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교육대학교

 

[image] '''경인교육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경인교육대학교'''
'''京仁敎育大學校'''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mage]
교훈
'''큰 힘, 큰 사랑, 큰 빛'''
'''분류'''
<colbgcolor=#7d7a7a> 국립교육대학
'''개교일자'''
1946년 5월 23일
경기도립 개성사범학교
'''총장'''
제 7대 고대혁
'''국가'''
대한민국
'''소재'''
'''인천 캠퍼스'''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로 62 (계산동)
'''경기 캠퍼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막로 155 (석수동)
'''재학생 수'''
학부생 : 2,699명
교육대학원생 : 1,935명

'''교직원 수'''
290명
'''교색'''
레드와인
'''교화'''
개나리
'''교목'''
소나무
'''교조'''
단정학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A등급'''
(2018년 기준)

'''대학비전'''
'''소통하며 도약하는 대학'''
'''자랑스러운 학교'''
'''모두가 즐거운 공동체'''
'''풍요롭고 투명한 재정'''
'''진취적인 초등교원 양성'''
'''더불어 발전하는 대학'''

'''교육목표'''
'''국민교육 이념과 실천방법 체득'''
'''교육자로서의 신념과 사상 함양'''
'''지역사회 발전과 현장 교육에 봉사'''

'''위상'''
'''최우수 교육대학·교육대학원 선정'''
'''5년 연속 수도권대학 특성화사업 우수대학 선정'''
'''입학사정관 역량강화 지원사업 선정'''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국제화 특구 선정'''
'''교육부지정, 글로벌 교원양성 거점대학'''
'''저탄소 그린캠퍼스 우수대학 선정'''

'''공식 사이트'''

'''총동문회'''

'''인천캠퍼스'''
<color=#373a3c>
'''경기캠퍼스'''
<color=#373a3c>
1. 소개
1.1. 역사
1.2. 경인교대 통합 논란
2. 입학관련사항
2.1. 경인교대 입학하기
2.2. 선발인원 및 성비제한
3. 학과
4. 커리큘럼
4.1. 교대 입학과 학과 배정
4.2. 교대의 수강신청
4.3. 교육실습
4.3.1. 인천/경기 캠퍼스 통합 이전(~10학번)
4.3.2. 인천/경기 캠퍼스 통합 이후(11학번~)
4.3.3. 교육실습학교
4.3.4. 이모저모
4.4. 학년별
4.4.1. 1학년
4.4.2. 2학년
4.4.3. 3학년
4.4.4. 4학년
4.5. 졸업
4.5.1. 졸업에 필요한 학점
4.5.2. 심화전공별 졸업논문 및 논문대체
4.5.3. 영어능력인증
4.5.4. 한자능력인증
4.5.5. 교직 적성 및 인성 검사
5. 대학생활
5.1. 동아리
5.1.1. 동아리 이모저모
5.2. 대학언론
5.3. 장학금
6. 대학가
6.1. 인천캠퍼스
6.1.1. 계산택지지구
6.1.2. 부평
6.1.3. 홍대, 신촌
6.2. 경기 캠퍼스
7. 교통
7.1. 인천캠퍼스
7.1.1. 버스
7.1.1.1. 계산로
7.1.1.2. 계양대로
7.1.2. 철도
7.2. 경기캠퍼스
7.2.1. 버스
7.2.2. 철도
8. 기타사항
9. 사건사고

[clearfix]

1. 소개


경인교육대학교(京仁敎育大學校,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는 대한민국의 국립 교육대학으로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의 초등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1. 역사


경인교대의 모체는 1946년에 설립된 개성사범학교며 6.25 전쟁으로 개성북한으로 넘어가고 수복이 불가능해지면서 학교 전체가 1952년에 인천으로 넘어왔다. 결국 개성사범학교는 인천시 측으로부터 미추홀구 숭의동의 부지를 무상으로 공여받았고, 교명을 '국립 인천사범학교'로 변경하였다.
1962년 전국의 사범학교[1]들과 같이, 인천사범학교도 2년제 '교육대학'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82년 4년제 대학으로 승격되었다.[2]
2000년대에는 도내에 국립대학을 늘리고 싶지만 규제[3]에 막힌 경기도의 꼼수와 대학의 규모를 확장하려는 인천교대의 이해[4]가 맞아떨어져 경기캠퍼스를 설립하였다.[5] 이에 따라 인천교대는 2003년 3월 1일자로 교명을 '경인교육대학교'로 변경하게 된다.[6] 2005년 3월 1일에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 경기캠퍼스를 공식 개교하였다.[7]
이후 경인교대는 05학번부터 10학번까지 6년간 인천캠퍼스와 경기캠퍼스에서 따로 학생을 선발했다.[8] 하지만 초등학생의 수가 급감하고 예전만큼 초등교사를 선발할 필요성이 떨어지면서 경인교대의 재학생 수도 해마다 줄어 갔다.[9] 결국 운영상의 부담을 느낀 경인교대 측은 11학번부터 양 캠퍼스를 통합해 학생들을 선발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10학번까지는 입학부터 졸업까지 한 캠퍼스에서 다녔으나 11학번부터는 학년에 따라 캠퍼스를 옮겨 다니는 시스템으로 바뀌었다. 즉 11~13학번의 경우 1학년을 인천캠퍼스, 2~4학년을 경기캠퍼스에서 보내며(1+3 체제), 14학번부터는 1~2학년을 인천캠퍼스, 3~4학년을 경기캠퍼스에서 보내게(2+2 체제) 된다. 결국 경인교대 학생들은 대학생활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게 되었으나, 앞으로 사회적인 저출산 추세가 역전되지 않는 한 대학의 시스템이 다시 쌍둥이 캠퍼스로 환원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경인교대는 개성사범학교가 설립된 이후 지금까지 약 22,000여명의 초등교사를 양성하고 배출하였다.

1.2. 경인교대 통합 논란


경인교대는 정부의 입김이 강한 국립대인데다 특수목적대학에 준하는 대학 특성상 규모가 매우 작은 편[10]이다. 그러다보니 정부의 시책에 따라 학교의 운명이 이리저리 바뀔 수밖에 없는 곳이기도 하다. 이미 정부의 지시로 학교의 체제가 사범학교 → 2년제 교육대학 → 4년제 교육대학으로 두 번이나 바뀌었다. 게다가 신자유주의 경제 논리가 득세하면서 경인교대는 다른 교대와 마찬가지로 학교가 하루아침에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특히 2000년대 중반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경인교대를 비롯한 교육대학의 존폐 위기는 더욱 심화되었다. 이미 노무현 정부 시기인 2007년에 제주교대가 제주대로 통합된 사례가 있어 교대 폐지론은 힘을 받기 시작하였다. 가뜩이나 등록금도 저렴하고[11] 학교 규모는 작은데 사회적인 저출산 추세로 교대에 입학하는 학생 수마저 점점 줄어들자 정부로부터 비효율의 온상으로 낙인 찍힌 것. 이에 따라 경인교대를 인근 국립대에 통합하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자는 논의가 제법 진지하게 진행되었다.
경인교대와 통합이 거론된 학교로는 서울대학교, 한경대학교, 인천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등이 있었다.
서울대와는 지리적으로 가깝고[12] 캠퍼스가 2개나 있어 캠퍼스 중 1곳을 가지고 대학의 자체 수익 사업[13]을 벌일 수 있다는 점에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는 매력적인 곳이었다. 실제로 서울 대학로 한복판에 있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초등학교[14]가 이례적으로 실습학교에 선정되면서, 이러다 서울대와 정말 통합되는 것이 아니냐[15]는 여론이 돌았다. 그러나 지금은 잠잠해진 상태.
한경대의 경우 같은 경기도[16]에 위치한 국립대라는 점이 통합의 이유로 꼽혔다. 실제로 한경대에서는 통합 '경기국립대학교' 출범을 목표로 원래 산업대였던 대학의 성격을 일반대로 전환하는 등 경인교대와의 통합을 위해 꽤 열심히 뛰었다. 여기에 통합에 긍정적인 경인교대의 일부 교수들이 통합을 시사하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한경대와의 통합 가능성도 꽤 진지하게 논의되었다. 그러나 한경대와의 통합 논란 역시 지금은 잠잠해진 상태.
인천대의 경우 같은 인천[17] 지역의 국립대라는 점이 통합의 이유로 꼽혔다. 인천대는 현직 총장이 경인교대와의 통합을 공약으로 내세워 당선된 인물인데다, 경인교대와의 통합을 염두에 두고 공립대[18]인 학교 체제를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하였다. 경기캠퍼스 설립 이후 경인교대가 인천에 집중하지 않는 점을 불만스러워한 인천의 일부 정치인들도 인천대와의 통합을 적극적으로 밀었다. 그러나 경인교대와 인천대가 통합되려면 경인교대가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해야 1:1로 통합할 수 있는 기술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에, 경인교대와 인천대의 통합 논의는 완전히 무산되었다.
이렇게 인근 국립대와의 통합 가능성이 가시화되자, 경인교대 총학생회는 전국교육대학생대표자협의회(교대협)에 참여해 줄기차게 투쟁을 진행하였다. 교대생들의 투쟁은 2009~2011년경에 특히 극에 달하였다. 특히 2009년의 투쟁은 총학생회 차원에서 동맹휴업을 결의하고 3주간 수업을 거부하면서 강의가 마비되는 등, 여러 가지로 학교 안팎이 시끄러웠다. 해당 시기에 총장실이 있는 전산관 앞을 점령하고 하루 종일 있기도 했을정도.
그러나 08학번이 응시한 2012학년도 임용시험부터 경인교대 졸업생들의 취업률이 개선되고, 경인교대를 비롯한 대다수 교대의 총장들이 이명박 정부와 접촉해 교대 구조개혁에 합의하면서 교대의 통합 논란은 일단락되기는 했다. 이후 경인교대는 교육대학원 내에 박사과정을 설치하고 대학원생 규모를 늘리는 등[19] 나름의 자구 노력을 기울이는 중이기도 하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저출산 추세가 점차 심화되고 교대의 학부생 규모가 갈수록 줄어드는 한 경인교대의 통합 논란은 다시 재현될 것으로 보인다.

