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대학교

 


'''김포대학교(金浦大學校)'''
'''Kimpo University'''
'''로고'''
[image]
'''분류'''
사립 전문 대학
'''개교일자'''
1995년 12월
'''총장'''
제12대 박진영
'''재학생 수'''
5,307명
'''교직원 수'''
92명
'''대학기본역량진단'''
역량강화대학
'''위치'''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학로 97
'''웹 사이트'''
김포대학 홈페이지
1. 개요
2. 학과
3. 교통
3.1. 평균 교통시간
4. 캠퍼스
5. 여담
5.1. 자매 결연
6. 학식
7. 평가
8. 사건사고
9. 동문

[clearfix]

1. 개요


> Kimpo University
> 사람을 담는 대학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한다.
1994년 김포전문대학으로 설립계획을 승인받아 1996년 3월 개교한 사립 전문대학이다. 1998년 김포대학으로, 2012년 김포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 학과


3개의 학부가 존재한다.[1][2]
  • CIT융합학부
    • 정보통신과
    • 컴퓨터네트워크과 : 사물인터넷과 관련이 크다.
    • 게임콘텐츠과
    • 컴퓨터소프트웨어과(스마트소프트웨어과) : 컴퓨터 공학과와 성격이 유사하다.
    • 멀티미디어과 : 인터넷에서 콘텐츠를 만든다.
    • 환경보건과
    • 항공전기전자과 :전기공학, 전자공학, 항공우주공학과를 합친 교육과정이나, 주로 전기공학, 전자공학를 중점으로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항공전자제어과는 15학번만 해당된다고 한다.
    • 사이버보안과
    • 로봇자동학과
    • 전기자동차과 : 2019년 신설 학과이다.
    • 지역안전환경계열
  • 인문사회경영학부
    • 세무회계정보과
    • 유통경영과
    • 부동산자산경영과
    • 경찰무도과
    • 비서경영과
    • 유아교육과
    • 사회복지과
    • 보건행정과[3]
    • 경찰경호행정과
    • 아동보육과
  • 한류문화관광학부
    • 실용음악과
    • 인테리어디자인과
    • 시각디자인과
    • 뷰티아트과
    • 호텔조리과
    • 호텔제과제빵과
    • 항공관광경영과 : 2019년에 이름이 바뀌었다.
    • 호텔경영과
    • 철도경영과 : 2018년 신설학과다.
    • 챠밍스킨케어과
    • 글로벌실용무용과
    • 마케팅경영학과
    • 유튜브융합과 : 2021년 신설학과 예정이다.

3. 교통


김포대학교는 김포시에 소재한 학교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강화군 인근이다. 소재지 역시 도시가 아닌 농촌이기 때문에 교통 여건이 좋지 않은데, 정문에 정차하는 버스는 11번, 88번, 96번, 97번, 3000번이 전부이다. 학교에서 한참 떨어진 '김포대학입구' 정류장에 1-1번, 7-2번, 90번, 800번, 3000A번도 정차한다.
학교에서도 교통이 열악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어서 무료 셔틀버스를 수도권 여러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으나 탑승하는 학생들이 많아 탑승에 실패하는 일이 부지기수. 셔틀버스를 타면 교통비도 절약되고 편리하지만 이용이 어려워서 50%의 학생들은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통학한다.

