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소왕

 


'''부여 제4대 군주'''
'''동부여 제3대 군주'''
'''帶素王 | 대소왕'''
'''왕호'''
'''대소왕(帶素王)'''
'''성씨'''
해(解)(?)
''''''
대소(帶素)
'''부왕'''
금와왕(金蛙王)
'''종제'''
왕(王) 낙씨(絡氏)[1]
'''생몰년도'''
음력
?[2] ~ 기원후 22년
'''재위기간'''
음력
기원전 20년경 ~ 기원후 22년
1. 개요
2. 일생
2.1. 초기 일생
2.2. 고구려와의 대립
2.3. 죽음
2.4. 사후
3. 의문점들
4. 여담
5.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부여의 제 4대 .
금와왕이 낳은 7형제 중에서도 맏아들이었으며, 훗날 금와왕의 뒤를 이어 부여의 왕이 되었다.
고구려 초기에 고구려를 위협하였던 가장 위험한 세력 중 하나였으며, 동명성왕 때는 물론이고 그 뒤를 이은 유리명왕, 대무신왕 대에 이르기까지 무려 3대에 걸친 '''고구려의 숙적'''이었다.

2. 일생



2.1. 초기 일생


역사상의 기록에는 삼국사기 등에 기록된 고구려 건국 신화에서 처음 등장하며, 아버지인 금와왕이 유화와 그 아들인 주몽을 거두어 키울 때에 함께 어울려 놀기도 했다고 한다.[3]
처음에는 동명성왕과 어울려 놀았다는 기록도 있는 것으로 보아 애초부터 사이가 나쁘지는 않았던 것 같다. 그러나 자신은 물론이고 자신의 형제들 중에서도 주몽의 재능을 따라갈 사람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점차 주몽을 시기하였으며, 훗날에 부여에 위협이 될만한 인물이라고 여겼다.[4]
그래서 아버지인 금와왕에게 주몽을 제거할 것을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신하들과 함께 몰래 계략을 꾸며서 주몽을 죽이려 했다. 이를 알게 된 유화가 주몽에게 경고하자 주몽은 부여에서 탈출하여 고구려를 건국하게 된다. 그리고 주몽은 고구려의 왕으로 즉위하여 동명성왕이 되었다. 삼국사기에서도 부여를 떠날 것을 명령한 이는 유화였으며 이를 반문하는 주몽에게 대소와 다른 왕자들이 죽이려고 하는 것을 모르느냐는 내용이 있다. 해모수의 부인으로 살아온 세월만큼 정치적 계산이나 감각이 있었기에 아들 주몽을 재빠르게 피신시킬 수 있었으리라 추정된다.

2.2. 고구려와의 대립


이후로 대소는 동명성왕 대의 기록에는 등장하지 않다가 유리명왕 대의 기록에 부여의 왕으로 다시 모습을 드러내었다. 그의 즉위년은 정확히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주몽의 아들 유리가 어머니와 함께 도망쳐 온 것이 기원전 19년 4월의 일임을 생각해 보면 대소왕의 즉위는 그보다 조금 이전의 일일 것이다.
집권 초기 대소는 고구려를 사실상 속국으로 취급하면서, 고구려를 침공하거나 인질 교환을 제안하는 등 허구한 날 괴롭혔다. 애초에 서기 3세기까지만 하더라도 부여와 고구려는 국력차가 상당히 많이 나는 편이었다. 삼국지 동이전에 따르면 부여는 인구가 8만 호에 달했으나, 신생 국가였던 고구려의 인구는 3만 호 정도로 그 절반도 못미쳤다.
기원전 6년에는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어 유리명왕에게 인질 교환을 제안하였다. 유리명왕은 부여의 강대함이 두려워서 태자 도절을 인질로 보내려 하였으나 도절이 '''무섭다면서 이에 응하지 않아(...)''' 결국 인질 교환은 결렬되었다. 협상결렬에 화가 난 대소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같은 해 겨울에 5만의 병력을 보내어 고구려를 공격하였으나 마침 큰 눈이 내리는 바람에 실패하고 돌아갔다.
그리고 서기 9년에는 고구려에 다시 사신을 보내어서 "너희 선왕이 우리 부여의 신하들을 꾀어서 달아나 세운 나라가 바로 고구려니 마땅히 부여를 섬겨야 한다."고 전하였는데, 즉 고구려를 속국으로 취급하려 한 것이다. 유리명왕은 이를 따를지 고심하였는데, 이때 유리명왕의 아들인 무휼이 나서면서 '''"우리 선왕(주몽)이 당신들의 왕(대소) 때문에 부여에서 도망쳐 나와서 고구려를 세웠는데, 무슨 말도 안되는 억지를 쓰는 겁니까? 저희들에게 잘해주셔야 저희들도 당신을 섬길 것 아닙니까."'''라고 답하는 바람에 또다시 굴욕을 당했다(...).
서기 20년에는 어느 부여인이 머리가 하나이며 몸은 두 개인 붉은 까마귀를 얻어 대소왕에게 바치며 "까마귀는 본래 검은 것이나 몸이 붉게 되었고 머리는 하나인데 몸이 두개이니 이는 곧 두 나라가 하나가 될 징조입니다."라고 고하였다.
이에 대소는 자신에게 유리한 줄로 해석하여 이 까마귀를 고구려의 대무신왕 무휼에게 보냈다. 이를 받은 대무신왕은 대소에게 '''"검은 것은 본래 북방의 색이나 지금 변해서 남방의 색이 되었으며 붉은 까마귀는 상서로운 것이라 왕이 얻어서는 나에게 주었으니 나라의 존망을 알 수 없습니다."'''라고 답하였다. 이에 대소는 까마귀를 보낸 것을 크게 후회하였다고 한다.