2. 입학관련사항



2.1. 경인교대 입학하기


경인교대는 교육대학 특성상 입학성적에서 최초합격자와 추가합격자의 스펙트럼이 넓은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점차 수시가 확대되는 추세이다.[20] 정시의 경우 나군에서 '경인교대 초등교육과'라는 단 하나의 단위로 모든 학생을 선발하는데, 이 인원이 전국 교대 중에 가장 많다. [21].
정시 선발비중이 여전히 높은 점[22], 선발하는 인원이 다른 일반대에 비해 월등히 높은 점[23] 등을 고려해 다른 일반대와 경인교대의 입결을 1:1로 비교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24]

2.2. 선발인원 및 성비제한


경인교대에도 다른 교대와 마찬가지로 성비 제한이 존재해서, 한쪽 성의 학생이 전체의 30%를 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학번별로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남학생의 비율은 33~36% 선에서 형성되어 교대들 중에서는 높은 편에 속한다.
10학번까지 학과별 학생수는 30명 정도였으나[25] 11학번부터는 양 캠퍼스를 통합해 모집하면서 학과 인원이 60명인 곳과 30명인 곳으로 나누어졌다. 이는 현재 매년 돌아가면서 작년에 60명 인원인 과는 올해 30명 인원이 배정되고, 30명 인원이었던 과는 그 다음 해에는 60명이 배정되는 식으로 번갈아가며 인원을 배정하고 있다.
여학생의 비율이 많고 수준이 많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26] 덧붙여서 장수생들이 많은 편. 그래도 교대 4년은 다니면 CC 한번은 될 수 있을 것이다.[27]
그리고 대부분 교대 남학생들은 일반대와 달리 임용에 합격하고 교대를 졸업한 후에야 군대를 간다. 특히 정교사로 발령을 받은 후 휴직하고 군에 입대하면, 군에 복무한 기간만큼을 호봉으로 인정해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교사 경력 및 근무경력으로는 인정하지 않는다.

3. 학과


경인교대에는 총 14개의 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바로 윤리, 국어, 사회과, 수학, 과학, 체육, 음악, 미술, 생활과학, 컴퓨터, 교육, 특수, 유아, 영어교육과이며, 이들은 차례대로 1~20반이 된다. 2017년 현재 14개 과임에도 왜 20반 이내냐 하면 한 반인 과와 두 반인 과가 있기 때문이다. 8개 과가 한 반, 6개 과가 두 반이다. 어떤 과가 두 개의 반으로 배정될지는 무작위이다. 그러나 국어과는 거의 15, 16, 17, 18을 봤을 때 해마다 두 반인해와 한 반인 해가 번갈아가며 있다.15, 17은 두 반이고, 16, 18은 한 반. 예를 들어 1학년 윤리교육과는 1학년 1반인 셈.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학기별로 수강신청을 실시할 때 위의 학과 순서대로 앞/뒷반이 편성되어[28] 앞/뒷반끼리 같은 수업을 듣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앞반인 윤리교육과 학생은 같은 앞반인 과학교육과 학생들과 같은 수업을 들을 수는 있어도, 뒷반인 유아교육과 학생들과 같은 수업을 들을 수는 없다. 이렇게 앞/뒷반이 로테이션하여 학기별로 수업을 듣게 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다른 일반대처럼 '주전공'이 아닌 '심화전공'을 기준으로 학과를 나눈 것이다 보니 생기는 시츄에이션인데, 결국 각 학과는 초중고등학교의 '반' 정도에 불과한 포지션이 되고,[29] 주전공은 전교생이 모두 '초등교육과'로서 졸업할 때 '교육학사' 학위를 받는다. 따라서 과외를 구하면서 자신이 소속된 학과를 밝힐 때 주전공(초등교육과)이 아닌 심화전공으로 이야기하면(예를 들어 '경인교대 미술교육과 재학 중' 이런 식으로) 상당히 난처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30] [31] 따라서 과외를 구할 때에는 자신의 소속을 가급적 '경인교대 초등교육과'로 밝히도록 하자.
과는 입학하면서 지망을 받아 추첨으로 정해진다. 100% 무작위 추첨은 아니고 입학성적[32]과 성비를 두루 고려해서 결정한다. 대체로 5~6지망 이내의 학과에 배정이 되지만 재수가 없으면 14지망에 배정되는 경우도 분명히 있다! 심지어 모 학과는 1지망으로 지원하지 않은 학생들만 모여있던 안습한 경우도 있다 카더라.
그래도 학과마다 심화전공이 다르기 때문에 특색이 없지는 않다. 1학년 2학기부터 한 학기에 1~2과목 꼴로 심화전공과목 수업을 수강하며, 4학년 수업실습에서는 교수님의 입회 하에 자신의 학과에 맞는 수업을 발표한다. 윤리교육과 학생은 교수님 앞에서 도덕 수업을, 생활과학교육과 학생은 실과 수업을 시연하는 셈.
남학생의 경우에는 음악교육과나 미술교육과에 가면 애로사항이 꽃핀다고 하지만, 분명히 많은 도움은 된다. 음악교육과에 가면 자신의 분과에 해당하는 악기 하나는 제대로 배울 수 있고[33] 미술 자체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널리 쓰이는 만큼 배워두면 손해는 아니다.
참고로, 컴퓨터교육과에 재학중인 남학생의 경우, 졸업 후에 공군 전산 관련 특기병으로 입대할 때 컴퓨터전공으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컴퓨터공학과와 동등한 학력으로 인정된다.
영어교육과의 경우 특히 다른 학과에 비해 학점경쟁이 치열하다. 전공 수업이나 전공심화 수업의 경우 대부분 영어로 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상당히 수업의 난이도가 높다. 그래서 몇몇 영어교육과 학생들은 학점 사수를 위한 방법으로, 수강신청을 할 때 시간표를 변경하여 독강을 하기도 한다. 단순히 '영어를 좀 배울 수 있으니 좋겠지?' 라는 생각으로 왔다가 후회하는 경우도 은근히 잦다. 기본적인 영어회화 과목이 있지만, 심화전공이 아니라 공통전공. 즉, 그정도 영어는 어느 과를 가도 필수로 배우는 것이고, 영어교육학에 대한 것을 추가로 배우는 것이다. 그리고 그 과목을 영어로 배운다는 것이 추가적인 난이도 상승의 조건. 교수마다 전부 영어로만 진행할 수도, 한국어랑 섞어서 할 수도 있지만 결국은 케바케.
과별로 학점 경쟁이 상이하다. 대체로 위에서 설명했던듯이 영어과가 대표적이며, 교육과와 국어과 세 과가 학점을 따기 힘들기로 유명하다. 과와 학번에 따라 학점 4.5만점 기준 4가 안돼도 반탑을 할 수 있는 과도 있으며, 3.5여도 반 (30명 초반 학생 수)내에서 20등대가 될 수도 있다. 혹시 장학금에 민감한 신입생이 이 글을 본다면 참고하시길.

4. 커리큘럼



4.1. 교대 입학과 학과 배정


  • 교대 입학전형이 마무리되는 2월 중순경이 되면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학과 배정을 실시한다. 이 때 배정된 학과는 본인이 전과를 따로 희망하지 않는 이상 졸업할 때까지 그 학과로 간다. 1학년 말에 전과할 수 있는 기회가 한 번 주어지지만, 어차피 심화전공을 기준으로 학과를 나눈 것이므로 큰 의미는 없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입학 당시의 학과로 졸업한다.

4.2. 교대의 수강신청


  • 요새는 강의 시간표를 선택할 수 있지만, 몇 년 전만 해도 고등학교처럼 시간표가 짜여져 나왔다.[34] 게다가 음악, 미술, 체육, 실과 등 일반대에서 배우지 않는 예체능 관련 과목까지 들으니 이게 뭐 대학교에 온 것인지, 4년제 고등학교에 온건지 구분이 안 된다. 괜히 '경인교육고등학교' 라고 부르는 게 아니다.
  • 교대 특성상 여전히 수강신청의 폭이 좁은 만큼 수강신청도 학년별로 하루씩 나뉘어 실시한다.
  • 교양과목을 1학년에, 2~4학년에 전공과목과 학과별 심화전공과목을 몰빵해서 수업을 받아왔으나 15학번부터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많지는 않지만 2,3학년에도 교양과목을 듣게되었다. 또 1학년들도 2학기에 심화전공수업을 하나씩 듣게 되었다.

4.3. 교육실습


  • 흔히들 '교생실습'이라고 불리는 그것. 정식 명칭은 교생실습이 아닌 '교육실습'이다. 참고로 교생은 교육실습생의 준말.

4.3.1. 인천/경기 캠퍼스 통합 이전(~10학번)


  • 인천캠퍼스와 경기캠퍼스가 통합되기 전에는 각 캠퍼스에 해당하는 실습학교만 고를 수 있었다. 그마저도 학과 내에서 동기들끼리의 제비뽑기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실습학교를 정한 후 학사정보시스템을 통해 신청하였다. 상대 캠퍼스의 실습 학교에 가고 싶어도 해당 학생들끼리의 1:1 트레이드 외에는 방법이 없었다.

4.3.2. 인천/경기 캠퍼스 통합 이후(11학번~)


  • 인천캠퍼스와 경기캠퍼스가 통합된 뒤에는 학생들이 인천과 경기권의 실습학교를 모두 고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출퇴근상 학교 위치 선호도를 고려하여 인천 시내, 경기 일반, 경기 원거리로 구분해 신청을 한다.
  • 수강신청이나 셔틀버스 신청 같은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실습 가능한 학교는 다음과 같다.

