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일론

 



1. 섬유
1.1. 개요
1.2. 상세
1.3. 장단점
1.4. 여담
2. 패션잡지


1. 섬유



1.1. 개요


nylon. 나일론은 폴리아마이드 계열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을 통칭한다. 흔히 볼 수 있는 고분자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다. 하버드 대학 교수 출신으로 듀폰에 스카우트된 화학자 월리스 흄 캐러더스(Wallace Hume Carothers, 1896~1937)가 1935년에 최초로 만들었다. 국내 초창기 도입 당시에는 일본식 발음인 '나이롱' 또는 '나일롱'으로 많이 불렀으며, 지금도 종종 이 이름으로 (주로 좋지 않은 의미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 요즘에는 배낭처럼 튼튼하고 질긴 제품에 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1.2. 상세


나일론은 열가소성의 비단 비슷한 질감을 가진 소재다. 구조적으로는 중합체가 아미드 결합으로 여러개 연결된 것이다.[1] 나일론은 최초로 상업적 성공을 거둔 합성 고분자로서, 합성섬유의 대명사가 되었다.
최초 생산은 1935년이었으나 본격적으로 보급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시기로, 이때 군용 소재로 도입이 시작되었다.[2] 우선은 낙하산이나 방탄복에 쓰이던 비단을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는데, 이것이 성공적이어서 원래 목적이었던 천 뿐만 아니라 타이어나 로프, 기타 군용 장비에도 사용되었다.
여담으로 개발자인 월리스 캐러더스는 개발 당시엔 별로 쓸모를 인정받지 못했고 가정적인 일까지 겹쳐 우울증에 시달리다가 나일론의 양산을 보지 못한 채 1937년청산가리를 먹고 자살했다. 이후 그의 유족들이 나일론 특허권을 일부 인정받아 돈을 받긴 했지만. 2차대전 이후 듀폰 사에서 나일론으로 크게 자축할 때 그의 동료들은 '정작 축하받을 이가 없는 자축연'이라며 한탄했다고 한다.
초창기 나일론의 용도로서 가장 유명했던 것은 여자들의 스타킹. 1939년에 나일론으로 스타킹이 만들어지자 이것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무려 3900만족이 팔릴 정도로 어마어마한 성공을 거뒀다. 대박 난 스타킹. 때문에 역으로 현재 그쪽 계열에서 '나일론'이란 단어는 스타킹 페티시 장르를 뜻하는 은어로도 통용되고 있다...
현대에는 큰 강도가 필요하지 않은 나사톱니바퀴, 다른 기계 부품에도 사용된다. 단, 여기에 사용되는 나일론은 MC(Mono Cast) 나일론으로, 의류에 사용되는 나일론과는 약간 다르다. 기계적 강도가 다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보다 뛰어나고 내마모성, 자기윤활성[3], 내약품성이 있다. 케블라나 자일론(Zylon) 같은 섬유제품들과 함께 이런 부품과 걸쇠, 칼집 등에 많이 쓰인다. 택티컬 나이프의 칼집은 대부분 이런 재질인데 내마모성과 자기윤활성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만 이런 좋아보이는 물성들도 결국 플라스틱이라 고분자 합성물들 공통의 약점인 자외선에 계속 노출되면 강도가 저하하고 깨지기 쉬워지는 문제는 피할 수 없다.
나일론 섬유는 중합된 원자의 결합상태에 따라서 "나일론 6,6", 나일론 6, 나일론 12, "나일론 6,10" 등으로 구분된다. 나일론 6,6 타입이 먼저 개발되었고 가장 흔한 종류이기 때문에 나일론이라고 하면 나일론 6,6 타입을 말한다. 나일론 6 타입은 기계 부품류에 사용되는 종류다.[4]