2.3. 죽음


서기 22년, 마침내 고구려대무신왕이 직접 군사를 이끌고 부여 남쪽 지방을 공격해왔다. 이곳에서 대소왕은 직접 대병력을 이끌고 대무신왕과 맞서려 하였는데, 마침 고구려 군은 평지 위에서 진영을 펼치고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대소왕은 이 틈을 노려서 군사를 몰아 고구려 군을 공격하였으나, 너무 급하게 진군하는 바람에 진창에 빠져서 대군이 움직이지 못하게 되었다. 이때 고구려의 장수 괴유가 오도 가도 못하는 부여 군을 향해 돌격하여 부여 군사들을 죽이고 급기야 대소왕마저 괴유의 칼에 목이 베어 전사하고 만다.
그러나 대소왕이 죽었음에도 불구하고 부여군은 오히려 사기가 꺾이지 않았으며, 남은 부여의 병사들은 오히려 왕의 죽음을 복수를 하자는 일념 하에 더욱 거세게 고구려군을 공격하였다. 결국 고구려는 참패하고 말았다.[5]
전쟁에서 패배한 고구려 군은 대소왕을 죽였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군사와 물자를 잃은 채 돌아왔다. 대무신왕이 부여와의 전쟁 이후, 대소왕의 목을 베었다는 사실을 자축하면서도 너무 많은 군사를 잃었다며 제사 지냈다는 기록에서 이를 알 수 있다.

2.4. 사후


부루가 죽자 금와가 대를 이어 왕이 되었다. 다음의 왕위를 태자 대소(帶素)에게 전하였다. 지황 3년 임오(서기 22)에 이르러 고구려 왕 무휼(無恤)이 동부여를 정벌하고 왕 대소를 죽이니 나라가 없어졌다.

夫婁薨 金蛙嗣位爲王 次傳位于太子帶素 至地皇三年壬午 高麗王無恤伐之 殺王帶素 國除

'''《삼국유사》 기이 제1'''

삼국유사에서 동부여는 대소왕을 끝으로 멸망했다고 적혀 있다.
대소왕이 전장에서 갑작스럽게 죽는 바람에 부여는 정치적 혼란에 빠졌던 듯하다. 결국 부여는 이 뒤로 극심한 정치적 혼란과 내분으로 인해 전쟁에서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는 패한 것과 다를 바 없는 상황이 되었다.
대소가 죽은 이후로 곧 부여의 왕족들이나 지배층 사이에서도 내분이 일어나 점차 나라의 내부에서부터 쇠락의 기미가 보이기 시작했다. 심지어 대소가 죽은 해인 서기 22년에는 대소의 아우가 따로 가족과 지지 세력을 이끌고 부여를 빠져나와 갈사국이라는 나라를 세웠던 일까지 있었으며, 대소왕의 사촌 동생이 고구려에 투항해 오기까지 할 지경이었다.

