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임호고등학교

 



[image]
'''김해임호고등학교'''
'''교훈'''
사랑과 용기
'''개교'''
2012년 3월 5일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분성로3번길 77 (외동)
'''교목'''
은행나무
'''교화'''
철쭉
'''상징동물'''
호랑이
'''성별'''
남고
'''학교 홈페이지'''
1. 개요
2. 연혁
3. 학교 상징
3.1. 교훈
3.2. 교표
4. 학교 생활
4.1. 일과 운영표
4.1.1. 평일
4.1.2. 토요일
5. 학교 시설
5.2. 운동장
5.3. 솔바람카페
5.4. 도서관
5.5. 별빛학당
6. 기타
7. 출신 인물
8. 연계 교통


1. 개요


경상남도 김해시 외동에 위치한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로 2012년도에 새로 신설된 신설 학교다. 근처로 임호초등학교와 임호중학교가 있다.

2. 연혁


2009. 07. 03.
김해임호고등학교 24학급 인가
2010. 09. 27.
김해임호고등학교 착공
2012. 02. 07.
김해임호고등학교 준공
2012. 03. 05.
입학식 (10학급 357명)
2013. 03. 04.
입학식 (8학급 입학생 301명)
2014. 03. 03.
입학식(6학급 입학생 190명)
2014. 09. 01.
2대 박철준 교장 취임
2015. 03. 02.
입학식 (5학급 입학생 162명)
2016. 02. 17.
제2회 졸업식(272 명)
2016. 03. 02.
제5회 입학식(7학급 입학생 244명)

3. 학교 상징



3.1. 교훈


'''사랑과 용기'''

김해임호고등학교 가족 모두를 '''사랑'''하며 사회에 봉사하고, '''용기'''있는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 학생으로서의 성장을 추구함.

3.2. 교표


교명 '''임호(林虎)'''에서 숲과 호랑이를 상징화한 그림으로 무한한 가능성과 용맹을 지닌 인간으로 성장하자는 의미다. 원래는 림호(林虎)가 되어야하는데 두음법칙에 따라 발음하게 편하게 임호로 지정되었다.

4. 학교 생활


김해시의 일반계 고등학교 중에서 김해고등학교, 김해가야고등학교, 김해분성고등학교와 더불어 남고이다.
2019년 기준 등교시간은 전학년 8시 30분이다.[1]등교시간을 넘어서 교문을 통과하게 되면 선도부에 걸리게 됨. 하교는 야자를 하지 않는 경우 5시30분[2], 야자를 하는 경우라면 1,2학년은 21시, 3학년은 22시에 야자가 끝나므로 이때 하교가 가능하다.
2018년부터 주 52시간 초과근무 금지 법안에 의거하여 매주 수요일은 석식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요일은 전학년이 7교시 보충수업을 마치고 하교한다.[3]''' 수요일 야자는 희망자에 한해 실시한다. 야자를 하는 경우 석식은 밖에서 먹고 와야 한다.
3학년에 한해 토요자습을 실시한다. 다만 토요일도 주 52시간 초과근무 금지 법안으로 인해 점심은 학교에서 제공되지 않고 오전자습만 하고 하교한다.[4] 오후자습 희망자에 한해서 중식은 밖에서 먹고 와야 한다.

4.1. 일과 운영표



4.1.1. 평일


1교시
'''8:40~9:30'''
50분
2교시
'''9:40~10:30'''
50분
3교시
'''10:40~11:30'''
50분
4교시
'''11:40~12:30'''
50분
점심시간
12:30~13:30
1시간
5교시
'''13:30~14:20'''
50분
6교시
'''14:30~15:20'''
50분
청소시간
15:20~15:40
20분
7교시
'''15:40~16:30'''
50분
8교시
'''16:40~17:30'''
50분
석식시간
17:30~18:30
1시간
야자 1교시
'''18:30~19:40'''
70분(수요일 제외)
야자 2교시
'''19:50~21:00'''
70분(수요일 제외)
야자 3교시
'''21:10~22:00'''
50분(3학년에 한함)

4.1.2. 토요일


1교시
09:00~10:30
90분
2교시
10:50~12:20
90분
점심시간
12:20~13:40
80분
3교시
13:40~15:10
90분(희망자에 한함)
4교시
15:30~17:00
90분(희망자에 한함)

5. 학교 시설


5층
음악실, 동아리실, 다목적실
4층
3학년 1~7반 교실, 3학년 별빛학당
3층
2학년 1~7반 교실, 미술실, 도서실, 위클래스, 별빛학당, 북카페
2층
1학년 1~7반 교실, 교무실, 시청각실, 컴퓨터실, 솔바람카페, 강당
1층
교장실, 관리실, 행정실, 진로상담실, 영어교과교실, 급식소
지하 1층
주차장
2018학년도 기준이다.

