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희곡)
1. 개요
1946년, 조선연극동맹[1] 과 서울신문사가 공동으로 개최한 ‘3·1절 기념연극제’에서 공연했던 3.1운동을 역사 왜곡한 공산당 선전물로 의심되는 연극이다. 박영호[2] 극작, 박춘명[3] 연출, 극단 혁명극장 공연. 3막 4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제극장(현 명동예술극장)에서 공연되었다. 임선규가 극본을 썼고, 심영, 황철, 문예봉이 출연했다. 그러니까, '''3·1절 기념연극'''의 작가, 연출, 배우가 '''전부 친일파, 친일반민족행위자 출신 공산주의자'''다.
야인시대에서는 사회주의를 찬양하는 선전 연극처럼 묘사되지만[4] 이는 김두한이 인터뷰에서 한 발언을 바탕으로 창작된 것으로, 당시의 자료를 보면 실제로는 3.1 운동 당시의 학생들을 소재로 한 연극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창작자들의 과거 친일 행적을 봤을때 진정성이 있는지는 의심되며, 창작자들의 성향으로 보아 공산주의적 색채가 농후했을 가능성이 높으나, 1946년 당시까지의 사회에서는 용인 가능한 수준으로 보이며,[5] 적어도 드라마에서 나오는 것 같이 대놓고 하는 선전성 연극은 아니었던 것. 그러나 김두한이 지적한 것처럼 그 '늬우스'가 포함돼 있기 때문에[6] 공산주의자 척살에 열을 올리던 그에게 공연 자체가 눈에 거슬릴 수밖에 없었다. 애초에 야인시대 내에서는 연극은 나오지 않고 '늬우스'만 하다가 중간에 김두한의 난입으로 중단되었다.
즉, 3.1 운동이란 범민족적 반외세 운동을 다룬 연극에 친일 행적이 있던 공산당들이 교묘하게 자신들의 체제선전 늬우스를 섞어팔아 역사왜곡을 시도하려 했으니, 김두한은 물론 그가 소속되었다고 주장한 백의사의 간부들 같은 반공주의자에겐 크나큰 분노로 다가왔을 것이다.
2. 야인시대에서
드라마 야인시대에서는 중앙극장 습격 사건 편의 배경이 된다. 좌익 성향의 배우 심영이 중앙극장에서 이 극을 홍보하던 중 필름은 김두한 일행에 의해 파괴되고[8] , 심영 본인은 김두한의 테러로 인해 총상을 입게 된다. 그리고 병원까지 쫓아 온 김두한에게 죽을 위기에 처했으나 겨우 목숨을 건지고 이후 월북하였다. 실제로 있었던 사건과는 많이 다르다(상세한 내용은 심영(야인시대) 문서 참조).심영: 여러분, 《님》이 무엇입니까? 언제나 그리운 이름입니다. 우리들의 가슴입니다. 우리가 사모하고 눈물 흘리며 오랜 세월을 목말라해온 이름입니다.
'''《님》은 바로 사회주의 낙원을 말하는 것입니다, 여러분!''' (박수갈채)
오랫동안 기다리셨습니다. 이제 곧 늬우스를 상영하겠습니다.
기대해 주십시오. 오늘 여러분들은 그토록 고대하시던 여러분들의 《님》을 확실하게 만나고! 확인하시게 될 것입니다, 여러부우우운!
('''김두한: 개소리 집어쳐! 무슨 님을 만난다는거야!'''
그리고, 무슨 늬우스? 공산당을 선전하는 늬우스 말인가? 거짓으로 학생과 시민들을 우롱하고 속여온 너희들을, 오늘 단죄하러 왔다. '''나 김두한이다!''')
과 김두한의 습격.
그리고 님이 영화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뉴스를 상영하겠습니다는 공산당 뉴스를 상영하고, 연극을 시작하는 거다.
그 공산당 뉴스 필름을 신영균, 아구가 영사실을 폭발시켜서 필름 그 자체를 조진다.
여담으로 중앙극장 습격 이후 중앙극장 안에서 정진영이 전위대원들에게 김두한을 찾으라고 지시하는 장면에서 님의 포스터에 적힌 '''심영의 위대한 공산당 건설을 위한 야심작! 《님》'''부분이 조잡하게 쓰여 있다...아마도 테러사건 이후 소란스러워진 중앙극장을 묘사하고자 드라마 소품들을 아무렇게나 배치해놓고 나서 우연히 정식 포스터를 만들기 전에 휘갈겨놓은 소품이 딱 카메라 샷에 잡힌 듯하다.
그리고 김일성 동지 만세도 적혀 있다.
[image]
[1] 해방 후 설립된 '''좌익계열''' 연극단체.[2] 박영호는 친일반민족행위 704인 명단에 선정된 친일반민족행위자이며 해방 후에는 좌익 활동을 하였고 월북하였다.[3] 마찬가지로 친일반민족행위자이며 해방 후 좌익 활동을 하였고 월북했다.[4] 다만 포스터에 학생들이 나오고 배경 막에 탑골공원이 그려져있는 등 언급되지 않았을 뿐 고증은 제대로 되어있다.[5] 독립 직후였던 해당시기는 미군정이긴 했지만 반공 분위기는 현대보다도 적을 정도로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었다. 미 군정 자체가 정치에는 한없이 무능하기도 했기에 어디까지 손대야 할지를 몰랐으며 나름 자유, 민주주의의 선봉인 미국이 대놓고 사상을 탄압하기는 좀 거시기 했다. 소련이 동맹국이기도 했고… 지금이야 북한과 공산주의의 문제점이 드러났지만 그시기에는 나름 매력있어 보이는 사상이기도 했기 때문에 서민층에선 딱히 적대할 이유도 없었다. 매카시즘과 남한의 반공분위기는 한국전쟁부터 판치기 시작했다.[6] 본편 시작에 앞서 뉴스 따위를 틀어주는 것은 옛날 영화관에서도 행해졌다.[7] 흔히들 연설이라고 칭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웅변에 가깝다. 웅변은 특수한 연설의 예인데, 역동적이되 표정, 시선, 어조가 대화처럼 자연스러워야 한다.[8] 참고로 이폭팔장면은 심영물을 비롯한 여러 합성물에서 폭팔엔딩 및 그외 장면에서 많이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