4.3.3. 교육실습학교


'''경인교육대학교의 실습학교'''
'''인천광역시'''
2, 3학년(28개교)
학교
주소
학급 수
가까운 전철역
비고
경인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홈페이지
계양구 안남로 612 (효성동)
24
584 '''20'''분)

인천구산초등학교
홈페이지
부평구 부개로 93 (부개동)
25
7}}} {{{#000000,#e5e5e5 삼산체육관
(도보 '''5'''분)

인천금마초등학교
홈페이지
부평구 일신로 88 (구산동)
20
급행99 '''15'''분)

인천논현초등학교
홈페이지
남동구 소래역로 102 (논현동)
32
수인}}} {{{#000000,#e5e5e5 소래포구
(도보 '''15'''분)
유네스코학교
인천단봉초등학교
홈페이지
서구 단봉로 122 (오류동)
36
인천2}}} {{{#000000,#e5e5e5 왕길
(도보 '''15'''분)

인천당하초등학교
홈페이지
서구 청마로 144 (당하동)
46
인천2}}} {{{#000000,#e5e5e5 완정
(도보 '''15'''분)

인천대화초등학교
홈페이지
미추홀구 석정로301번길 13 (도화동)
26
1}}} {{{#000000,#e5e5e5 도화
(도보 '''10'''분)
재지정[56]
인천도화초등학교
홈페이지
미추홀구 경인로 242 (도화동)
39
1}}} {{{#000000,#e5e5e5 도화
(도보 '''10'''분)

인천동막초등학교
홈페이지
연수구 원인재로 36 (동춘동)
24
인천1}}} {{{#000000,#e5e5e5 동막
(도보 '''10'''분)

인천마전초등학교
홈페이지
서구 완정로34번길 23 (마전동)
35
인천2}}} {{{#000000,#e5e5e5 마전
(도보 '''15'''분)

인천명현초등학교
홈페이지
계양구 봉오대로569번길 10 (효성동)
18
인천1}}} {{{#000000,#e5e5e5 작전
(도보 '''20'''분)

인천서림초등학교
홈페이지
동구 금곡로 105 (송림동)
27
1}}} {{{#000000,#e5e5e5 도원
(도보 '''15'''분)

인천서흥초등학교
홈페이지
동구 샛골로 189 (송림동)
30
506 '''20'''분)

인천석암초등학교
홈페이지
미추홀구 주안동로 46 (주안동)
37
인천2}}} {{{#000000,#e5e5e5 주안
(도보 '''20'''분)

인천석정초등학교
홈페이지
남동구 석정로439번길 32 (간석동)
36
1}}} {{{#000000,#e5e5e5 간석
(도보 '''10'''분)

인천소래초등학교
홈페이지
남동구 장도로 2 (논현동)
24
수인}}} {{{#000000,#e5e5e5 소래포구
(도보 '''15'''분)

인천신석초등학교
홈페이지
서구 새오개로 9 (석남동)
20
인천2}}} {{{#000000,#e5e5e5 석남
(도보 '''30'''분)

인천신현초등학교
홈페이지
서구 율도로77번길 1 (신현동)
20

인천완정초등학교
홈페이지
서구 완정로 99 (마전동)
27
인천2}}} {{{#000000,#e5e5e5 마전
(도보 '''5'''분)

인천용학초등학교
홈페이지
미추홀구 용정공원로83번길 9 (용현동)
47
수인}}} {{{#000000,#e5e5e5 인하대
(도보 '''10'''분)

인천원동초등학교
홈페이지
남동구 논고개로 38 (논현동)
43
수인}}} {{{#000000,#e5e5e5 소래포구
(도보 '''15'''분)

인천진산초등학교
홈페이지
부평구 굴포로 194-10 (삼산동)
16
7}}} {{{#000000,#e5e5e5 삼산체육관
(도보 '''20'''분)

인천첨단초등학교
홈페이지
연수구 송도교육로 20 (송도동)
55
81 '''10'''분)

인천청람초등학교
홈페이지
서구 청라커낼로 336 (청라동)
49
42 '''30'''분)

인천청천초등학교
홈페이지
부평구 산청로127번길 12-5 (청천동)
16
526 '''20'''분)

인천해원초등학교
홈페이지
서구 청라사파이어로140번길 5 (청라동)
69
9300 '''35'''분)

인천효성남초등학교
홈페이지
계양구 새벌로 125 (효성동)
32
인천1}}} {{{#000000,#e5e5e5 작전
(도보 '''15'''분)

교동초등학교[57]
홈페이지
강화군 교동면 대룡안길 29
6
18 '''50'''분)
어촌소규모학교

4학년(38개교)
학교
주소
학급 수
가까운 전철역
비고
경인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홈페이지
계양구 안남로 612 (효성동)
24
584 '''20'''분)

상인천초등학교
홈페이지
남동구 석산로141번길 29 (간석동)
26
인천2}}} {{{#000000,#e5e5e5 인천시청
(도보 '''15'''분)

인천가림초등학교
홈페이지
서구 장고개로293번길 29 (가좌동)
16
인천2}}} {{{#000000,#e5e5e5 인천가좌
(도보 '''10'''분)

인천가정초등학교
홈페이지
서구 장고개로 336-1 (가좌동)
31
593 '''20'''분)

인천가좌초등학교
홈페이지
서구 장고개로309번길 5 (가좌동)
29
593 '''10'''분)

인천검단초등학교
홈페이지
서구 마전로115번길 24 (마전동)
34
인천e음87[58] '''15'''분)

인천경원초등학교
홈페이지
미추홀구 경인로 511 (주안동)
47
1}}} {{{#000000,#e5e5e5 간석
(도보 '''10'''분)
재지정[59]
인천계양초등학교
홈페이지
계양구 장제로 1288 (장기동)
24
81-1 '''10'''분)

인천구산초등학교
홈페이지
부평구 부개로 93 (부개동)
25
7}}} {{{#000000,#e5e5e5 삼산체육관
(도보 '''5'''분)

인천구월서초등학교
홈페이지
남동구 문화서로77번길 14 (구월동)
36

인천굴포초등학교
홈페이지
부평구 충선로234번길 19 (삼산동)
39
7}}} {{{#000000,#e5e5e5 삼산체육관
(도보 '''20'''분)
재지정[60]
인천귤현초등학교
홈페이지
계양구 귤현길 15 (귤현동)
33
841 '''10'''분)

인천논현초등학교
홈페이지
남동구 소래역로 102 (논현동)
32
수인}}} {{{#000000,#e5e5e5 소래포구
(도보 '''15'''분)
유네스코학교
인천당산초등학교
홈페이지
계양구 동양로 122 (동양동)
52
841 '''15'''분)

인천도림초등학교
홈페이지
남동구 논고개로334번길 21 (도림동)
27
537 '''30'''분)

인천도화초등학교
홈페이지
미추홀구 경인로 242 (도화동)
39
1}}} {{{#000000,#e5e5e5 도화
(도보 '''10'''분)

인천동막초등학교
홈페이지
연수구 원인재로 36 (동춘동)
24
인천1}}} {{{#000000,#e5e5e5 동막
(도보 '''10'''분)

인천동방초등학교
홈페이지
남동구 논현역로 31 (논현동)
42
수인}}} {{{#000000,#e5e5e5 인천논현
(도보 '''5'''분)

인천부평서초등학교
홈페이지
부평구 부평문화로53번길 19 (부평동)
34

인천부현초등학교
홈페이지
계양구 장제로755번길 30 (계산동)
24
급행97 '''20'''분)

인천부현동초등학교
홈페이지
계양구 용종로 5 (계산동)
32
841 '''15'''분)

인천사리울초등학교
홈페이지
남동구 아암대로1437번길 50 (논현동)
23
인천e음53 '''20'''분)

인천상아초등학교
홈페이지
남동구 석산로184번길 6 (간석동)
33

인천서면초등학교
홈페이지
연수구 먼우금로 54 (동춘동)
26
인천1}}} {{{#000000,#e5e5e5 동막
(도보 '''20'''분)

인천송도초등학교
홈페이지
연수구 비류대로214번길 21 (옥련동)
18
수인}}} {{{#000000,#e5e5e5 송도
(도보 '''15'''분)

인천송원초등학교
홈페이지
연수구 송도과학로51번길 60 (송도동)
41

인천송천초등학교
홈페이지
남동구 앵고개로815번길 45 (논현동)
23
수인}}} {{{#000000,#e5e5e5 인천논현
(도보 '''15'''분)

인천승학초등학교
홈페이지
미추홀구 주승로 259 (관교동)
22

인천신선초등학교
홈페이지
중구 축항대로291번길 33 (신흥동3가)
21
14 '''25'''분)

인천약산초등학교
홈페이지
남동구 간석로26번길 10 (간석동)
27

인천연수초등학교
홈페이지
연수구 원인재로 324 (연수동)
18
인천1}}} {{{#000000,#e5e5e5 신연수
(도보 '''10'''분)

인천일신초등학교
홈페이지
부평구 항동로75번길 36 (일신동)
18
1}}} {{{#000000,#e5e5e5 부개
(도보 '''15'''분)

인천조동초등학교
홈페이지
남동구 백범로124번길 164 (만수동)
34
36 '''15'''분)

인천주원초등학교
홈페이지
남동구 주안로259번길 28 (간석동)
12
1}}} {{{#000000,#e5e5e5 간석
(도보 '''10'''분)

인천중산초등학교
홈페이지
중구 두미포로 100 (중산동)
43
인천e음13 '''25'''분)
영종도 내에 위치
인천초은초등학교
홈페이지
서구 청라에메랄드로 33 (연희동)
41
701 '''20'''분)

인천해송초등학교
홈페이지
연수구 인천타워대로54번길 46 (송도동)
30
재지정[61]
인천효성남초등학교
홈페이지
계양구 새벌로 125 (효성동)
32
인천1}}} {{{#000000,#e5e5e5 작전
(도보 '''15'''분)


'''경기도'''
3학년(16개교)
학교
주소
학급 수
가까운 전철역
비고
광명초등학교
홈페이지
광명시 광이로 21 (광명동)
25
7}}} {{{#000000,#e5e5e5 광명사거리
(도보 '''10'''분)

광일초등학교
홈페이지
광명시 목감로 34-6 (광명동)
28
6637 '''20'''분)
혁신학교
유네스코학교
철산초등학교
홈페이지
광명시 하안로 392 (철산동)
57
101 '''15'''분)
혁신학교
서당초등학교
홈페이지
성남시 분당구 돌마로476번길 30 (서현동)
29
520 '''15'''분)

곡선초등학교
홈페이지
수원시 권선구 덕영대로1217번길 36 (권선동)
26
82-1 '''20'''분)

망포초등학교
홈페이지
수원시 영통구 동탄지성로 550-10 (망포동)
47
8 '''10'''분)

정천초등학교
홈페이지
수원시 장안구 화산로 83 (천천동)
33
27-1 '''15'''분)

팔달초등학교
홈페이지
수원시 팔달구 권광로367번길 22 (우만동)
29
32-4 '''25'''분)
유네스코학교
시흥초등학교
홈페이지
시흥시 정왕대로143번길 15 (정왕동)
30
4}}} {{{#000000,#e5e5e5 정왕
(도보 '''25'''분)[62]

시흥장현초등학교
홈페이지
시흥시 시청로80번길 5 (장현동)
17
서해}}} {{{#000000,#e5e5e5 시흥시청
(도보 '''10'''분)

초지초등학교
홈페이지
안산시 단원구 초지로 153 (초지동)
31
500 '''15'''분)

대덕초등학교
홈페이지
안성시 대덕면 모산로 84
6
380 '''45'''분 → 도보 '''30'''분)
농촌소규모학교
모범혁신학교
삼성초등학교
홈페이지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40 (석수동)
38
1}}} {{{#000000,#e5e5e5 관악
(도보 '''5'''분)

