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세가
1. 개요
檀君世家. 조선 후기의 문신 허목이 1667년 편찬한 역사책. 단군조선과 단군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2. 내용
허목은 1667년 자신의 문집인 《기언(記言)》에 기전체 역사서인 동사를 저술해 수록하였는데, 이 책에서 허목은 단군(檀君), 기자(箕子), 위만(衛滿), 신라, 고구려, 백제의 여섯 나라를 세가로 서술하고, 열전에는 부여, 숙신씨(肅愼氏), 삼한, 가락(駕洛), 대가야, 예맥, 말갈, 모라(毛羅) 등 10국을 서술했으며, 흑치열전(黑齒列傳)은 외기로 독립시켰다. 허목은 흑치열전에서 일본의 역사를 한국의 방계 역사로 보았고 말갈열전에서 말갈의 역사를 한국 역사의 일부로 보았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단군세가와 신라세가다.
단군세가에서 허목은 단군이 평양에 도읍한 것은 도당씨(陶唐氏)가 즉위한 지 25년이 되던 해라고 기록했으며 우(禹)가 제후(諸侯)들과 도산(塗山)에서 회합했을 때, 단군의 아들도 도산에 가서 우 임금에게 조회하였다고 주장했다.
이후 상나라 무정 시기에 죽었으며 송양(松壤) 서쪽에 단군총(檀君塚)이 있다고 주장했다.
3. 기타
이 책에 나타난 허목의 역사의식은 광해군대에 반주자학적인 역사의식을 가졌던 대북(大北) 사류들의 의식과도 연결되며, 실학자 이익을 비롯하여 조선 말, 일제강점기 때의 대종교 계통의 민족주의 역사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환단고기가 이 책의 일부를 인용했다는 주장이 있다. 환단고기 문서의 의문과 해답 카테고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