3.1. 평균 교통시간


'''《일산》'''
※일산서구(일산)-대화역
* (1) 97번 버스 : 평균 50분
* (2) 33번 버스 >> (20분) 걸포공원후문에서 388번 버스, 55번, 81-1번, 3번 버스 타고 전원마을 월드아파트 1단지 정류장에서 내림 >> 도보 5분 >> 96번, 88번, 3000번, 97번 타고 학교로 도착함 (일반버스 : 평균 1시간, 3000번 버스 : 평균 45분 정도)
※고양시(구 일산) - 화정역
* (1) 3호선: 화정역 → 대화역에서 97번 버스탐 → 평균 1시간 5분
* (2) 서울 773번(화정역, 덕양구청 정류장) → 일산 동구청에서 97번 버스 탐→ 평균 1시간 20분
팁을 주자면 6시 30분에 준비를 마치고 7시에 97번을 탑승해도 길이 막히지 않는 이상은 학교에 9시 안에 도착하게 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지각할 확률이 높으며 사람이 많기에 일어서서 가야한다. 때문에 일찍이 대화역의 통학버스를 타고 가거나 7시 이전의 97번을 타는 것이 앉아서 책을 보거나 휴대폰을 보며 편하게 갈 수 있는 방법이다.
'''《서울》'''
※마포구-신촌역(2호선)
* 3000번 버스 : 평균 1시간 42분 정도
※강서구-송정역(5호선)
* (1) 3000번 버스 : 평균 1시간 17분 정도
* (2) 22번 버스 (1번출구 바로 앞) >> 월드아파트 1단지에서 내려서 도보로 월드아파트 정류장(김포대학으로 가는 방향)으로 도보 5분 걸음 >> 88번, 97번, 96번으로 환승(약 35분)
만일 지각을 했을 경우, (2)번 방법으로 학교를 오기 바란다. 22번 버스는 고촌에서 월드 아파트까지 가는 직행 도로가 있는데, 사우동, 걸포동을 거쳐서 바로 월드아파트(장기동)으로 오기 때문에 시간이 없을 때에는 반드시 이 방법을 선택하는 것을 추천한다.
※강남구-강남역(2호선)
* (1) 인천 버스 9501번 버스 >> 사우고에서 3000번, 88번, 96번으로 환승 타고 오는 방법 (총 걸린시간(3000번) : 2시간 14분, 총 걸린시간(일반버스): 2시간 30분)
* (2) 9호선 신논현역으로 도보 5~10분 >> 김포공항 급행(21분)타고 염창역에서 내림 >> (총 걸린시간(3000번) : 1시간 50분, 총 걸린시간(88번) : 2시간 19분)
'''《인천》'''
※제물포역
* 1호선 제물포역 → 주안역 (인천 2호선으로 환승) → 검단사거리역 → 인천 버스 800번은 오리정, 90번은 갈산사거리에서 내림 → 88번, 96번, 97번으로 환승해서 김포대학교에서 내림 (평균 : 1시간 45분 소요)
※검암역
* 인천 800번 → 오리정에서 내림 → 88번, 96번, 97번으로 환승해서 김포대학에서 내림 ( 평균 : 1시간 20분 소요)
※강화읍
  • 고양 버스 96 → 강화산성서문 → 김포대학
  • 김포 버스 88 → 강화버스터미널 → 김포대학
  • 3000번 → 강화버스터미널 → 김포대학
[주의할 점] 2017년 기준으로 등교시간이 오전 9시 30분에서 9시로 변경될을 뿐만 아니라 지경~하성입구 구간까지는 하성으로 들어가는 대형 트럭과 러시아워 때문에 많이 막힌다고한다. 그러니 일찍 일어나서 버스를 타는것을 추천한다.

4. 캠퍼스


[image]
'''캠퍼스맵'''
[image]
'''본관'''
동아리실은 여기 있고, 학교의 모든일을 거의 여기서 처리하고 또 교실이 있어 다용도로 사용된다.
[image]
'''변안나 기념관'''
IT학부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건물이다. 식당은 매점을 포함해 이 건물의 지하에 위치한다.
[image]
'''HOPE2020센터'''
휴게 공간과 카페, 편의점이 있으며 모든 학생들이 다용도로 사용한다.
[image]
'''국제관'''
교양할 때 사용하거나, 외국어 관련된 학과들이 사용하고 외국인 학생의 한국어는 여기서 가르친다.
[image]
'''국제학사'''
외국인 기숙사 총 3 건물이 있다.
건물들의 알맞은 이미지를 발견하신다면 첨부해 주세요.
'''용암학술정보관'''
개인적으로 소설 책 종류가 많아지고 만화책이 없었으면 좋겠는데, 이 말을 앞에서 했다가는 폭행당할 것이다.
아는 바로는 교육과 학생들이 있는 곳이다. 열람실이 있기는 한데, 시설이 안 좋다.
건물들의 알맞은 이미지를 발견하신다면 첨부해 주세요.
'''창업지원센터'''
창업지원센터 사무소가 있는 곳이다. 학생들은 여기에 뭐가 있는지 모르고 빈 건물인줄로 알고 있다.