1.3. 장단점


나일론은 질긴 데다가 내유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합성섬유다 보니 일부 사람들에겐 싸구려 취급을 받기도 하지만 천연섬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그리고 제조하기에 따라 특유의 광택도 제법 괜찮게 나오는 편이다.
하지만 통풍력이 떨어지고, 기름때 같은 오염과 변색에 취약하다는 것이 단점이다. 직사광선 노출 뿐만 아니라 세탁시 충분히 헹구어도 변색될 수 있다. 40도 이상 고온 세탁도 변색될 수 있으니 자제해야 한다.[5] 때문에 충분히 헹굼하고 통풍이 잘되는 그늘진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나일론 자체는 방수가 되지 않는다. 다만 다른 섬유들과 마찬가지로 다른 종류의 섬유를 혼방하거나 코팅을 할 시 방수가 되도록 만들 수도 있다.
또한 나일론은 화재에는 불이 적게 번지지만 피부에 취약하며 3도 화상을 입어 피부가 손상될 수도 있다. 위기탈출 넘버원 39회(2006년 4월 29일 방송분)에서 방송한 적이 있었다.

1.4. 여담


코오롱그룹의 그룹 명은 모 기업인 한국 나일론('''KO'''rea ny'''LON''')을 조합해서 만들었다.
많은 종류의 나일론이 불에 타면서 유해 물질을 내뿜는데, 여기에는 대개 사이안화수소(청산가리의 독 성분)가 들어있다. 또한 다른 유해 물질들도 섞여 있으니, 함부로 태우지 말자.
나일론이 여성들 스타킹용으로 큰 인기를 끌었으나, 2차대전 당시 군용으로도 나일론 수요가 어마어마했기에 스타킹 생산이 줄어들어 공급이 어려워지자, 스타킹을 애용하던 여성들이 맨살을 드러내는 것에 부담을 느껴서 다리에 털을 면도하거나 제모를 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나일론과 여성제모, 제모의 역사. 거기에 한술 더 떠서 다리에 스타킹 한 듯 페인트 칠을 하기도 했다고. 2차 대전중 다리에 페인트칠을 한 여성들.
나일론을 개발한 듀퐁이 나일론과 경쟁할 유일한 경쟁자인 천연섬유 삼베(대마섬유)를 없앨 목적으로 대마초를 마약으로 만들었다는 음모론이 있는데, 초기부터 수요에 비해 공급이 달릴 정도로 어머어마한 인기를 끌었던 나일론의 인기를 생각한다면 터무니 없는 음모론일듯.
스타킹으로서의 용도가 워낙 압도적이라서 그런지, 해외권에서는 포르노 사이트에서 아예 (페티시 속성으로서의) 스타킹을 뜻하는 은어로 자리잡았다. 스타킹 페티시를 위한 자료를 찾는다면 pantyhose 외에 이 단어로도 검색보는 걸 권장.
나일론이 패션계에서 쓰이기 시작한건 1984년 프라다가 나일론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라고 볼 수 있다. 유명 명품 브랜드가 희귀하고 고급스러운 소재가 아니라 나일론을 쓴다니 뭔가 모양빠지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좋은 디자인을 가지고도 실용성이 뛰어나서 인기도 상당히 높다. 자세한건 프라다 문서 참조.

2. 패션잡지


(주)서울문화사에서 발행하는 패션 잡지이다. NYLON이라는 이름은 NEWYORK과 LONDON의 합성어라고 하며 이 잡지의 구독자를 나일로니아라고 칭한다.

[1] 이렇게 형성된 물질은, 여러개(폴리)의 아미드로 이루어졌다고 해서 폴리아미드라 불린다. 케블라나 노멕스, 트로가미드 등도 폴리아미드에 속한다.[2] 때문인지 현재 예비군용 방탄모도 나일론으로 만든 물건이 많은 편이다.[3] 윤활유를 따로 바르지 않아도 미끄러운 성질.[4] 나일론 6 타입만이 기계 부품류에 사용된다고 할 수 없다. 실제로 자동차 부품류에는 나일론 6보다 나일론 6,6가 더 많이 쓰이며 주로 나일론에 Glass Fiber(유리 섬유)를 첨가하여 생산한 제품들을 많이 사용한다.[5] 이는 같은 합성섬유지만 이염과 변색에 강한 폴리에스테르와 구분되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