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신

 





1. 개요
2. 한국사의 국가들과 관계


1. 개요


肅愼[1]
고대 동아시아에 살았던 퉁구스계 민족.[2] 고대 읍루, 말갈족, 여진족, 만주족의 조상이기도 했다.
다만 현대의 연구결과 숙신=만주족이라고 보기 어렵기도 한데, 이는 만주는 한반도와 달리 사면이 열려있는 개방적인 지형으로 외부와의 인적 교류 가 활발했고 시대가 지나면서 여러 유목·수렵 부족들과 혼혈되었기 때문이다.
만주·연해주에 사는 퉁구스족이었다. 원래 퉁구스족들은 시베리아 바이칼 호, 예니세이 강 상류 및 스타노보이 산맥오호츠크 해 연안 일부에서 살면서 순록을 방목했다. 이들은 점차 남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연해주 등으로 이동한 시기는 3000년 전으로 추정된다. 연해주와 만주로 이주한 퉁구스인들은 순록 방목 및 유목에서 여러 가축들을 목축하거나 소규모의 농업을 하는 것으로 생업을 바꾸기 시작했다.[3] 주나라 시기에는 숙신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신앙은 샤머니즘을 믿었다. 동예옥저처럼 부족국가였기 때문에 이렇다 할 중심지인 수도가 없었다.
남북조시대, 시기에 나중에 읍루·물길이라고 불렸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시대에 따라 이렇게 불렸다고 이들의 혈통이 같았는지는 논란이 어느 정도 남아있다. 어쨌든 시대가 지나면서 말갈로 호칭되었고, 그 중 끝까지 살아남은 흑수말갈은 여진족이 되었으며, 다시 그 중 복속되지 않고 남은 생여진들은 완안부를 중심으로 금나라, 동진국을 세웠고, 금, 동진 멸망 이후에도 여진족 중 다른 민족에게 동화되지 않은 여진족들은 훗날 만주족이 되어 청나라를 세웠다.

2. 한국사의 국가들과 관계


한국 역사에서는 고구려, 부여와 접한 외세 국가로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고구려를 침략, 약탈했다가 번번히 나중에 고구려에게 역관광을 당했다고 한다. 광개토대왕 시기에 결국 숙신은 고구려에게 토벌당하여 복속하게 된다.
다만 이후에도 한동안 과도기를 거치며 말갈인을 숙신이라 부르는 용례가 종종 등장한다. 역사적 명칭은 한순간에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일본서기에 의하면 676년 신라에서 일본으로 사신 김청평을 보냈는데, 김청평은 숙신인 7명을 일본에 데려갔다고 되어있다. 이는 나당전쟁 와중에 고구려인들이 신라로 망명하면서 고구려에 섞여살던 말갈인도 같이 남하했고 이들이 그 일부인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1] 상고한어: siwk-(d)i(n)-s.[2] 다만 숙신이라고 불리는 퉁구스계들은 일부 니브흐족들과 혼혈화되어 나나이, 우데게, 만주(연해주 등 외만주 포함) 지역의 퉁구스 제족들 중 일부는 의상이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니브흐족들과도 비슷하다.[3] 물론 여전히 순록을 목축하는 퉁구스 원주민도 있었다. 여진을 뜻하는 "주르첸" 역시 "순록을 기르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