석수초등학교
홈페이지
안양시 만안구 석수로 110 (석수동)
24
9 '''20'''분)
2018년 재계약[63]
평택지산초등학교
홈페이지
평택시 지산2로 57 (지산동)
23
1}}} {{{#000000,#e5e5e5 송탄
(도보 '''20'''분)

한백초등학교
홈페이지
화성시 동탄순환대로26길 37 (영천동)
39
712 '''50'''분)


4학년(13개교)
학교
주소
학급 수
가까운 전철역
비고
인창초등학교
홈페이지
구리시 동구릉로 37-13 (인창동)
25
1115-6 '''25'''분)
혁신학교
관모초등학교
홈페이지
군포시 곡란로8번길 35-22 (산본동)
12
1 '''10'''분)
혁신학교
운유초등학교
홈페이지
김포시 김포한강2로 239 (장기동)
59
김포}}} {{{#000000,#e5e5e5 장기
(도보 '''15'''분)
혁신학교
구미초등학교
홈페이지
성남시 분당구 미금로22번길 25 (구미동)
22
분당}}} {{{#000000,#e5e5e5 오리
(도보 '''20'''분)

보평초등학교
홈페이지
성남시 분당구 동판교로 154 (삼평동)
48
경강}}} {{{#000000,#e5e5e5 판교
(도보 '''10'''분)
모범혁신학교
매원초등학교
홈페이지
수원시 영통구 광교호수공원로 100 (원천동)
52
201 '''15'''분)
혁신학교
산의초등학교
홈페이지
수원시 영통구 센트럴타운로22번길 25 (이의동)
61
혁신학교
중앙기독초등학교
홈페이지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70 (원천동)
33
201 '''20'''분)
사립학교
미션스쿨
승지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시흥시 승지로 110 (능곡동)
19
서해}}} {{{#000000,#e5e5e5 시흥능곡
(도보 '''10'''분)
재지정[64]
혁신학교
하중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시흥시 하중로209번길 10 (하중동)
25
530 '''15'''분)
혁신학교
안양서초등학교
홈페이지
안양시 만안구 양화로37번길 32 (안양동)
26
52 '''20'''분)
모범혁신학교
동패초등학교
홈페이지
파주시 교하로 272 (동패동)
15
80 '''25'''분)
혁신학교
2020년 9월 이전 예정[65]
숲속초등학교
홈페이지
화성시 동탄공원로2길 10 (반송동)
27
709 '''20'''분)
혁신학교

'''지정 해제 학교'''
목록
학교
주소
지정해제년도
비고
상지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부천시 장말로 189 (중동)
'''2015년'''

초당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중앙로 78 (중동)
'''2015년'''

안산호원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1로 100 (초지동)
'''2015년'''

당정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군포시 고산로151번길 26-24 (당정동)
'''2015년'''

풍산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숲속마을로 51 (풍동)
'''2015년'''

인천용마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세월천로30번길 58 (청천동)
'''2016년'''

인천주안북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석정로375번길 14 (주안동)
'''2016년'''

숙지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덕영대로735번길 23-1 (화서동)
'''2017년'''

가좌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가좌2로 31 (가좌동)
'''2017년'''

인천병방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계양구 병방로 2 (병방동)
'''2018년'''

인천해서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로 42-1 (계산동)
'''2018년'''

남수원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경수대로235번길 24 (세류동)
'''2018년'''
[66]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초등학교
홈페이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64 (이화동)
'''2018년''';
국립학교
인천간재울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서구 승학로 433 (검암동)
'''2019년'''

인천마장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안남로 266 (청천동)
'''2016년''', '''2019년'''

인천문학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매소홀로 553 (문학동)
'''2019년'''

인천불로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서구 검단로744번1길 50 (불로동)
'''2019년'''

인천송명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교육로 19 (송도동)
'''2019년'''

인천신광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중구 인중로 63 (신흥동3가)
'''2019년'''

인천연성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원인재로 116 (동춘동)
'''2016년''', '''2019년'''

인천연화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원인재로 150 (연수동)
'''2019년'''

인천작전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계양구 주부토로 456 (작전동)
'''2019년'''

양사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사면 덕하로 145
'''2019년'''

인천가좌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서구 장고개로309번길 5 (가좌동)
'''2020년'''

인천간석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남동구 석산로208번길 37 (구월동)
'''2020년'''

인천능내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서구 검단로540번길 23 (마전동)
'''2020년'''

인천동부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서로33번길 25 (만수동)
'''2020년'''

인천삼산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후정동로 44 (삼산동)
'''2020년'''

인천숭의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장천로 99 (숭의동)
'''2020년'''

인천신현북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로 147 (신현동)
'''2020년'''

인천학산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한나루로357번길 66 (학익동)
'''2020년'''

인천화전초등학교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계양구 효서로303번길 8 (작전동)
'''2020년'''

도덕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광명시 가마산로 28 (철산동)
'''2020년'''

광정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군포시 산본로386번길 5-20 (산본동)
'''2020년'''

고창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1로98번길 35 (장기동)
'''2020년'''
혁신학교
계수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시흥시 계수로 203 (계수동)
'''2020년'''
혁신학교
광덕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내리1길 25
'''2020년'''
농촌소규모학교
혁신학교
덕도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광적로224번길 122
'''2020년'''
농촌소규모학교
능서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마장로 64
'''2020년'''
농촌소규모학교
혁신학교
구갈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로 36 (구갈동)
'''2020년'''

서룡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1281번길 11 (역북동)
'''2020년'''

의정부서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의정부시 둔야로 57 (가능동)
'''2020년'''

송신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평택시 송월로32번길 32 (신장동)
'''2020년'''
혁신학교
구름산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광명시 한내일로 5 (소하동)
'''2020년'''
혁신학교
온신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광명시 범안로 657 (노온사동)
'''2020년'''
혁신학교
한얼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군포시 산본천로 136 (산본동)
'''2020년'''
모범혁신학교
상동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부천시 부흥로 70 (상동)
'''2020년'''

상탑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647 (야탑동)
'''2020년'''
혁신학교
별망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1로 51 (초지동)
'''2020년'''
혁신학교
안산초등학교
홈페이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2길 13-7 (수암동)
'''2020년'''
혁신학교

  • 2015년: 계약이 만료된 학교들은 경인교대 측에서 추가로 다른 학교를 구해야 하지만 학교측에서 구하려는 의지가 없어보인다. 또한, 장기적으로 볼 때, 경기도교육청에서 병크를 저질러 실습학교 점수를 폐지하였기 때문에, 경기도에 실습학교가 남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경기도교육청도 실수하고, 학교측에서 항의도 제대로 않고 알아서 하라는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전망이 어둡다. 그런데, 경기도교육청에서 6개의 학교를 확보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교생 실습난 해소' 지역·특성별 시스템 만든다
  • 2016년: 계약이 만료된 학교는 인천의 학교들로, 만료된 만큼 추가로 채워졌기 때문에 학교 개수의 변화는 없다.

  • 2017년: 늦어지는 발표에 경기도교육청에 문의한 결과 몇몇 학교들이 증가 되었고, 변경된 점은 그 동안은 학년과 관계없이 한 학교를 계속 다닐 수 있었다면 이제는 학년 별로 갈 수 있는 학교가 다르다는 점이다. 우려와 다르게 도시의 학교들도 많이 섞여있다.
  • 2018년: 2학년 참관실습을 위해 인천의 학교가 대거 증가되었고, 3학년과 4학년 학교들도 소폭 증가되었다.
  • 2019년: 인천의 학교가 대거 교체되었고 그 과정에서 1개의 학교가 감소하였으며, 경기의 경우 3학년 학교가 2개 증가, 4학년 학교가 2개 증가, 1개 감소되었다.
  • 2020년: 경기의 학교 수가 감소하였고, 인천의 학교 수가 대거 증가되었다.
인천(2, 3, 4) 21개교 → 인천(2, 3) 28개교 / 인천(4) 38개교
경기(3) 21개교 → 16개교(증가: 6 / 감소: 11)
경기(4) 16개교 → 13개교(증가: 4 / 감소: 7)

4.3.4. 이모저모


  • 15학번부터 학교 커리큘럼이 바뀌었기 때문에 1학년은 참관실습을 나가지 않는다. 대신 1주일동안 '가정학습주간'이라는 명목으로 학교를 쉰다! 다만 없던게 생긴게 아니고 원래부터 1학기에는 2, 4학년, 2학기에는 1, 3학년이 실습을 나가면서 실습을 나가지 않는 시기에는 일주일씩 쉬었다. 즉, 어차피 1학기에 1학년은 원래 일주일 쉬는거.
'''경인교육대학교의 교육실습'''
학년/학기
실습명
이수학점
교육실습 기간
운영형태
실습장소
1~2
교육봉사
P/F
30시간
현장실습(멘토링)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2/1
참관실습
1
4/16~4/27
현장실습
인천22개교/경기1개교
3/2
수업실습
1
10/15~11/2
현장실습
인천22개교/경기20개교/서울1개교
4/1
수업·실무실습
2
6/4~6/29
현장실습
인천22개교/경기15개교
  • 참관실습에서는 말 그대로 현직 교사의 수업과 학급 경영 모습을 '참관'만 하므로 '놀다 오는' 의미가 강한 실습이다. 그러나 초등학교 현장을 직접 경험하기 때문에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경험하는 중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교대에서 수업을 들을 때에는 교사가 어떤지 느끼지 못하다가, 실습을 다녀온 후 "교대 오길 잘했다" 하는 학생들과 "괜히 교대왔다" 하는 학생들로 반응이 갈린다. 초등교사로서 적성이 정말 아니다 싶은 일부 학생들은 이 시기에 반수를 택하기도 한다.
  • 수업실습에서는 말로만 듣던 지도안[35]을 직접 짜고 지도교사의 참관 하에 수업을 해보는 기회를 갖는다. 현행 경인교대 학칙상 3학년 학생들은 7~11차시, 4학년 학생들은 16차시의 수업을 실습하게 되어 있다. 실습학교에 따라 해야할 차시가 다르다. 지도안을 짜고 또 동시에 수업을 준비하느라 밤샘은 기본이고 건강이 피폐해지는 시기이므로 주의하자. 지도교사에게 결재는 미리미리 맡도록.