5.1. 강당


주로 체육수업이나 학교 행사에 쓰이며, 점심시간이나 저녁시간에 농구, 배드민턴, 탁구 등의 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5.2. 운동장


2010년대에 신설된 학교답게 인조잔디를 시공한 운동장이다.
다만, 2016년에 운동장 트랙 우레탄 부분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유해물질이 검출되어 트랙을 갈아엎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5.3. 솔바람카페


2층에 있는 테라스를 가리키며, 빵자판기, 음료자판기, 동전 교환기, 1000원권 지폐 교환기가 있다.

5.4. 도서관


3층에 있으며, 1인당 2권 이내의 책을 1주일간 대여가 가능하다. 도서부원은 1인당 4권 이내의 책을 1주일간 대여 가능하다.

5.5. 별빛학당


도서관 옆에는 '''별빛학당'''이라 불리는 정독실이 있는데, 각 학년 성적상위 20명부터 우선적으로 희망하는 학생에 한해 6시 40분부터 10시까지 이곳에서 자율학습을 실시하고 있다. 별빛학당에 소속되어 있는 학생들은 대학 탐방 같은 각종 학교 행사 참여에 우선권이 부여된다.
2018학년도부터 3학년 별빛학당은 3학년 교실이 있는 4층 맨 끝으로 이전되었다.
2019년 부터 3학년은 '별빛학당 입당 신청서' 를 제출한 뒤 통과해야 정독실에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성적에 따라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것이 전통.


6. 기타


각 학년별로 복도에는 컴퓨터가 있는데, 2015년까지 2층,3층에는 3대, 4층에는 5대가 있었다. 특히 3학년 교실에서는 야자시간에 나와서 인강을 듣는 학생이 많았다.
'''바로 옆'''에 김해제일고등학교가 있으며 설립 년도가 1년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5] 이는 외동에 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 학교를 여럿 신설하면서 제일고와 임호고가 1년 시간차를 두고 준공되었기 때문이다.

7.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8. 연계 교통


김해제일고등학교와 더불어 택시나 자가용을 제외하면 '''학교 바로 앞쪽을 경유하는 버스 노선은 하나도 없다.''' 경운산 바로 아래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걸어서 올라가기도 어느 정도 힘이 드는 거리이기도 하고, 버스를 타도 마찬가지로 정류장에서 내려서 한참을 걸어올라가야 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학부모님들이 자가용을 이용하여 교문 앞까지 학생들을 바래다주는 경우가 많다.
21번, 21-1번, 30번, 31번, 97번, 98번 등을 이용하여 한신아파트 정류장에서 하차하거나, 5-1번, 7번, 8번, 58번, 59번, 127번을 이용하여 외동사거리 또는 외동축협, 내외문화의집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10분 정도 산쪽으로 올라가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지만 연계 교통편이 그럭저럭 잘 되어 있는 편이다.

[1] 2017년 11월 24일까지는 3학년 7시 40분, 1,2학년 7시 50분이었지만 아침자습이 폐지되면서(!!) 등교시간이 늦추어졌다. 등교시간이 늦어지면 지각율도 낮아지고, 교과시간에 학생들이 적게 잘 것이라고 기대했던 교사진의 기대와 달리 지각률은 유지한 채 학생들의 수면시간만 30분 늘어나는 결과가 나타났다...[2] 8교시 보충수업이 끝나는 시간이다.[3] 야자를 실시하면 야자감독 교사 또한 학교에 남아서 추가근무를 해야하는데 초과근무에 걸리기 때문..[4] 이전까지는 얄짤없이 17시까지 오후자습을 강행하였으나 시간이 갈수록 도중이탈자가 많이 늘어나서 폐지하였다는 말도 있다.[5] 제일고 2011년, 임호고 201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