5. 여담


  • 학과마다 다르긴 하나 최소한도로 출석만 착실히 한다면 B나 B+를 받는 게 어렵지 않다. 그만큼 출석에 신경쓰지 않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 잘 출석하면서 주어진 과제를 모두 완료하고 열심히 공부해서 시험을 보면 F는 당연히 면하고, 얼마나 노력하였는지에 따라 잘하면 A+를 받을 수도 있다. 그러니 김포대학교에서 학점을 잘 받고 싶다면 과제와 출석은 1번도 빠지지 않아야 한다. 그렇게만 하면 나중에 편입이나 취업을 준비할 때 어느 정도는 도움이 된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 여타 전문대학교가 그렇지만 캠퍼스가 작다. 학생 수도 그에 걸맞게 3,000여명. 캠퍼스가 매우 작아 여러 건물을 이동하는데 국제관으로 이동하는 중에 소의 배설물 냄새가 여름에 매우 심하다. 하지만 악취를 제외하고는 운동장의 경우 산으로 둘러쌓여 공기가 좋다.
  • 흡연 구역은 본관 화장실과 금연 포스터가 붙은 뒷마당이다. 이를 제외하면 거의 다 금연 구역. 관리인이나 교수들이 금연 구역에서 담배를 피는 학생들에게 경고를 하긴 하지만 안 지키는 학생 들은 안 지킨다.
  • 가끔 인터넷 교재나 자격증 관련 교재를 판매하러 오는 사람들이 있다. 낯선 사람이 갑작스럽게 강의나 자격증 관련하여 할 말이 있다면서 말을 걸어오면, 반드시 조교 혹은 선배에게 연락하여 도움을 받는 게 좋다. 그리고 교수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방문카드 제시를 요청하자.
  • 2018년에 평생교육원을 비롯한 일부 부서가 한강신도시로 이전하였다. 차후 순차적으로 모든 학과 및 부서를 이전시켜 한강신도시의 거점 대학교로 발전시킬 계획으로 보인다.
  • 2015년에 영상과가 폐지되면서 시각디자인과에 편입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과목도 같이 넘어오는 사태가 발생해 학생들이 영상수업을 배우게 되었다.
  • 경기도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한 대학이다.
  • 학교 앞에는 편의 시설이 없다. 주차장으로 내려가면 있는 것이라곤 식당, 카페, 편의점, 당구장, 노래방 뿐이다. 그래도 최근에는 떡볶이집이 생기면서 점심시간에 학생들의 이용률이 높다. 특히 당구장은 학생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가 높다.
  • 2019년에 아프리카 돼지열병으로 인해 학교 뒷산에 돼지열병 걸린 돼지들을 묻었다.
홍수나 산사태가 나게되면 돼지들이 떠내려 올지도 모른다. 당시에 시체? 썩는 냄새가 심하게 났지만 지금은 괜찮다.

5.1. 자매 결연


김포대학교는 현재 약 21개 해외대학교와 자매대학을 맺고 있다.
사진은 각 대학의 전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일부 건물들 사진이다. 캠퍼스가 어떻고 각 대학에 어떤 어떤 건물들이 있는지 확인 하고 싶다면직접 구글로 찾아보자.
그 대학들은 다음과 같다.
[image]
호주: Central Queensland University 자매결연대학
[image]
The University of Newcastle 자매결연대학
Le Corden Bleu '''주의'''[4] (Adelaide) 상호학점 인정대학
[image]
미국
Hawaii Pacific University 상호학점 인정대학
[image]
Utah Valley State College 자매결연대학
[image]
Loyola Marymount University in LA 자매결연대학(경영학)
[image]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상호학점 인정대학
[image]
뉴질랜드
Christchurch Polytechnic 자매결연대학
중국
Rizhao Vocational and Technic college 자매결연대학
[image]
곤명대학교 학점교류협약체결대학
[image][5]
Qufu Teachers University : Rizhao 자매결연대학
Dalian Commercial Capital College 자매결연대학
[image]
North China Electric Power University 자매결연대학
[image]
일본
Higashi Nippon International University 자매결연대학
대만
Chin Hwa High School 자매결연대학[6]
[image]
캐나다
Georgian College 자매결연대학
필리핀
Trinity College of Quezon City 자매결연대학
Baguio University 자매결연대학
배트남
Hochiminh City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 Information Technology 자매결연대학
말레이시아
Nilai College 자매결연대학
[image]
[image]
러시아
Novosibirsk State Conservatoire 자매결연대학
Novosibirsk State Academy of Economics and Management 자매결연대학
Novosibirsk State Technical University 자매결연대학[7]
[image]
아일랜드
Dundalk Institute of Technology 자매결연대학[8]
여담으로 국제관에는 생각보다 많은 외국인이 존재한다. [9] 그리고 장학금을 많이 주는 학교로 순위권에 올랐지만 국가가 정해놓은 등록금 환원률에는 못 미치는 평가를 받았다.
2015년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평가에서 탈락했다. 1년동안 이대학으로 유학올려는 외국인은 유학생 비자가 발급되지 않는다.http://www.studyinkorea.go.kr/ko/confirm/mainIntro.do

