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산업선 광역전철

 





{{{#!wiki style="margin: -10px -10px"
[image]
'''대구산업선 광역전철'''
大邱産業線
Daegusaneop Line

}}}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노선 정보'''
'''분류'''
일반철도
'''기점'''
서대구역
'''종점'''
대구국가산단역
'''역 수'''
9개
'''구성 노선'''
대구산업선, 경부선[1]
'''개업일'''
2028년 예정
'''소유자'''

'''운영자'''

'''사용차량'''
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전동차
'''차량기지'''
대구차량사업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
35.363km
'''궤간'''
1435mm
'''선로구성'''
단선
'''사용전류'''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신호방식'''
ATS/ATP
'''최고속도'''
100km/h
'''표정속도'''
53.0km/h(예정)[2]
'''지상 구간'''
서대구역인근 1.5km 구간
'''통행 방향'''
좌측통행
'''개통 예정'''
2028년
1. 개요
2. 특징
3. 역할
4. 차량
5. 운임
6. 역 목록
7. 역별 승하차 통계
8. 논란
8.1. 동대구역 미경유 논란
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서구달성군, 달서구 지역의 산업단지를 통과하는 대구산업선에 운행하는 광역전철 운행계통이다.

2. 특징


원래 일반간선열차를 투입하는 것으로 산정하고 역 개수를 계획해서 역간거리가 매우 넓다. 또한 대형전동차가 전구간 단선으로 운행하는 전국 최초의 노선이다. 또 동해선 광역전철, 수도권 전철 서해선처럼 광역철도로 법적 고시되어있지는 않지만 일반철도에 광역전철을 운행하는 사례가 된다.[3] 게다가 이름과 달리 대구광역시 단일 행정구역 내에서만 운행한다.[4][5]
하루에 편도 69회 정도 운행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첨두시 15분, 비첨두시 20분~40분 정도의 배차간격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6] 또한 단선인만큼 역에서 반대방향의 두 열차가 교행해야하므로 3 ~ 10분정도 문열어놓고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것도 예삿일이 될 것이다.[7]

3. 역할


대구광역시 도심에서 25km 넘게 떨어진 대구국가산단, 테크노폴리스에서 도시철도와 철도역으로 접근하기 좋아진다. ITX-새마을 운행에서 통근형 전동차 운행으로 바뀜으로써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구지연장을 계승하는 노선이라고 볼 수 있다. 아쉽게도 1호선의 직결 운행은 하지 않는다.

4. 차량


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전동차 문서 참조.

5. 운임


2021년 1월 14일 국토부 주관으로 대구산업선의 공청회를 실시했다. 대구시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대구산업선에서 운행될 열차가 기존 EMU-150에서 일반 전동차로 변경됐다. 하지만 요금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일반철도’ 요금을 받을지, ‘도시철도’ 요금을 받을지다. 하기봉 대구시 철도시설과장은 “현재 대구산업선 운영은 코레일이 맡는 것으로 돼 있다”며 “운임과 관련된 사항은 아직 협의조차 하지 않았다. 국토부와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GTX 요금제가 고려되고 있다는 말이 있다.# 일반 전동차에 일반철도 요금을 받는다면 이것은 대한민국 최초의 사례가 된다. 대구시와 국토부가 협의하여 운임에 관하여 어떤 결론을 낼지가 결정되어야 대구산업선 광역전철의 운임, 환승제도 등이 비로소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6. 역 목록


역 등급 범례

관리역

보통역

배치간이역

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

을종승차권발매소

신호장

신호소
역번

역명
승강장
역 등급
환승노선
소재지
형태
횡단
DS01
0.0
서대구
西大邱

?
?
[image]
대구광역시
서구
DS02

서재세천
鋤齋世川

?
?

달성군
DS03

계명대
啓明大

?
?
[image] 2호선
달서구
DS04

성서산단(호림)
城西産團(狐林)

?
?