4.4. 학년별



4.4.1. 1학년


  • 대부분 교양과목을 듣고 여기에 교직전공과목을 약간 듣는 정도이다. 때문에 나름의 큰 기대(?)를 갖고 경인교대에 입학한 학생들 중에는 정체성의 혼란(?)을 일으키는 학생도 있다. 교직관련 전공 과목은 2학기까지 '유아교육의 이해'와 '교육과정과 수업', '교육의 이해와 교육 심리'가 전부이기 때문이다. 대신 다른 과목은 몰라도 교직전공과목만은 꼭 제대로 듣도록 하자.
  • 체육, 음악, 미술 실기 Ⅰ-1을 듣는다. 초등학교 교사를 양성하는 교대가 다른 일반대와 가장 차별화되는 부분. 초 · 중 · 고 학창시절과 동일하게 교수님으로부터 실기 수업을 받는다. 교수님마다 약간의 커리큘럼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대체로 체육 실기 Ⅰ-1에서는 서양 체조[36], 음악 실기 Ⅰ-1에서는 서양음악 실기[37], 미술 실기 Ⅰ-1에서는 기본적인 서양화 그리기 수업을 받는다. 그러나 수업의 수준은 중 · 고등학교 예체능 실기 수업과 별 차이가 없다. 참고로 소문과는 달리 쫄쫄이를 입고 체육실기 Ⅰ-1 수업을 받는 일은 없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다.
  • 이제 2학년 1학기까지 실습을 가지 않는다. 대신 2학년 까지 교육봉사를 24시간 채워야 한다.

4.4.2. 2학년


  • 전공과목을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작하는 학년이다. 주로 교과교육론 Ⅰ(국어과교육, 수학과교육, 사회과교육 하는 그것)과 교직관련 전공과목(교육사회학, 특수아동의 이해), 학과별 심화전공 수업으로 나뉜다. 특히 교과교육론 Ⅰ 수업에서는 각 교과의 역사와 주요 이론같은 정말 기본적인 내용이 나온다. 이때 배운 내용이 임용시험에서 제법 출제되기도 하므로 잘 들어두는 것이 좋다. 본격적으로 과제가 많아지는 시기이지만 전공과목이므로 대충 할 수도 없다.
  • 체육, 음악, 미술 실기 Ⅰ-2를 듣는다. 교수님마다 약간의 커리큘럼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체육 실기 Ⅰ-2 수업에서는 구기종목 실기, 음악실기 Ⅰ-2 수업에서는 국악기 반주, 미술실기 Ⅰ-2 수업에서는 조형 실기를 다룬다.
  • 1학기에는 참관실습 Ⅱ가 있는데, 2주 간이므로 아이들과 정도 많이 들고 현장에서 배우는 것도 많다.
  • 1학년에 비해 갑자기 늘어난 과제의 양과 이수 과목의 난이도 상승으로 인해 대부분의 학생들이 고통을 느낀다.

4.4.3. 3학년


  • 3학년에는 교과교육론 Ⅱ와 교직관련 전공과목(교육연구통계 등), 학과별 심화전공 수업을 듣는다. 교과교육론 Ⅱ에서는 임용시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수업모형[38]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그런 만큼 이 시기에는 과목별로 교수님 앞에서 수업실연도 준비해야 한다. [39] 덕분에 태어나서 수업을 처음 해보는 학생들은 멘붕에 빠지고, 조별로 모여 수업을 준비하느라 학교에서 밤을 새는 경우도 흔하다.[40] 수업실연 외에 이런저런 과제들도 지겹도록 내 주신다. 학생들이 본인 수업만 듣는 게 아니건만...
  • 체육, 음악, 미술 실기 Ⅱ를 듣는다. 교대생 전체가 다같이 듣던 체육, 음악, 미술 실기 Ⅰ과는 달리 선택해서 들을 수 있다.[41] 체육, 음악, 미술 실기 Ⅰ에서 심화된 내용을 배운다고 보면 되며, 체육의 개별 종목(골프, 스키[42], 무용, 테니스)이나 음악과 미술의 특정 분과(국악, 피아노, 성악, 조소, 동양화, 서양화, 디자인)를 배운다.
  • 2학기에는 3주 간의 수업실습 Ⅰ이 있다. 이 때부터는 본격적으로 지도안을 짜고 수업까지 하므로 마냥 즐겁게만 실습을 다녀올 수 없다. 지도교사와의 협의 시간에 신나게 까이고 퇴근해서는 지도안 짜랴, 수업 준비하랴 정신없어서 밤샘도 마다하지 않는 시기다. 위에서도 언급했듯 3학년 학생들은 현행 경인교대 학칙상 3주간 총 7~11차시의 수업을 실습한다.

4.4.4. 4학년


  • 역시 4학년 생활의 알파이자 오메가는 임용시험이다. 임용에 관심없던 학생도 이 시기에는 구자경, 백승기의 이름을 듣기 시작하고 제각기 공부를 시작한다. 하루종일 도서관에 서식하므로 앞반, 뒷반 할 것 없이 서로의 얼굴쯤은 익힐 수 있으며, 학우들 간 소문이 가장 퍼지기 쉬운 시기이기도 하다.
  • 임용시험 준비를 위해 도서관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지만 이 때에도 수업은 듣는다. 과제도 있다. 대신 교수님께 징징거리면 뭐.. 감해주시기도 한다. 대신 1~3학년까지의 절반 수준인 한 학기 9~10학점 정도. 교대 다니면서 가장 중요한 교과교육론 수업은 3학년에 다 마치고, 4학년에는 교직전공과목과 학과별 심화전공 수업을 마치는 정도로 마무리하는 것이다.
  • 1학기에는 4주간 수업실습 Ⅱ · 학급경영실습을 다녀온다. 보통 6월 한 달간 다녀오게 된다. 실습으로 인해 수업시간의 부족을 막기 위해 집중이수제를 시행해서, 이전까지 2학점의 경우 3시간을, 3학점의 경우 4시간을 수업 하는 식으로 시간을 늘려서 수업한다. 수업실습 Ⅱ에서는 3학년에 비해 4차시가 늘어난 총 16차시의 수업을 실습하며, 하루동안 수업 전체와 학급경영을 실습해보는 기회(일일담임제)도 있다
  • 1학년들 중에는 4학년 때 임용시험만 공부한다고 생각하는 꼬꼬마들이 있지만, 졸업기준을 채우지 못한 학생들은 그걸 채우느라 피똥 싸는 시기이기도 하다. 특히 음악, 미술, 체육교육과의 경우 학과의 특성에 맞는 졸업연주회, 졸업작품 전시회를 준비하거나 분과별로 교수님께 실기 테스트를 받는다. 빨리빨리 해치우지 않으면 임용시험 준비에 애로사항이 꽃피므로 주의. 얼른얼른 끝내는게 본인에게 편하다.

4.5. 졸업


기본적으로 졸업을 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2015년에 교육과정이 변경되었기 때문에 2015년 기준으로 서술한다.

4.5.1. 졸업에 필요한 학점


  • 졸업에 필요한 학점은 교양과정, 전공과정, 교직과정, 심화과정, 교육실습을 합해서 산출된다.
  • 10학번~14학번은 144학점, 15학번은 142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 졸업에 필요한 성적의 평점 평균은 2.1이상이어야 한다.
  • 특히 교원자격 무시험검정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전공과정의 평점은 2.1이상, 교직과정 성적의 평점 평균은 2.6이상이어야 한다.

4.5.2. 심화전공별 졸업논문 및 논문대체


  • 원래 졸업을 위해서는 3학년 2학기 때 졸업논문계획서를 작성하고, 4학년 2학기 때까지 논문을 제출하여야 하지만 아무도 이렇게 하지 않고, 논문 외에 다른 방법으로도 졸업을 한다.
  • 논문 외의 다른 방법은 학과마다 다르다.
  • 윤리교육과는 봉사활동, 요약문, 학술조사보고서, 교재 요약 발표, 도서 번역, 독서지도사 자격(초급 이상) 수료 중 하나를 수행하면 된다.
  • 국어교육과는 도서 번역, 교재 개발, 문학 창작, (한)국어능력시험 급수 획득, 지도사 자격(논리논술, 독서, 동화구연, 속독, 스피치, 시낭송) 3급 획득, 지도사 자격(독서, 논술, 동화구연 / 초급 이상) 수료, (한)국어 지도 경력 제출 중 하나를 수행하면 된다.[43]
  • 사회과교육과는 현장보고서 제출(역사, 지리, 사회 영역), 도서 번역, 학술조사 참가 및 보고서 작성 중 하나를 수행하면 된다.
  • 수학교육과는 연구보고서, 수학교구 개발 및 발표회, 자격(주산암산수학, 수학영재, 우수아창의수학, 주산활용수학교육사) 수료 중 하나를 수행하면 된다.
  • 과학교육과는 원서 번역, 학술조사보고서, 탐구활동 자료 개발 중 하나를 수행하면 된다.
  • 체육교육과는 졸업 실기, 원서 번역 중 하나를 수행하면 된다.
  • 음악교육과는 졸업 실기로만 대체 가능하다.
  • 미술교육과는 작품전(동양화, 서양화, 조소, 디자인, 서예)으로만 대체 가능하다.
  • 생활과학교육과는 학술조사보고서, 실기 작품 발표, 실과 교수학습자료 개발,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이상 / 입학 후) 획득, 원서 강독 및 해석 중 하나를 수행하면 된다.
  • 컴퓨터교육과는 교수학습용(CAI) 프로그램 제작, 자격증(정보처리기사[44] 이상 / 입학 전후) 획득, 전국or교내 교육용 소프트웨어 공모전 입선 중 하나를 수행하면 된다.
  • 교육학과는 학술조사보고서, 현장연구보고서, 자기체험보고서, 독서 보고, 자격(자기주도학습지도사, 독서지도사, 심리상담사) 수료 중 하나를 수행하면 된다.
  • 특수(통합)교육학과는 학술조사보고서, 현장연구보고서, 자기체험보고서, 독서 보고, 자격(자기주도학습지도사, 수학영재지도사, 심리상담사, 독서지도사, 종이접기지도사) 수료 중 하나를 수행하면 된다.
  • 유아교육과는 자격증(어린이 국악교육지도사 3급, 종이접기지도사 초급, 동화구연지도사 2급, 유아독서지도사) 취득, 학술조사보고서, 독서보고서, 원서번역보고서 중 하나를 수행하면 된다.
  • 영어교육과는 초등영어교육 관련 연구보고서로만 대체 가능하다.[45]

4.5.3. 영어능력인증


  • 15학번부터 4학년 1학기 까지 영어능력을 인증해야 한다.
  • 세 가지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하면 되는데, '영어커뮤니케이션' 과목에서 'A+', 'A'를 획득하거나, 평생교육원 영어회화 과목(중급 이상)을 수강하거나 공인영어시험에서 기준성적을 넘어 이를 제출해야 한다.
  • 공인영어시험 기준성적은 TOEIC 700, TOEIC S 120, IBT 80, TEPS 556, PELT S&W 200, 이다.
  • 영어교육과는 이보다 높은 점수를 획득해야 한다. 기준성적은 TOEIC 730, TOEIC S&W 270, IBT 80, TEPS 650, PELT S&W 214, SEPT 5급, NEAT 221 이다.
  • 만약 4학년 1학기까지 인증을 못하면 방학 중 졸업인증용 영어강좌에서 C0 이상 성적을 받아야 한다.