6. 학식


학식은 매일마다 메뉴가 변경된다. 학교식당 정문으로 들어서서 우측을 보면 오늘의 메뉴가 뭔지 나와있고 대충 눈치가 있다면 식권판매기로 가서 식권을 뽑는다. 이때, 덮밥류라던가, 양식이라던가 정확한 음식 구분은 없으므로 오늘의 메뉴를 보고 "이건 덮밥류겠고 이건 양식이겠군"하고 눈치를 챘어야한다. 학식은 개편된 이후 질이 좋아졌다. 특히 월요일이나 금요일에 수업이 있는 학생들은 반드시 학교 식당에 가자. 평소 학교 식당과 다른 분위기다. 식당 내 불은 다 꺼져있는데 그 이유는 바로 월요일과 금요일은 학생 식당은 운영안하고 교직원 식당만 운영한다. 이게 왜 개이득이냐고 의문을 가진다면 식권판매기로 가서 교직원 식권을 뽑고 교직원 식당으로 가자. 월요일과 금요일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학생들도 교직원 식당을 이용할 수 있는데 교직원 식당은 메뉴가 학교 급식을 떠오르게 한다. 게다가 맛있다. 리필도 가능하다. 근데 막 가서 많이 퍼서 먹다가 다 못먹고 남기면 혼나도 할 말 없다. 학교생활하면서 꼭 한번은 먹어보자.
학교 앞 식당으로는 아딸(분식류), 박가네(분식 및 식사류), 돈벼락(식사또는 안주류)를 판매하고 편의점 day&day가 있다. 차고지쪽으로 가면 만남의 집이 있고 포내리쪽으로 가면 한식뷔페가 있다. 그리고 반대편으로 올라가면 청룡회관과 수제 햄버거 집등이 있다. 아딸 말고는 맛있는 곳이 없고 파리가 엄청 날린다
  • 아딸
테이크 아웃이 가능하기때문에 자리가 없어도 포장하고 가서 먹을 수 있다. 양을 많이 담아주는 경우가 있기때문에 혼자나 두명이서 먹을거면 너무 많이 주문하지 말자. 다 못먹고 버리는 불상사가 생긴다. 애초에 "적게 주세요", 또는 "많이 주세요"라고 하면 알아서 적게 주고 많이 준다.
  • 박가네 김밥
학생들이 많이 즐겨 찾아가는 편이다. 박가네에 가면 시켜야할 것과 시키지 말아야할 것이 명확하게 갈린다. 시켜야 할것은 김밥이고 시켜서는 안될 것은 라면이다. 김밥은 정말 명가인데 라면은 한강 라면이다. 찌개류도 맛있다. 매콤하고 양배추를 많이 아낌없이 넣어주기때문에 뒷맛이 깔끔 그 자체다. 원래는 앞에 천막을 쳐서 자리를 늘릴때도 있고, 손님이 적으면 천막을 치지 않는 편이다.
학생들이 두번째로 많이 찾는다. 원래는 핫플레이스였는데 사람이 줄었다. 손님이 붐빌때는 피하거나 라면을 시키자. 운영하는 분들도 사람이기때문에 사람이 붐빌때 음식을 시키면 그것이 누락되어 안나오거나 또는 완성된 음식이 안나올 수도 있다. 물론 자주 그런다는건 아니고, 여기서 식사보다는 술을 마시는 것을 추천한다. 식사와 술자리의 경계가 명확히 갈리기 때문이다. 술자리 가질거면 여기가 낫다.