3. 의문점들


동명성왕과 유리명왕이 죽은 후 대무신왕 대에까지 살아서 전쟁을 직접 지휘한 걸 보면 제법 건강하게 오래 살았던 듯하다. 금와왕의 일곱 아들 중에서도 맏아들이었다는 사실을 감안해볼 때 대무신왕이 즉위했을 당시에는 80대나 90세 정도였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물론 동명성왕이나 유리왕 등이 모두 40대를 전후하여 승하하는 등 그리 오래 살지는 못한 탓도 있었겠지만 당시 시대는 아니 지금 시대로 따져도 전투를 직접 하기에는 엄청난 고령이었다.
그런데 대소왕의 수명은 길다고 감탄하는 데 그칠 게 아니라 좀 부자연스러운 측면도 있어서 걸러볼 필요가 있다. 일단 일반적인 수명보다 많이 장수한 편인데 고구려, 백제, 신라 모두 초기 몇몇 왕들에 대한 기록은 수명이 비정상적으로 늘여진 것이 아니냐는 합리적인 의심을 받고 있는데 정황상 대소왕 역시 후대에 의해 조작 및 변질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일단 그만큼 나이가 많았던 대소왕의 승하가 정말 갑작스럽게 벌어졌기에 동부여에 정치적 혼란이 생겼을 지가 의문점으로 제기된다. 현대에도 90살인 사람이라면 아직은 건강하더라도 언제든 노화나 심장마비 등 다양한 요소들로 갑작스레 죽을 수 있는 초고령인데 하물며 평균 수명이 현대보다 낮았던 고대의 경우는 말할 것도 없다. 평화로울 때조차 급사해도 이상하지 않은 나이이고 하물며 그 고령의 나이로 무려 친정을 감행헀는데 죽음을 예상하지도 대비하지도 않은 것이 다소 이상할 따름. 고대에 90살이면 손자는 물론이고 그 아래 후손까지도 충분히 볼 수 있는 나이였으니, 대소왕도 본인을 대신할 태자나 손자를 이미 후계자로 지명했다 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고, 설령 아들이 없었어도 후계자는 당연히 친척이든 누구든 정해놨어야만 하는 것이 당연하다.[6] 그런데 이런 고령의 왕이 전쟁터에 나가서 죽은 것이 예상 밖의 재난인 것으로 여기는 기록이 기이할 지경.
또한 나이 문제를 차치하더라도 대소왕이 뜻밖에 전사하였다한들 그게 강성했던 부여가 차기 후계자 자리도 못 정하고 하루아침에 사라질 정도의 문제였는지도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부여 조정이 대소왕의 전사소식을 전해들은 순간부터 대소왕의 자식들이나 형제들 중 누군가를 다음 왕으로 내세우며 권력 다툼에 들어갈테니 내분으로 나라가 쪼개질지언정 다음 왕이 아예 없다는건 말이 안 된다. 내란 중 외침이라도 받아서 사이좋게 망한 것이면 몰라도, 그런 기록은 존재하지 않으니 갈사국이 쪼개어져 나왔다는 건 누군가는 부여의 도성에서 권력을 쥐어 왕이 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7]
그래서 몇 가지 추측이 있었는데 '대소'라는 어휘가 특정 한 사람을 지칭하는 게 아니라 그냥 부여의 왕을 뜻하는 일반명사인 것이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이집트 왕을 '파라오', 페르시아의 왕을 '샤한샤'라고 칭했던 것처럼 말이다. 이렇게 본다면 주몽의 탈출 때 그 대소와 대무신왕과 싸운 대소왕이 다른 사람이라고 볼 여지도 있다. 다만 대소가 죽은 후에 부여에서 빠져나와 따로 갈사국을 세웠던 대소의 아우가 금와왕의 막내 아들이라는 기록이 있어서 대소왕이 금와왕의 아들임은 거의 확실해 보인다. 따라서, 후대의 장수왕이 97살(...)에 죽었다는 걸 감안하면 일반적인 사람들의 수명이 짧던 옛날에도 특정인이 현대인 기준으로도 장수하는 일은 아주 가끔 있었고, 대소왕이 그 케이스라고 보는 것이 옳을 수도 있다.

4. 여담


동명성왕의 아들인 유리명왕이 아직 부여에 머물고 있었을 때에도 죽이지 않는 등 의외로 따뜻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8] 다만 유리가 아버지를 모르고 자랐다는 언급을 보면 신분을 숨겼을 가능성도 있다.

