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127
1. 노선 정보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0km다.[2] 모든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1997년에 개통하였으며 현 노선과 다르게 구포역에서 회차하는 형태였으나 2000년에 지금과 같은 회차방식으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노선변경없이 잘 다니고 있다.
3.1. 과거의 127번 노선
- 1기 노선은 시민여객에서 운행한 27번의 지선형태 노선으로 대연6동(태평양아파트) ~ 충무동 순으로 운행했다가 1987년에 폐선되었다.
- 2기 노선은 1995년에 대진여객에서 월내 - 반송 - 서면 좌석노선을 127번이라는 이름으로 개통하였으나 긴 배차간격과 공기수송으로 같은 해에 폐선되었다.
4. 특징
- 일반버스 4대, 저상버스 7대로 운행한다.
- 성원여객이 2015년 6월에 차고지를 삼계동으로 이전했지만 삼계동 - 구산동은 공차회송 구간으로 승객을 받지 않는다. 김해시와의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4] 따라서 부산행 차량도 차고지에서 공차로 와서 금진여객이 위치한 구산동에서부터 승객을 받고 차고지행 차량도 구산동에서 모든 승객을 내리게 하고 차고지까지 공차로 간다.
- 김해시에서 출발하는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연지공원쪽으로 방향을 틀어서 내외신도시를 경유한다. 게다가 128-1번과 마찬가지로 덕천교차로 방향으로는 대저안동네로 가지 않고 낙동북로로 바로 이어주기에 대저역, 구명역과의 환승이 편리하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에는 상당한 수요를 자랑한다. 하지만 이 노선에 대한 수요는 주로 내외신도시 구간에서 나오는데다 김해시청 이후로는 다른 부산광역시 소속 노선들이 많기 때문에 128-1번만큼 승객이 북적대는 편은 아니다. 그래도 수요에 비하면 15분이라는 배차간격이 시원찮은 것은 사실.[5]
- 128-1번과 마찬가지로 지내동삼거리~구포역 코스는 100% 동일하지만 이 노선은 128-1번에 비해 배차간격이 긴 편인지라[6] 한 대를 눈앞에서 바로 놓치면 한참을 기다려야 한다(..) 127번도 128-1번과 마찬가지로 김해시의 부산김해경전철 이용 승객을 늘리기 위한 버스노선 개편 당시 폐선 대상에 포함되어 있었고 당연히 이와 같은 요구는 내외신도시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폐선은 무산되었다.[7] 그러나 127번은 실제로 폐선될 가능성도 있었던 것이 128-1번과는 다르게 경전철과 겹치는 구간이 상당히 많았기 때문이다.[8] 하지만 유일하게 내외동을 경유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노선이 유지된 덕분에, 경전철은 엄청난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반면 127번은 약간의 수요 감소만 있었을 뿐 여전히 건재하다. 대당 운송수입금은 약 40만원 초반대에 머무르고 있으므로, 김해 경유 부산 시내버스 노선들 중에서는 128-1번 다음으로 많은 수준이며 자사노선 123번보다 더 많은 실정이다.
- 내외동 거주 부산과학기술대학교 학생이 주로 이 노선을 이용한다.[9] 부산과학기술대학교에서 내외동으로 갈 때는 160번(덕천교차로/구포시장에서 환승)이나 46번(구명역에서 환승)을 이용하면 편리하다. 169-1번은 구명역에 내린 다음 길을 건너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10]
- 율하신도시 거주민들이 구포, 덕천으로 갈 때 주로 이용하는 노선이기도 한다.[11]
4.1. 노선
5. 연계 철도역
- [image]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덕천역, 구명역[A]
- [image]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덕천역, 구포역[B] , 강서구청역[B] , 체육공원역[A] , 대저역[A]
- [image] 부산김해경전철: 대저역[A] , 평강역, 대사역, 불암역, 지내역, 김해대학역, 인제대역, 부원역, 봉황역, 연지공원역[12]
- 일반 철도역: 구포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1] 토요일, 공휴일 10대 운행[2] 삼계동 성원여객 차고지까지의 공차회송거리를 합치면 약 47.8km 정도이다[3] 126번은 3대만 운행해서 의미가 별로 없으며 123번의 경우에는 운행대수는 가장 많으나 노선 길이가 무려 72km나 되어 배차간격이 이 노선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수준인데다가 운송수입금 또한 이 노선 보다 더 적은 수치인 30만원 초중반대에 머무르고 있고 자사 노선 중 꼴찌인 1009번도 2대만 운행해서 큰 의미가 없지만 초승 수요가 많은지 승객 수에 비해 운송수입금이 2018년 11월 기준으로 29만원대로 꽤 높은편이다. (하루에 3,000명이나 타지만 환승 수요가 많은 1011번의 운송수입금이 이 정도다.)[4] 김해시 시내버스의 비교적 긴 배차간격으로 인해 북부신도시(화정, 삼계) 주민들의 민원이 굉장히 많이 들어오고 있으나 김해시 측에서는 이 구간이 허용될 경우 수요가 분담되어 재정적 손실이 난다는 이유로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앞으로도 승하차가 가능하긴 힘들어 보인다.[5] 128-1번에 비해서 배차간격이 약 2배 가량 벌어진다. 말이 15분이지 출퇴근시간대에 정체가 발생하면 20~40분씩 기다려야 할 때가 많다.[6] 지내동삼거리부터 체육공원역까지는 128-1번이 붙어올 경우 2대 중에서 1대는 통과하는 경우도 있다. 첫 단락에 서술되어있듯이 128-1번에 비해 127번이 빈 좌석이 약간 더 많다.[7] 덤으로 이 노선과 128-1번의 폐선을 요구하는 어이없는 공문을 부산시와 금진여객 측에 보냈으나 당연히 거센 반발을 맺고 가루가 되도록 까인 뒤에 무산되었다. 심지어는 금진여객측에서 김해시청에 직접 찾아가 항의하였다.[8] 김해여객터미널 - 대저역까지는 거의 경전철과 노선이 중복된다.[9] 구명역 정류장에 내려서 169-1번을 타면 된다. 평면 환승이 가능[10] 여기서 유념할 것은 46번이 169-1번이 2~3대 지나야 겨우 1대 온다.[11] 율하에서 김해 3-1번 탑승 후 동아그린앞 정류소에 내려서 이 노선으로 환승하면 된다. 단, 이 노선은 외동축협과 한국1차아파트 정류장부터 승객들이 본격적으로 타기 시작하므로 출퇴근 시간대에는 착석이 불가능하다. 굳이 착석해서 가고싶으면 3-1번 보다는 58, 59번 탑승 후 김해생명과학고 정류소에 내려서 건너편 정류소에서 이 노선으로 환승하면 된다.[A] A B C D 덕천교차로 방향만 정차한다.[B] A B 김해(구산동) 방향만 정차한다.[12] 현대병원 정류장에서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