽 방향으로 운행되고, 90번의 경우에는 범어사 산길로 올라가는 노선이기 때문에 환승센터에서 더 이상 부산 시내방향 노선을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특히 이제는 49번과 148번을 횡단보도를 건너야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불편사항들이 꽤 존재하고, 이때문에 '''광역'''환승센터로써 의미가 약간 퇴색된 부분이 없지않아 있어, 참으로 안타까운 실정.
이건 사실상 어쩔 수 없는 측면이 더 강하다. 금정공영차고지에서 나온 시내방면 버스들이 여기를 경유하려면 좌회전으로 들어가서 다시 좌회전으로 나와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주변 도로가 버틸 수가 없다! 환승센터 진 출입로가 입체 교차도 되어 있지 않을뿐더러 환승센터 자체도 공간이 그렇게 크지 않기 때문이고[12]환승센터 자체가 원래 시외방면 버스들의 회차 편의, 도시철도 연결성 향상을 위해 만들어 놓은 목적이 더 강하다. 인근에 금정공영차고지가 있다.

9. 기타


영화 댄싱퀸에서 수도권 전철 3호선 역으로 나오기도 했다.
2019년 1월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 박주호와 나은이가 가방을 찾기 위해 이 역에서 하차해서 분실물을 찾기위해 나왔다.

10. 연계 교통


고속버스시외버스에 대한 정보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문서를 참조하기 바라며 이 단락에선 시내버스만 서술한다.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11-006)'''
일반
급행
심야
양산일반
[1] 울산 버스 27번은 1990년대부터 다녔고 47번이 1985년부터 서창과 재송동을 이었고, 37번은 1995년부터 운행하기 시작했다.[2] 웅상과 정관은 1990년쯤에 각각 1만명도 되지 않았지만 2020년 기준으로 10만명, 8만명으로 10배 가까이 증가했다. 울산도 30년 동안 수십만이 늘었다.[3] 지금은 고속버스터미널과 시외버스터미널이 노포동 한 곳에 모아져 사실상 하나의 터미널이지만, 옮겨오기 이전에는 각각 지금의 미남역, 명륜역 위치에 있는 서로 다른 터미널이었다.[4] 한동안 범어사역이 종점 역할을 했다.[5] 주로 덕계, 서창 등의 웅상 지역. 물금이나 증산신도시쪽등은 2호선을 이용하는경우도 많다. 시청 소재지는 여기보단 범어사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는 17번 하나밖에 없으며 배차간격도 영 좋지 않다.[6] 37번 하나밖에 오지 않아서 배차간격은 23분 정도로 좋지 않은 편이다. 단 정관신도시 초입부(모전마을 등)와 정관추모공원에 가는 경우는 시간을 잘 맞추면 1008번, 1010번 버스를 타는 것보다 더 효율적이다.[7] 지금이야 5일장이 시골정취도 느끼고 관광자원도 되지만 사실 5일장은 교통정체를 매우 극심하게 유발한다.[8] 기장2-2번, 금정2-2번 등[9] 동래, 서면은 시내도로를 정통으로 관통해야하는데 평소 차량이 밀리지 않는 시간에도 도시철도와 시간차이가 거의 없을정도로 도로사정이 안 좋다. 그외 남포동, 부산역일대는 도시고속도로가 있긴 하지만 여기도 도로 상황이 그닥 좋지않다.[10] 지도상에는 직선으로 되어있으나 실제로는 범어사역 방향으로 휘어져있다.[11] 지도상에는 지상으로 되어있으나 반여농산물시장역과는 깊고, 동원역과는 깊지 않다.[12] 지금도 버스가 몰려오는 시간대에는 하차가 다소 지연되는 일도 발생한다. 참고로 과거에 양산 웅상방면 버스(양산 58, 59, 61, 부산 301)들의 종점이 노포역까지였던 적이 있었는데 이때도 웅상방면 노선들은 환승센터에서 하차만 가능했으며 승차는 환승센터가 아닌 그 밑에 일반 정류장에서 할 수 있었다. 부산시가 노포역환승센터의 혼잡을 이유로 환승센터에서의 승차를 제한했기 때문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11-007)'''
일반
급행
심야
양산일반
  • 노포역 2번 출구에 위치한 환승센터로, 노포역 이북으로 향하는 부산, 양산 시내버스가 정차한다.
일반
양산직행좌석
  • 노포역 2번 출구에 위치한 환승센터로, 노포역 이북으로 향하는 울산 시내버스가 정차한다.
울산직행좌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