4.5.4. 한자능력인증


  • 15학번부터 4학년 1학기 까지 한자능력을 인증해야 한다.
  • 공인한자시험 기준성적은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3급, 한자자격시험 3급, 한자급수자격검정시험 준2급, 실용한자자격검정 3급, 한국한자검정 3급, 한자능력자격검정 준2급, 상공회의소한자 3급, YBM 商務漢檢 3급 이다.
  • 만약 4학년 1학기까지 인증을 못하면 방학 중 졸업인증용 한자강좌에서 C0이상 성적을 받아야 한다.
  • 19학번부터 폐지되었다.

4.5.5. 교직 적성 및 인성 검사


  • 15학번부터 재학 중 2회 이상 적격판정을 받아야 한다.
아니다. 언제부턴지는 모르겠지만 부적격 판정시 졸업 교수랑 면담 1회 센터에서 하는 면담을 3~5회 받으면 재시험 권리를 주며 그렇지 않으면 재시험조차 할 수 없다.

5. 대학생활


  • 사실상 남남처럼 돌아가던 인천캠퍼스와 경기캠퍼스가 2011년에 통합되면서, 11학번부터 1학년은 인천캠퍼스, 2학년부터는 경기캠퍼스로 이동하여 대학생활을 한다. 14학번부터는 2+2 체제로 다시 바뀌어 1~2학년은 인천캠퍼스, 3~4학년은 경기캠퍼스에서 생활한다. 경인교대 측에서는 양 캠퍼스간 셔틀버스를 운영하여 학생들의 통학을 돕고 학교 행사를 치르는 데 이용하고 있다. 캠퍼스 통합 당시 '동아리의 날'을 운영하고 셔틀버스를 충분히 확보해 대학생활에 무리가 없도록 하겠다던 학교측의 말은 옛말. 배차간격이 1시간을 우습게 넘어가므로 인천캠퍼스 (2017년 말~2018년 초의 공사로 인해 분수대는 사라진 상태.) 대학 본부 앞과 경기캠퍼스 행정관 앞은 셔틀버스를 이용하려는 학생들로 전쟁이다. 최근에는 셔틀버스를 이용하려면 학사정보시스템을 이용해 미리 신청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셔틀버스를 타지 못한 학생들은 인천 지하철 1호선7호선, 1호선 지하철을 타고 양 캠퍼스를 오가는데 가히 지옥이다. 차를 이용하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제2경인고속도로를 타고 25~30분 정도에 주파할 수 있는 거리를 지하철 속에 1시간 30분 가까이 갇혀 있어야 하기 때문. 그래서인지 교수들 자가용으로 출퇴근하기 편한 곳에 경기캠퍼스를 지었다는 소문도 있다. '인천 거주' 경인교대 정교수 18% 불과 경인교대 정교수 대부분 외지거주
  • 통합 초기 양 캠퍼스에서 서로 성격이 비슷한 동아리를 통합하거나 연계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양쪽 동아리 간의 주도권 싸움으로 지금은 사실상 유야무야된 상태다. 현재는 사실상 양 동아리가 신입생을 따로 받는다고.
  • 14학번부터는 2+2 체제로 바뀌어 1~2학년은 인천캠퍼스에서, 3~4학년은 경기캠퍼스에서 보내게 되었다. 결국 후배를 4학년이 되어서야 받는 13학번만 피 봤다.

5.1. 동아리


  • 현재 경인교대 동아리연합회(동연)에 등록되어 있는 동아리는 총 31개 (2015년 기준으로 정동아리로 등록된 동아리) 다. 크게 예술 1 · 2, 종교, 학술, 운동, 봉사 동아리로 나뉘어 관리된다.
  • 신입생과 2학년이 인천캠퍼스에 있기 때문에 인천캠퍼스 동아리연합회와 경기캠퍼스 동아리연합회가 통합된 제 1 대 통합동아리연합회가 2015년 당선되었다.

5.1.1. 동아리 이모저모


  • 학마을, 바라, Love Ace, 동그라미, 건드렁, 풍류회, 아페이론은 인천교육대학 시절부터 내려온 유서 깊은 동아리로, 현직 교사로 있는 선배들과의 교류도 활발한 편이며 교직 대신 해당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선배도 있다.

5.2. 대학언론


현재 경인교대에는 GNEWS(경인교대 신문사), 월미도(교지편집위원회), GIEBS(경인교대 교육방송국)까지 3개의 언론사가 존재한다. 사실 따지고 보면 대학언론도 엄연한 학생들의 동아리의 개념이지만, 이들은 동아리연합회 소속이 아니라 학교 산하 '미디어센터'에 따로 소속되어 학교 측의 직접적인 지원과 감독을 받는다. 따라서 여기 속해있는 학생들은 임명장을 받고, 학기 별로 봉사장학금 혜택도 받는다.
역사는 미디어 3사 모두 다른 동아리들에 비해 상당히 긴편이다.(1960년대부터 존재함) 신문사 > 월미도 > 방송국(GIEBS) 순으로 오래되었다고 한다. 인원 규모는 방송국(GIEBS) > 신문사 > 월미도이다.
각 언론사들이 하는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신문사 - 월간 교내 대학신문 발간 및 배포
월미도 - 연 1회 이상 교지 제작 및 배포
방송국 - 교내 라디오 방송 제작 및 송출, 가요제(1학기)와 방송제(2학기) 진행
이 외에도 각 언론사 별로 방학 때에 진행하는 자체 연수, 언론 3사 간 연합해서 대학교 교직원들과 함께 진행하는 미디어 연수 등이 있다. (다른 동아리들에 비하면 조금 더 바쁘고 보람찬편)
신입생 모집은 매년 3월 초에 이루어지며, 1학년 때가 아니라면 들어가지 못한다. 모집절차는 언론사 별로 각자 다르지만 대개 면접으로 선발한다.

5.3. 장학금


장학금을 많은 학생들에게 주는 편이다. 학과 수석은 전액장학금(약150~160만원 가량),학과 차석은 100만원 지급, 전교 수석은 300만원 지급이며, 그밖에도 성적 상위 7%(사도장학금)에게 50만원을 지급한다. 2015년 현재의 시점에서 160만원 가량이 등록금이니, 장학금이 큰 혜택을 주는 편이다.

6. 대학가


경인교대의 학생 수가 워낙 적기 때문에[46] 인천, 경기 양 캠퍼스 모두 주변에 제대로 된 대학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47] 계양산 자락에 있는 인천캠퍼스도 을씨년스러운 편이지만[48] 특히 경기캠퍼스는 절망 그 자체..

6.1. 인천캠퍼스


놀거리가 정말 없다. 인천캠퍼스가 위치한 계산1동은 계양구 내에서도 오래된 구도심이나 변두리로 통하는 곳이라, 교대생을 제외하더라도 유동인구 자체가 적기 때문이다. 그나마 인천캠퍼스 주변에서 즐길 수 있는 유흥거리로는 노래방이 있는데, 가격은 모두 2만원으로 비싼 편이다. 주로 사람이 많이 모이면 가는 편인데, 특히 에이스 노래방은 어떤 학생도 기계를 이기지 못해 모두 GG치고 나갔다는 소문이 들려온다. 때문에, 비싼 일반 노래방 대신 대부분은 1곡에 300원, 2곡에 500원, 4곡에 1,000원인 동전노래방을 이용한다. 인천캠퍼스 앞 도로인 계산로(구 교대길) 주변에서 장사하는 식당의 수가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라 암울한 학생들의 대학생활을 더욱 안습하게 만들고 있다. 그나마 옆 경인여대 쪽으로 가면 좀 낫긴한데....
2010년대 초반까지는 그래도 일반적인 대학가 앞 수준은 아니어도 어느정도 수준은 유지했는데, 캠퍼스 통합 후 3, 4학년이 경캠으로 가게 되면서 상권이 완전히 죽어버렸다. 아무래도 6시 이후의 유동인구는 대개 3, 4학년[49], 그 중에서도 도서관에서 임용 준비하는 4학년이 대부분이었는데, 그 인원들이 빠져버리면서 단순히 학생 수가 절반으로 줄어든 여파라고 보기엔 타격이 큰 듯 하다. 그러다보니 인캠에 있는 1, 2학년도 부평을 비롯한 타 번화가로 가버리는 연쇄 효과까지. 현재 저녁시간대에는 학교 앞에서 역 앞까지는 전멸, 그나마 역 근처에는 귀가하는 인원들이 유동인구의 대부분이고, 학생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수준이다.
인천캠퍼스 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주로 이용하는 문화생활 루트는 다음과 같다.

6.1.1. 계산택지지구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에 계양구에 조성된 신도시로서, 전반적인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 인천캠퍼스 학생들이 학교 주변에서 누리지 못하는 기본적인 문화생활과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루트다. 경인교대입구역에서 88번이나 80번 버스를 이용하거나 교대길을 따라 약 30분 정도 걸으면 계산택지지구에 닿는다.

6.1.2. 부평


인천 서북부를 대표하는 도심지로, 지하상가가 특히 유명하 다. 인천캠퍼스 학생들이 인천 안에서 유흥을 제대로 즐길 수 있는 가장 가깝고 확실한 루트. 경인교대입구역에서 인천 지하철 1호선을 이용하거나 30번, 88번, 90번 버스를 이용하는 방법, 인천캠퍼스 정문에서 584-1번 버스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6.1.3. 홍대, 신촌


원래부터 1500번 버스를 타고 갈 수 있었지만, 2010년부터는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완전 개통되면서 더욱 편리해졌다. 경인교대입구역에서 인천 지하철 1호선을 타고 계양역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로 환승하면 순식간에 홍대에 닿는다. 참고로 공항철도 홍대입구역홍대보다는 신촌에 가까이 지어졌으므로 9번 출구로 나오지 말고 6~7번 출구쪽 샛길을 이용하면 순식간에 신촌에도 닿는다.

