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우주공학과
'''항공우주공학과 (Aerospace Engineering)'''
1. 학교 교육과정
학교마다 다르지만 항공우주공학을 공기역학, 구조역학, 추진공학, 제어공학 4가지로 분류하여 기본적으로 배우게 된다. 궁극적으로는 항공기를 다루는 항공시스템과, 우주선을 다루는 우주발사체 이 두 가지에 대해 배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체로 1학년 때는 항공우주공학개론, 일반물리학, 미적분학, 프로그래밍 등을 배운다. 여기까진 그냥 '''맛보기'''다. 그 뒤로 몰려올 과제들과 수업의 난이도에 애도를 표한다(...).
항공우주공학은 기계공학과 겹치는 내용이 많기 때문에[1] 기계공학 학부를 졸업한 사람이 항공우주공학과 대학원에 진학하기도 하고, 교수 중에서도 기계공학 학사 출신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학문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2000년경에는 국내의 많은 대학교가 항공우주공학과를 기계공학과와 합쳐서 기계항공공학부로 통합하고는 하였다.
그러나 3, 4학년만 되어도 색깔이 조금 달라진다. 예를 들어 구조설계나 제어 과목도 미묘하게 다르게 배운다.[2] 애초에 대학원 과정이 되면 이미 완전 다른 학문이다. 때문에 대학교들은 다시 기계공학과와 항공우주공학과를 분리하고 있는 추세이다.
학교수업에서 학생들이 하는 활동 중, 눈에 띄는 결과물은 모델로켓[3] 이나 소형 무인항공기[4] 인 경우이다. 단순히 장난감취급을 받는 RC 항공기가 아니라 제어 법칙에 따라 자동비행을 하는 그런 것들.[5]
국내에서는 줄여서 보통 '항공과'라고 부르는 편이다. 그런데 항공운항학과, 항공서비스과, 항공정비과 등에서도 항공과라는 이름으로 줄여 부르기 때문에 혼동하기 쉽다는 점이 있다.[6]
이전 서술의 경우 MIT의 항공우주공학과는 더이상 구조, 공기, 추진, 제어로 나누지 않고 항공우주, IT,체계공학으로 나눠 가르친다는 부정확한 기술이 되어있었으나, 아직도 4가지 분야의 구분은 '''유효하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2018년 기준으로 메사추세츠 공과대학 항공우주공학과 웹사이트의 커리큘럼을 보게 되면 항공우주공학 전공학생은
- Core Curriculum
- Professional Area and Concentration Subjects
- Capstone Subjects
- 재료 및 구조역학
- 공기 및 유체역학
- 열역학
- 동역학
- 전기신호 및 시스템 회로
- 추진,제어
- 프로그래밍, 통계
우리나라에서도 항공우주공학이 단순한 기계공학의 분파가 아니라 항공기, 시설, 요원, 장비 등을 망라하는 거대한 계라는 것을 인지하여 이를 통합적으로 설계, 관리할 수 있도록 세계적 추세에 따라 기존 4개의 영역에 산업공학, 정보통신공학, 전기전자공학 등의 요소등을 결합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서울 건국대학교에서 MIT를 벤치마킹하여 항공우주공학를 산업공학과 교수진 일부와 정보통신(IT)공학과 교수진 일부를 모아서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라는 이름으로 학과를 개편한 바 있으며 전북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의 경우 교과목 이수체계도 상에 캡스톤 디자인, 산업공학적 요소에 해당하는 창의적공학설계입문, 창의적공학설계와 항공기 시스템설계, 항공기개념설계 등의 교과목을 개설하여 기존 공기, 구조, 추진, 제어의 4개 영역을 기반으로 연구의 폭을 더욱 확장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전화기가 가장 인기가 있다면, 미국에서는 산업공학과, 의공학과와 함께 항공우주공학과가 가장 인기있는 전공이다.
2. 관련 진로
2.1. 기계공학 일자리에 지원
항공과는 국내에 대중적으로 알려진 항공회사가 별로 없어 취업이 힘들다는 오해를 받곤 한다. 물론 비행기나 로켓쪽으로 가기 힘들긴 하지만, 엄연히 기계과 수요도 수요로 잡히기 때문에 결코 취업 자체는 힘들지 않다. 항공기 만드는 회사에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면 대부분 회사에서는 항공우주공학을 기계공학과와 같은 전공으로 취급한다. 기계공학과는 전화기 중 하나로서 취업이 잘 되는 학과이므로, 항공과가 기계과로 취급받는다는 것은 취업에 유리해진다는 뜻이다.
특히, 공기나 바람과 관련된 분야를 가진 기업에서는 기계공학과 출신보다도 항공우주공학과 출신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ex.터빈설계, 자동차 형상디자인 등) 또한 건설회사에서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초고층 빌딩을 설계할 때 항공우주공학 전공자를 선호한다. 그외 방산업체나 국방관련기관(국방기술품질원 등)에 입사하는 경우도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수많은 기술은 이미 항공기에서는 상용화가 잘 되어 있으며 항공공학과 교수가 자율주행 자동차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경우도 매우 많다. 따라서 자율주행 자동차 업계에서도 항공공학자가 갈 곳이 적지는 않다. 다만 실물 모델이 항공기가 아닌 자동차로 바뀐 것뿐이라 생각해도 된다.