라면도 팔고 김밥도 팔고 게다가 술과 안주까지 팔기때문에 학생들에게 인기만점. 게다가 길냥이들도 만날 수 있어서 고양이 좋아하면 가보자. 두번 가보자. 세번 가자. 편의점에서 일하시는 분은 엄청 푸근해보이고 순박하시고 착하다. 보는 사람도 뭔가 편안해진다. 다치거나 굶고있는 길냥이를 발견해서 편의점 내에서 돌봐주신다. 게다가 저녁시간에도 영업하기때문에 멀리 도서관에서 공부하던 학생이나 자아를 상실하고 학교 주변을 수상하게 서성이며 방황하던 학생들도 들러서 배를 채울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라면도 여러가지 토핑을 해서 먹을 수 있다. 갑자기 술이 땡기는 학생들도 많이 온다. 앉을 자리가 식사할 자리가 부족한게 흠이긴 해도 역시 편의점이 최고다. ATM기가 있었지만 어느새 사라지고 없어졌다.
  • 올터한식부페
진짜 맨날 그런건지 아니면 당사자가 운이 개떡같이 안좋은건지 모르겠지만 맛은 진짜 며칠 많이 지난 음식을 재탕한 것 같고 음식에 파리가 앉아서 막 기어다닌다. 모든 음식이 다 그렇다. 감자튀김은 수분과 기름을 어떻게 뺐는지 뻑뻑하고 먹다보면 목이 맨다. 진짜 살려고 먹어야 한다고 해도 안먹는다. 원래는 편의점 버금갔는데 갑자기 이렇게 됐다. 대체 왜이렇게 됐을까 의문이 생긴다. 그나마 먹을거는 육개장이다. 다른 사람들은 모르는지 아는지 와서 먹기는 하는데 위생관념의 실태를 알고나면 "5000원이 싸다!"가 아니라 "내 아까운 5000원!"이라는 소리가 나올 것이다. 육개장은 기성품은 아닌것 같다. 백종원백종원의 골목식당하러 오면 솔루션 포기할 정도의 수준이다[10]. 제발 좀 투명한 플라스틱 뚜껑을 사용하고 며칠 지난건 아깝다고 재탕 안하고 버리고 새로 만들었으면 좋겠다.
  • 이마트 편의점 24
편의점 day&day와 비슷하다. 근데 사람이 많아서 점심시간에 삼각김밥이나 햄버거 코너가면 다 탈탈 털리고 없다. 빨리 가자. 학교식당에도 편의점이 있는데 거기는 라면 먹을때 주로 찾아가자. 내친김에 주먹밥도 사자. 편의점은 뭐든지 맛있다.
  • 만남의 집
돈가스가 아주 바삭바삭하다. 소스도 개인 취향에 따라 뿌려먹을 수 있다. 요새는 자주 쉬는 일이 잦은듯하지만 열었을때는 문앞에서 라디오 소리가 들린다. 만약 공깃밥을 시키거나 딸려나오는 메뉴가 있다면 평소 봤던 공깃밥의 1.5배에서 2배정도 되는 공깃밥 양을 볼 수 있다. 인심이 후하고 맛도 나쁘지 않다. 식사하기에 최적의 장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 청룡회관
대한민국 해병대 해병대 2사단에서 운영하는 장병복지시설. 삼겹살 정식을 파는 특이한 뷔페. 형식과 가격은 한식 뷔페랑 같은데 메뉴는 적어도 맛은 매우 월등한 편. 학생들을 비롯해 일반인도 많이 온다. 계란 후라이도 있는데 이것은 먹을 사람이 직접 해먹어야한다. 그리고 샌드위치나 빵, 과일같은 후식도 있다.여긴 브대찌개가 진리다
* 수제 햄버거 집
그리고 음식을 시켜먹을 수 있다. 피자나 치킨은 아무데나 시켜먹지만 중국집은 두개정도로 통일되는 듯 하다.[11] 단, 두 중국집 모두 늦게 배달되고 단체주문 할때 서비스로 군만두도 주세요라고 안하면 군만두를 안 준다. 인지도는 베이징이 높고 맛은 천왕짬뽕이 낫다. 각 단점은 베이징은 맛이 없고 천왕짬뽕은 두가지 메뉴가 없다. 시킬때 얼마나 걸리냐고 물어보자. 안그러면 교수님 들어오실때 배달원분이 같이 들어오신다.
  • 부어치킨
  • 부대찌개 식당