6.2. 경기 캠퍼스


경기캠퍼스는 위치상 그린벨트 한가운데에 학교가 자리잡고 있다. 캠퍼스 주변은 대부분 산지(관악산의 줄기인 삼성산)로 이루어져 있고, '''학교 경계 주변에 민가고 뭐고 정말 아무 것도 없다!''' 제일 가까운 슈퍼도 10분은 걸어가야 있고 편의점은 30분은 잡아야 한다는 게 불편한 진실. 이런 안습한 환경 때문에 경기캠퍼스 학생들은 학교가 아니라 마치 고속도로 휴게소에 있는 것 같다는 농담을 자주 한다. 주변 경치도 경치지만, 그나마 캠퍼스 내에 하나 있는 학생식당과 분식집의 퀄리티도 휴게소 음식 수준에 수렴한다. 안습 학식은 조금만 늦게 가도 품절 크리.. 분식집인 '참새방앗간'은 맛없음과 불친절에 그리 싸지 않은 가격까지 크리티컬로 터져 학생들의 어그로를 끈다. 2014년 2월에는 기존의 매점 자리에 편의점 CU가 들어오고 참새방앗간이 없어졌다. 2017년 11월 다시 민영화되었다. 담당 기업은 아워홈.
경기캠퍼스의 학식메뉴는 1개... 였지만 인천캠퍼스와 함께 민간 기업이 운영하면서 메뉴 4개(한식, 일품, 면류, 분식)로 늘어났다. 물론 조식과 석식은 1개만 존재한다. 직영화 시절보다는 확실히 맛있는 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질이 더 안 좋아졌다.
옛날 학식은 중·고등학교 시절 먹던 급식보다 못하다는 소문도 있었다.
이런 안습한 환경으로 경기캠퍼스 학생들이 노는 방법도 크게 4가지로 나뉜다.
경수대로에서 삼막로(서울 신림동 방향)로 빠지면 경인교대 경기캠퍼스로 가는 길이다. 삼막로 주변에 카페 3~4개를 포함해, 외식 업소 약 20여개가 있다. 하지만 메뉴가 주로 40대~50대 취향 위주이며, 대학생들이 즐길만한 메뉴는 별로 없다.
학교와 가장 가까운 외부 기관은 안양해솔학교, 정심여자정보산업학교[50], 삼성초등학교 등이 있다.

6.2.1. 관악역이나 안양역, 평촌 일대


안양시 내에서 놀거리를 해결하는 방법. 6-2번, 20번 버스를 타거나 걸어서 관악역이나 안양역, 범계역 주변으로 나간다. 관악역은 경기캠퍼스에서 걸어서 10~20분 정도 거리인데, 역 주변에 주점이나 노래방이 몇 개 있으니 이용하면 좋다. 관악산과 삼성산을 오르는 등산객이나 제2경인고속도로를 타고 놀러오는 데이트족 등을 대상으로 장사하기 때문에 음식점 수는 꽤 많다.[51] 안양역은 인천캠퍼스의 부평 일대처럼 안양 내에서 유흥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루트로 꼽힌다. 안양역 앞에 있는 안양 1번가가 안양뿐만 아니라 수도권 전체에서도 꽤 알려진 번화가 상권이기 때문. 또 2014년부터는 6-2번 버스를 타고 범계평촌 쪽으로 나가 밥을 먹는 학생들이 많아졌다. 평일인데도 점심 먹을 시간대에는 안양역이나 평촌 일대를 오가는 경기캠퍼스 학생들로 버스가 만석이다.

6.2.2. 제2경인고속도로 이용


자가용을 가진 사람 신세를 지는 것도 방법이다. 제2경인고속도로가 코앞이라 서울이나 인천까지 20분 정도밖에 안 걸린다.

6.2.3. 신림동


경기캠퍼스에서 152번 버스를 타고 2호선 신림역 일대로 나간다. 안양시 일대와 함께 경기캠퍼스 학생들이 유흥을 즐길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루트. 소요시간은 평균 30분 정도가 걸린다. 저녁 6시 러시아워에는 152번 버스에 사람이 엄청 많으니, 그 전에 타거나 7시쯤에 타는 것이 좋다.
신림역으로 가기전에 서울대학교 학생들 및 각종 시험 준비자들이 많이 거주하는, 신림동 고시촌(신림2동/9동)을 지난다. 그곳은 한국 최대의원룸/고시원/독서실 밀집지역이다. 때문에 신림2동/9동에서도 경인교대 학교 점퍼(과잠)를 입은 학생들을 가끔 볼 수 있다.
6515번을 타면 고시촌, 관악산 광장 입구, 서울대 정문, 관악구청을 거쳐 서울대입구역으로 갈 수 있다. 서울대입구역 주변도 신림역보다야 못하지만 상당한 번화가이다.

7. 교통



7.1. 인천캠퍼스



7.1.1. 버스



7.1.1.1. 계산로

  • 정문 건너편에 위치한 정류장이다.
'''계산로(북)/계산지구 방면'''
<color=#373a3c> 지선
[1] 사범대학이 아니다. 당시까지의 사범학교는 일제강점기부터 이어온 6년제 사범학교의 형태에 기원하며, 대학교 과정이 아니라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이 통합된 형태였다. 이후 1949년 3년제 중학교 + 3년제 사범학교로 변경되었고, 1962년 2년제 교육대학으로 개편된다.[2] 이전 문서에 80년대 전두환 정부가 교원의 자질향상을 위해 2년제 교육대학으로 승격시키고, 90년대에 4년제로 전환되었다고 기술되어 있었는데, 명백한 오류이다.[3] 정부의 수도권 규제에 따라 서울인천, 경기도는 지역 내에 4년제 대학을 새로 만들 수 없다.[4] 당시 경기도에서는 한국교원대에도 경기캠퍼스 설립을 타진했고, 결국 제2 캠퍼스 설립을 위해 인천교대와 한국교원대가 맞붙는 모양새가 되었다. 당시 인천교대 총장은 경기캠퍼스를 따내기 위해 학교의 운명을 걸고 처절하게 뛰었다고 카더라.[5] 당시 경기도 측에서는 개성사범학교를 유치해 온 인천광역시와 비슷하게 도 소유 토지인 경기캠퍼스 부지를 인천교대 측에 임대하였다. 이로써 경기캠퍼스의 경우 경인교대가 경기도 소유 땅에서 셋방살이를 하는 모양새가 되었으나, 애초 경기캠퍼스의 부지와 건물은 경기도가 제공했으나 국립 경인교대의 운영주체는 경기도가 아닌 국가(교육부)라는 점 때문에 법적인 문제가 생겼다. 결국 7년 만에 정부와 경기도는 2012년에 합의하여 해법을 내놓았다. 즉 경기캠퍼스 부지가 성남시 남한산성 일대와 수원시서울대 농대 캠퍼스의 국유지와 1:1로 교환되면서 완전히 경인교대의 소유가 되었다. 다시 말해 정부(교육부)가 보유해온 수원의 옛 서울농대 캠퍼스 가운데 서울대 법인 소유를 제외한 부지인 4만6천여평과 성남의 남한산성 도립공원 내 국유지 3만2천여평 두 곳을 경기도 소유로 해주고, 대신 경기도는 안양의 경인교대 경기캠퍼스 부지 13만여평이 정부 재산으로 편입되는 것에 합의하였다. 이로써 부지가 법적으로 국가 소유가 아니어서 교육부가 경기캠퍼스에 예산을 투입하지 못했던 문제가 해결되어 본격적으로 경기캠퍼스에 기숙사, 강의실 등의 시설 확충이 가능하게 되었다.[6] 당시 인천의 반발이 굉장히 심했다. 무상으로 시 소유 땅을 공여하면서까지 유치한 학교인데 이제 와서 경기도로 도망가느냐는 불만이 터져나온 것. 결국 타협을 통해 대학본부를 인천캠퍼스에 두어 형식상 인천캠퍼스를 본교로 규정하게 되었다. 그러나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경인교육대학교는 본교분교 시스템이 아니라 인천/경기 양 캠퍼스가 동등한 위치에 있는 쌍둥이 캠퍼스 체제로 운영되는 학교이다.[7] 따라서 경기캠퍼스는 05학번부터 신입생을 받기 시작했다.[8] 그래서 당시 인천캠퍼스와 경기캠퍼스의 학생들은 같은 학과인데도 입학식 때 잠깐을 빼고는 서로 얼굴 한 번 못 보고 졸업하는 경우가 많았다. 사실상 양 캠퍼스가 남남으로 지내온 것. 다만 후술하듯이 ROTC의 존재로 3학년 때 경기에서 인천으로 전학오는 학생들은 존재했다.[9] 경기캠퍼스 개교 당시인 05학번만 하더라도 양 캠퍼스를 합쳐 한 학년의 재학생 수가 1,100명을 넘었지만 캠퍼스 통합 전 마지막 학번인 10학번의 숫자는 800명도 채 되지 않았다.[10] 한 학년 규모가 700명 정도로 일반계 고등학교보다 약간 크고, 들을 수 있는 수업의 폭도 매우 좁다. 그래서인지 경인교대 학생들 중에는 학교를 자조적으로 '경인교육고등학교'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사정은 KAIST나 육· 해 · 공군 사관학교도 마찬가지이다.[11] 경인교대를 비롯한 교대의 등록금은 여전히 한 학기에 150~200만원 선이다.[12] 경인교대 경기캠퍼스에서 관악산 너머 바로 반대편에 서울대가 있다.[13] 당시 서울대가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을 추진하면서 각 단과대학은 생존을 위해 '돈'이 되는 수익사업 아이템을 반드시 찾아야 했다. 이에 따라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은 바로 산너머 옆동네인 경인교대를 주목한 것.[14] 경인교대 역사상 처음으로 경인교대의 커버리지인 인천, 경기 밖에 있는 학교가 실습학교로 선정되었다.[15] 일부 학생들 중에는 "서울대와 통합되면 졸업 시 서울대 졸업장을 받을 수 있지 않겠느냐"며 은근히 기대하는 눈치도 보였다.[16] 경기캠퍼스에 국한된 이야기지만..[17] 역시 인천캠퍼스에 국한된 이야기지만.[18] 중앙정부가 아닌 인천시에서 총장을 임명했다.[19] 경인교대 교육대학원은 학부에 비해 2배의 등록금을 받기 때문에, 대학원의 규모를 키우면 대학의 재정에 그만큼 도움이 된다.[20] 교대는 다른 일반대에 비해 입시의 변화에 둔감한 편이라, 수시 선발인원의 증가폭이 적은 편이기는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인교대에서 수시 선발 인원은 날로 증가하여, 마침내 50%를 넘었다! 입학 문이 좁아진 장수생들은 그저 지못미.[21] 물론 일반적인 4년제 대학교와 평가요소, 과목별 반영비율이 다르기에 동등한 기준은 아니다.[22] 여전히 절반 정도는 정시에서 뽑는다. 일반대는 30~40% 미만.[23] 일반대는 과별 수십 명 내외로 뽑지만, 교대는 '초등교육과'라는 이름으로 통째로 뽑아버린다.[24] 경인교대에는 대체로 인문계열 학생이 70%, 자연계열 학생이 30% 정도 입학한다.[25] 인천캠퍼스, 경기캠퍼스 모두 1년에 평균 30명씩의 학생을 선발했다. 즉 양 캠퍼스를 합치면 한 학과 동기는 총 60명 정도인 셈.[26] 경인교대 학생들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수도권 소재 외국어고등학교 여학생들 사이에서는 지역 내 교대서울교대와 경인교대의 인기가 높다. 당연히 이들은 평균 수능 성적도 우수하기 때문에 학생에 따라서는 인서울 상위권 대학을 합격해 놓고 경인교대에 입학하는 경우도 있긴 하다.[27] 교대 3대 바보 중 하나가 '교대 여학생과 사귀지 못하는 교대 남학생'이라는 말이 있다.[28] 1~10반에 해당하는 윤리, 국어, 사회과, 수학, 과학, 체육, 음악교육과가 앞반, 11~20반에 해당하는 미술, 생활과학, 컴퓨터, 교육, 특수, 유아, 영어교육과가 뒷반[29] 초중고등학교의 반과는 달리 4년 내내 구성원이 바뀌지 않을 뿐[30] 교대의 시스템과 커리큘럼을 모르는 대다수의 학부모들은 다른 일반대와 마찬가지로 재학중인 학과를 글자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선생님은 음악교육과인데, 저희 아이 수학을 가르치실 수 있겠어요?"라고 반문하는 학부모들이 꼭 있다![31] 그러나 수학교육과나 영어교육과의 경우, 자신의 전공과목 과외 경쟁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쉽다는 이점도 있다! 상위 성적 입학생들의 특권인듯...[32] 수시 합격생이 정시 합격생보다 우선권을 갖는다.[33] 졸업연주회 때 자신의 이름으로 해당 악기를 발표해야 하므로 못 배우면 졸업이 불가능하다.[34] 일반대는 수강신청의 폭이 다양하므로 학생들이 자유롭게 시간표를 짤 수 있지만, 교대는 그런 거 없다. 웬만하면 4년 내내 같은 학과 동기들과 함께 수업을 듣는다. 그러나 몇 년 전부터 학생들의 요구로 시간표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고, 이제는 같은 앞/뒷반 안에서 다른 학과 학생들과 수업을 들 수 있다.[35] 1차시분 수업의 진행 계획을 담아 작성한 문서를 말한다. 정식 명칭은 '교수 · 학습 과정안'이라고 한다.[36] 앞구르기와 뒷구르기, 물구나무 같은 기본적인 체조 동작과 '새천년 건강체조' 등 체육 수업에 써먹을 수 있는 간단한 체조들을 배운다.[37] 기본적인 피아노곡 연주하기. 대체로 바이엘 하권에서 체르니 100번 수준.[38] 교과별로 이뤄지는 다양한 형태의 수업들을 패턴화한 것을 말한다. 정식 명칭은 '교수 · 학습 모형'이라고 한다.[39] 대체로 한 학기에 조별로 하나씩의 수업실연을 준비하는 것이 보통이다.[40] 그러나 진짜 경인교대 학생들을 피폐하게 만드는 것은 지도안 작성보다 교과서를 재구성하는 과제라고 카더라.[41] 한 학기 내내 음악실기 Ⅱ만 들을 수도 있다.[42] 대개 학기중에는 진행이 불가능해서 오티만 하고 수업을 안하다가 겨울방학 시작과 동시에 스키장으로 가서 몰아서 한다[43] 원래는 한자능력시험 급수를 획득하는 것으로도 대체가 가능했으나 15학번부터 전교생 졸업요건에 한자능력인증이 포함되면서 국어교육과 논문대체에서는 사라졌다.[44] 정보처리기사는 4년제 대학의 4학년 수료나 해당 기간만큼의 경력을 필요로 한다.[45] 원래는 공인영어능력평가 점수기준(TEPS 650, iBT TOEFL 80, TOEIC 730, TOEIC S&W 270, PELT+ S&W 214, SEPT 5급, NEAT 1급 L&R&S&W 221, NEAT 1급 L&R 121) 충족으로도 대체가 가능했으나 15학번부터 전교생 졸업요건에 영어능력인증이 포함되면서 영어교육과 논문대체에서는 사라졌다.[46] 한 학년에 700명이 채 안 되고 전체 학우를 통틀어도 3천 명 미만이다. 한 학년 학생이 수천 명이 넘고 학부생 규모가 1~2만을 우습게 찍는 일반 종합대와 비교하면 '고등학교'라는 인상을 주기 쉽다. 하지만 이것은 특수목적대학이 갖는 어쩔 수 없는 숙명으로, 사관학교도 한 학년의 규모는 100명을 채 넘지 못한다.[47] 그래도 인천캠퍼스의 관할 지자체인 인천 계양구청은 무슨 배짱인지 캠퍼스 앞 교대길을 무려 '젊음의 거리'로 지정해 놓았다.[48] 학기중에 대학가를 걸어봐도 이 학교가 과연 현재 운영중인 학교가 맞는가 싶을 정도로 인적이 드물다.[49] 1, 2학년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3, 4학년이 임용과 조모임을 필두로 대개 늦은 시간까지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50] 이 학교의 다른 이름은 안양소년원이다.[51] 다만 뜨내기 데이트족이나 등산객들이 이 동네 상권의 주요 타겟이라 가격은 대부분 비싸고 퀄리티도 떨어진다. 사실 안양이라는 지역 자체가 맛집이 드문 편이라..
  • 정문 앞에 위치한 정류장이다.
'''계산로(동)/경인교대입구역 방면'''
<color=#373a3c> 지선