자세한 업무에 대해선 기계공학과 문서 참고.
2.2. 항공우주 관련 기업에 지원
경상남도 진주·사천 항공우주국가산업단지 내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나 대한항공 등의 완제품 항공기 제작사나 협력업체 및 계열사에 항공우주공학자로 근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석사 이상의 학력이라면 KARI나 국방 한정으로 국방과학연구소에도 취업가능하다. 또 미사일 같은 고속비행체를 개발, 제작하는 한화나 LIG넥스원도 항공우주공학 전공자를 뽑는다.
해외취업을 할 경우에는 신원조사 정도는 받을 각오를 해야 한다. 어느 나라나 항공우주기술 분야는 군사력이나 국가안보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국인을 선발할 때 민감한 기술이나 기밀의 누설을 막기 위하여 철저한 신원조사를 거치는 경우가 많다. 가령 미국의 항공우주기업이나 관련 기관에서 러시아인을 뽑는 등의 민감한 경우는 반드시 신원조사가 이뤄진다.
미국의 경우 시민권을 취득한다면 보잉이나 록히드 마틴(의 방위산업 부문)에 취업하는 것도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 표면적으로는 이민자를 차별하지 않는 미국의 정책상 미국 국적을 취득하여 미국인이 되고 기밀취급인가 보안 조사를 통과하고 나면 더 이상의 차별은 없다. 하지만 영주권 정도로는 상위 등급의 기밀취급인가 보안 승인이 나올 수가 없다.
NASA에서 일하는 한국인 과학자도 있으나, NASA의 주요 항공 연구시설은 미합중국 공군과 함께 쓰거나 아예 공군기지에 세들어 살고 있다. 그리고 미 국방부 못지 않게 NASA도 보잉이나 록히드 마틴 같은 방산기업들의 주요 고객이다. NASA는 화성 탐사선과 로버를 오비털 ATK에 발주 ULA사 로켓으로쏜다. 이런 천문학/우주탐사 분야도 결국은 미국 납세자의 세금으로 만든 미국 ICBM의 개량판으로, 미국의 첩보위성 기술력을 응용한 물건을 쏘아보내는 사업이라 외국인이 일을 하려고 하면 상당한 신원조사가 들어온다.
2.2.1. 항공정비사
항공우주공학을 공부한 자는 항공정비사로 근무할 수 있다. 하지만 항공우주공학과 교육과정은 설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효율적이지 않다. 계열이 다른 만큼 정비사가 되고자 하는 이들은 항공정비과로 가는 편이 좋다.[8]
3. 개설대학
※유의사항
4년제 정규 공과대학이나 공학인증 운영학과만 기록바랍니다.
3.1. 국립대학
- 경상국립대학교 항공우주 및 소프트웨어공학부
- 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 순천대학교 기계우주항공공학부 우주항공공학전공
-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 전북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 충남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3.2. 과학기술원
3.3. 사립대학
-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9]
- 세종대학교 기계항공우주공학부 항공우주공학과
- 울산대학교 기계공학부 항공우주공학
- 인하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 청주대학교 항공학부 항공기계공학
-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 한서대학교 항공기계정비학과
- 창신대학교 항공기계공학과
- 극동대학교 항공정비학과[10]
4. 관련 문서
[1] 대표적으로 미적분학, 공업수학, 일반물리학, 동역학, 정역학, 유체역학, 재료역학, 제어공학, 수치해석학, 진동학, 열전달 등의 많은 과목이 겹친다. 다만 항공우주공학과는 여기에 추가적으로 공기역학, 항공역학, 우주역학 등을 더 배우게 된다.[2] 물론 응용이 항공 쪽이라는 것일 뿐이지 이론 자체는 다르지 않다.[3] 작은 모터를 동력삼아 날리는 소형 로켓.[4] UAV, 혹은 초소형 무인기 MAV(Micro Aero Vehicle)[5] 다만 제대로 이런 것들을 만들 수 있는 사람들은 학부에서는 소수에 불과하다. 학부 2-3학년들이 주로 출전하는 전국 대학생 자작모형항공기 대회 출품작들을 보면 RC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6] 때문에 남자의 경우, 항공과라고 했을때 객실 승무원(스튜어디스)을 지망하는 여학생이 많은 항공서비스과를 기대했으나, 사실 남학생이 많은 항공우주공학과인 경우일 수도 있으니 확인을 잘하자. 물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7] 쉽게 말해, 옛날에는 기존 4개 영역만 다뤘다면 지금은 4개 영역을 기본으로 깔고 플러스 알파를 하는 것이다. [8] 항공정비학을 전공한 4년제나 2년제 학생은 항공우주공학자(엔지니어)로의 근무는 불가하다.[9] 2020년부터 기계공학과와 통합되었다. 두 과의 학생들이 모두 반대했지만 학교의 강행으로 통합되었고, 떄문에 2020학년도 신입생은 기계항공공학부로 입학하게 된다.[10] 항공정비뿐 아니라 기계 공학적인 부분(설계)도 동시에 다룬다. 다만 일반적인 기계공학보단 덜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