7. 평가


2015년에 실시한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D- 등급을 받았다. 따라서 국가장학금 2유형은 지급되지 않으며, 정부재정지원사업 참여가 제한되고, 신입생은 일반학자금 50%가 제한된다. 일부 사람들은 학교에 만연한 비리가 학교를 망친다고 말하지만 사실 대학구조개혁평가의 항목을 보면 교내의 자금 사정은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으며 시설이나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평가한다.
4분의 1분기씩 400만원, 학생 수를 3,000명으로 잡고 휴학생들을 500명으로 가정하여 이를 제외하고 계산해도 1년에 어림잡아 100억 이상은 받는 학교인데 시설이 열악하고 교육 여건도 좋은 편이 아니다. 이는 국가에서 D- 등급을 받음으로써 증명되었다.
그렇다고 교내의 비리가 학교를 망친다고 무작정 주장하는 것은 잘못된 일반화이다. 남일호 전 총장이 취임하기 전에 학교에 비리가 많았던 것은 사실이나, 남일호 전 총장은 비리로 인해 학교가 받은 피해를 해결하는데 앞장서면서 학생들에게 호평받았다. 따라서 김포대학교는 만연한 비리로 인해 낮은 등급을 받은 것이 아니라 열악한 교육 여건 및 시설로 인해 낮은 등급을 받은 것이다.
2015년에 대학구조평가에서 D- 를 받으면서 남일호 전 총장이 책임지고 자진사퇴하면서 경인교육대학교의 총장을 지낸 김재복이 총장으로 새로 선임되었다. 김재복 총장이 취임하고 2016년 9월에 발표된 2017학년도 하위권대학 재평가에서 A등급을 통보받으며 김포대학교의 재정지원 제한조치가 완전히 해제되었다.
학교 자체적으로도 등급평가에서 승급하려는 노력이 가시적으로 있었다. 학교의 취업사업을 따내려는 교수진과 총장의 노력이 꾸준하였고 NCS교과목 편성, 특강 운영, 창업지원이나 각종 대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하였다. 그러나 2018년에 실시한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역량강화대학으로 선정되면서 자율개선대학 명단에는 올라오지 못하였다. 역량강화대학이 되면서 일반재정은 일부만 지원받는다.
2020년 1월 6일에 취임한 제 10대 총장 이권현 박사가 불과 3일만에 총장직에서 사퇴했다. 링크된 기사에 따르면 최근 5년 간 총장이 5명이나 바뀔 정도로 재단 이사장의 학사 일정 등 학교 행정에 개입해 왔으며 전 총장의 사임도 이와 무관치 않을 것이라는 학교 측 관계자의 말이 있었다. 현재는 정형진씨가 1월 20일부로 제 11대 총장으로 취임한 상태이다. 이 일로 인해 2021 대학기본역량진단에 적지 않은 영향이 있을것으로 보인다.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9223

8. 사건사고


2020년 입시에서 교수와 교직원들 40여 명이 친척과 지인 136명을 허위로 입학시켜 신입생 충원율을 조작한 사실이 드러났다. (관련 SBS 뉴스 https://youtu.be/KFk0kbW3rQQ) 부총장까지 가담했지만 총장은 '지시한 적 없다'고 하였다.
부총장·교직원 42명이 신입생 충원율 조작한 사실이 밝혀졌다. 충원율을 100%로 높이기 위해 부총장 아내, 아들, 본교 교수, 교직원, 처제, 배우자, 장모, 부모, 지인, 남매 등 136명을 등록시키고 등록금도 납부한 뒤 모두 자퇴 처리했다. 이에 김포대 의사회에서는 17일날 이 42명을 징계하기로 의결했다.

9. 동문





[1] 경영관광학부와 교육복지학부가 인문사회경영학부로 통합되었다.[2] 호텔경영과 관광경영이 한류문화관광학부로 분류가 변경되었다.[3] 이 학과가 전체 학과중에서 내신, 수능등급이 가장 높은 학과이다.[4] 엄밀히 말하면 대학은 아닌 곳이다. 주로 제빵 관련 전문학교라고 보면된다. 사진도 그 이유로 넣지 않았다.[5] 위 이미지가 맞는지 확인 요함![6] (..) 이름 그대로 대학이 아닌걸로 추정. 특수 목적 학교가 아닌가 싶다. 이곳은 절대 가지말자. 갈 이유도 없다.[7] 공과대학이고 노보시비르스크시에 있기 때문에 괜찮은 편. 다니다가 노보시비르스크 국립대학으로의 편입도 생각할 수 있다. 같은시에 있기 때문에 [8] 아일랜드의 47개 대학 (종합대와 전문대를 포함하는 모든 고등교육 기관) 중 15위 정도에 속한다. 아일랜드에서의 인식은 나쁘지 않다. 아일랜드에 있는 14개 공과대학 중에서 5등 정도 하는 중상위권 대학이다. [9] 보통 외국인들은 동유럽, 동남아, 중국 등에서 많이 온다고 한다.[10] 맛있어서 포기하는 게 아닌 맛없어서 포기할 정도라는 뜻이다.[11] 천왕짬뽕, 베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