7.1.1.2. 계양대로

  • 대로변 정류장으로, 경인교대입구역 5번 출입구 앞에 있다.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버스 목록 ]

  • 대로변 정류장으로, 경인교대입구역 2번 출입구 앞에 있다.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버스 목록 ]


7.1.2. 철도


'''노선'''
'''역명'''
'''행선지'''
인천1호선
'''경인교대입구'''
'''계양''' · 부평구청 · 부평 · 인천시청 · 인천터미널 · 원인재 · 국제업무지구ㆍ"'송도달빛축제공원'''

7.2. 경기캠퍼스



7.2.1. 버스


  • 정문에 위치한 정류장이다.
'''삼막로(서)/경인교육대후문 방면'''
<color=#373a3c> 마을
  • 후문에 위치한 정류장이다. 서울, 관악역 방향으로 갈 수 있다.
  • 6-2번의 경우 정문 방향과 금정역 방향이 같은 곳에 정차하니 행선판을 확인하고 승차해야 한다.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버스 목록 ]
'''삼막로(남)/안양해솔학교 방면'''
<color=#373a3c> 일반시내
<color=#373a3c> 마을
'''삼막로(북)/벽산아파트5단지 방면'''
<color=#373a3c> 일반시내
<color=#373a3c> 마을
간선
<color=#373a3c> 지선
'''삼막로(동)/경인교육대(정문) 방면'''
<color=#373a3c> 마을


7.2.2. 철도


'''노선'''
'''역명'''
'''행선지'''
1호선
'''관악 [52]'''
'''광운대''' · '''청량리''' · 종로 · 서울역 · 용산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안양 · 수원 · '''서동탄''' · 오산 · 평택 · '''천안''' · 아산 · '''신창'''

8. 기타사항


  • 임용시험에서의 지역 가산점은 인천광역시, 경기도 두 지역에 3점을 받고 있다. 이는 인천, 경기캠퍼스에 학생들이 따로 다니던 시절[53]에도 똑같이 적용되어 인천캠퍼스 학생이 경기도 임용시험에 응시하더라도 지역가산점 3점을 똑같이 받을 수 있었다.
  • 경기캠퍼스의 경우 학교 한가운데에 그랑죠라도 소환할 듯한 커다란 마법진이 지면에 조각되어 있다. 교내에서는 하나의 랜드마크이기 때문에 동아리나 학과에서 모일 일이 있으면 여기서 자주 모인다.
  • MBC SPORTS+김선신 아나운서가 본교 출신이다. 인천캠퍼스 미술교육과 06학번이며, 재학 시절 ' 미술과 김태희'로 캠퍼스 내에 입소문을 탔던 인물. 서울 임용시험을 통과하고 바로 아나운서 입사를 준비해 성공한 케이스이다.[54]
  • 인천캠퍼스의 분수대부터 예지관 가는 길은 양 옆으로 벚꽃나무를 줄줄이 심어놔서 봄이 되면 꽃이 상당히 많이 핀다. 실상 벛꽃시즌에 그곳에서 꽃구경하는 사람은 없다만, 그나마 학교에서 볼만한 경치이다.
  • ROTC도 당연히 존재한다. 재미있는 점은, 과거 인천캠퍼스와 경기캠퍼스가 따로 돌아갈 시기에, 엄연히 두 캠퍼스는 하나의 학교였기 때문에 부대는 인천캠퍼스에만 존재했다. 엄밀히 따지면 인천캠퍼스가 인천교육대학교 시절 유일한 캠퍼스였기 때문에 인천에 만들었고, 경기캠퍼스는 차후에 생겼지만 이미 인천에 부대가 있어서 만들지 않은 것. 따라서 경기캠퍼스 소속 남학생 중 ROTC에 지원하고자 하는 학생은 3학년이 되면서 ROTC가 되는 동시에 인천캠퍼스로 소속을 바꿔주었다. 일종의 전학. 과는 당연히 경기 캠퍼스 소속의 과와 동일한 과로 갔다. 그러다보니 인천에선 3학년만 되면 각 과에 뉴페이스가 항상 등장했었다. 2학년 입장에선 3학년에 갑자기 모르던 선배가 튀어나오는 격. [55]
  • 2019년 3월 21일 체육교육과 15학번 남학생들이 단톡방에서 동기 여학생들 상대로 성희롱과 욕설을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9. 사건사고



9.1. 경인교대 학생 성추행 사건


항목 참조.

[52] 버스로 5~10분 이동[53] 10학번까지. 11학번부터는 양 캠퍼스를 통합해 신입생을 받고 있다.[54] 그래서 김선신 아나운서의 교사 경력은 공식적으로 없다.[55] 실제 편입학도 07학번까지는 존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