DS05

설화명곡
舌化椧谷

?
?
[image] 1호선
달성군
DS06

달성군청
達城郡廳

?
?

DS07

달성산단
達城産團

?
?

DS08

테크노폴리스

?
?

DS09
35.363
대구국가산단
大邱國家産團

?
?


7. 역별 승하차 통계


2028년 기준 대구산업선의 일평균 승하차 순위이다. 환승역의 경우 대구산업선이 아닌 다른 노선의 승하차객은 제외한다.
'''대구산업선 광역전철'''
'''노선 총합'''
역수
구간
역당 일평균 이용객
일평균 승하차량
2019년 승하차량
최다 이용역
최저 이용역
9개
'''서대구↔대구국가산단'''
'''-명'''
'''-명'''
'''-명'''


'''일일 이용객 수'''
역수
구간
5만명 이상
2만명~5만명
1만명~2만명
5천명~1만명
5천명 이하
9개
'''서대구↔대구국가산단'''
0
0
0
'''-개역'''
'''-개역'''
'''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역별 순위'''
순위
역명
일평균 승하차량
2028년 승하차량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8. 논란



8.1. 동대구역 미경유 논란


대구산업선을 운행할 광역전철의 운행계통은 대구의 관문이자 영남권 제 1의 역의 지위를 가지면서 복합환승센터까지 겸비한 동대구역을 미경유 할 계획이다. 물론 대구시는 운행시간 발표 관련해서 서대구역~국가산단 29분, 동대구역~국가산단 38분이라고 언론에 보도한 적은 있으나 그건 단순 통행시간일뿐 운행계획은 아니다.# 경부고속선이 부설되면서 고속열차가 내선으로만 다니게 되어 경부선 대구구간의 선로용량이 증가하긴 했어도 경부선 지천~동대구 구간의 선로용량이 평시 하루 편도 92회 정도이고 대구권 광역철도가 하루 편도 61회, 서대구역 경유 고속열차가 하루 편도 21회 다니면서 경부선 선로의 여유공간은 10회 뿐이다. 여기 대구산업선 하루편도 69회를 넣을 공간이 없어 사실상 동대구역 착발은 불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차량기지가 동대구역에 있는 대구차량사업소이기 때문에 첨두시간에 증편하는 하루 몇대 편성에 대해 동대구역까지 연장 운행하는 것은 가능하다. 어차피 운행하는 회송구간에서 영업운전하면 되기 때문이다. 1시간에 1대꼴인 격. 하지만 이건 이론상 방법일 뿐 사실상 회송구간에서 영업운전은 불가능하다.

9. 관련 문서




[1] 회송에 한함, 영업운행 미정[2] 공청회 내용에 따라 대구국가산단~서대구 40분으로 가정하고 추산[3] 사실 일반철도냐 광역철도냐가 무슨 열차를 운행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수도권 전철 서해선은 법적으로 일반철도지만 광역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한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는 법적으로 광역철도이지만 광역전철이 아니라 별도의 GTX용 차량이 들어간다.[4] 이처럼 광역전철이지만 하나의 광역자치단체에서만 운행되는 광역전철로는 수도권 전철 경강선도 존재한다. 인덕원동탄선도 유사한 사례가 될 예정이다.[5] 하지만 대구권 광역철도와 직결한다면 경북 경산까지는 운행하는 셈이고, 창원산업선이 개통되어 전철 운행 연장이 성사되면 경상남도까지도 운행할 순 있다.[6] 다만 이 계획은 간선형 전동차인 EMU-150 투입을 가정으로 나온 것이라 일반 전동차로 변경된 지금은 단선 전철 노선 문제로 수반되는 교행 문제, EMU-150 대비 떨어지는 일반 전동차의 속도 등으로 운영횟수는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7] 단선이라 어쩔 수 없는 문제이기는 하나 큰 문제라고는 할 수 없다. 즉, 교행 등을 고려한 열차운행계획만 잘 수립된다면 효율적 운행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