5. 대중매체에서


얼마 전까지만 해도 '대소'하면 고구려 건국 신화에서 묘사되듯이 늘 주몽과 그 자손들에게 털리는(...) 안습한 이미지였지만 21세기 들어 드라마 주몽바람의 나라에서 새롭게 각색되어 등장하면서 관심을 '''아주 조금 더''' 받게 되었다.
[image]
MBC 드라마 주몽에서는 배우 김승수가 연기하였다. 본작에서는 일신의 무예는 물론, 용맹과 지략 등의 모든 방면에서 능통한 그야말로 엄친아로 묘사되며, 특히 검술은 작중에서도 부여에서 적수가 없다고 정평이나 있다. 그에 걸맞게 성격은 용감하면서도 오만하며, 금와의 첩인 유화의 아들 주몽을 몹시 천대하며 우습게 본다.
그러나 문제는 처음에 묘사되었던 나름 포스있는 모습과는 달리, 작중에서 가면 갈수록 주몽 때문에 열폭하는 일이 많아지는 바람에 다소 찌질해 보이기까지 한다는 점이다. 특히 초반부만 하더라도 찌질함의 극치를 보여주었던 주몽이 친부인 해모수를 만나면서 영웅으로 각성하자, 그 뒤로는 계속 주몽에게 털리기만 해서 굉장히 안습하다. 사실 대소도 나름대로 뛰어난 모습을 보이지만[9], 항상 주몽에게 약간씩 밀리면서 원통해하는 듯한 묘사가 많아 더욱 불쌍해 보인다(...).
또한 소서노는 대소를 싫어하고, 본인도 그걸 뻔히 알면서도 추할 정도로 소서노에게 집착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평가를 깎아먹는데 일조했다. 결국 소서노는 대소와의 결혼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호위무사인 우태와 급하게 결혼하고, 대소는 선약이 있던 한나라 태수 양정의 딸 양설란과 정략결혼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한나라의 힘을 등에 업은 것 까진 좋았는데, 이는 한편으로 한나라의 내정간섭을 초래하면서 오히려 대소가 사사건건 한나라에 발목이 잡히게 되는 요인이 된다.
한때는 외가이자 부여의 귀족 사출도와 처가인 현토군의 힘을 빌어 부왕을 유폐시키고 대리청정을 역임하기도 했지만, 날이 갈수록 폭정이 심해지는 대소의 실정에 실망한 대사자 부득불이 금와왕을 다시금 지지하면서, 금와왕의 친위 쿠데타로 인해 변방으로 쫓겨나는 수모를 겪기도 한다. 그러다 주몽이 다물군을 결성해 떠나고, 한나라에 볼모로 갔던 동생 영포가 친한파 인물이 되어 금와왕의 신임을 잃게 되자 그래도 없는 것보단 낫다는 식으로 후계자의 자리에 정식으로 책봉되었다. 유화 부인 사후 더 이상 옥좌에 미련이 없어진 금와왕에게 왕위를 물려받게 된다. 그리고 얼마 뒤, 금와왕이 국경 지대에서 한나라의 자객들에게 살해당하자 이에 분개하여 부득불의 충고에 따라 한나라와의 관계를 단절하고 고구려와 손을 잡고 한나라군에 맞서 싸워 대승을 거두는데 일익을 담당한다. 그렇게 서로 해피엔딩을 짓는 줄 알았으나 극 말미에서는 또다시 주몽에 대한 라이벌 의식을 불태우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image]
바람의 나라 드라마에서는 배우 한진희가 연기하였으며, 상당히 카리스마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강력한 권력을 지닌 교활하고 노련한 노왕으로, 작중 상당한 포스를 발산하며 최종보스의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였다. 특히 초반에 유리왕을 멋지게 갈구는 장면이 일품. 그러나 후반부에 상황이 급반전되고 결국은 대무신왕에게 털려서 최후를 맞는다는 점은 변하지 않지만 기록이 전하는대로 괴유 손에 최후를 맞이한다.하지만 알려진 것과 다르게 굉장히 우아하고 기품있게 죽는다. 그리고 패배을 인정하고 부여를 무휼에게 오롯이 맡기는 점도 역사와 다르다. 실제로는 대소가 죽었다고 부여가 고구려나 주변 국가들에 바로 복속된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점프에서도 대소가 등장하였는데 배우는 원기준. 공교롭게도 원기준은 드라마 주몽에서 대소 동생 영포 역을 맡았던 배우다.
[1] 대무신왕이 왕작을 제수하며 연나부에 소속시키고 낙씨성을 내림.[2] 금와왕의 자식들중 장남이었으므로 최소한 동명성왕보다는 손윗사람이었을 것이다. 그저 추측성이기는 하나 삼국사기에 기술된 내용들이나 여러가지 정황상 가능성이 높다. 이에 비추어 본다면 동명성왕의 손자인 대무신왕 대까지 상당히 장수한 편이었다.[3] 부여 동명왕 전설에 따르면 천제 아들인 해모수해부루의 아버지이며 해부루의 아들이 금와, 금와의 아들이 대소이므로 해모수는 대소의 증조부가 된다. 또한 금와 재위 시절 금와가 해모수의 미망인이자 해모수의 아이를 잉태한 유화를 거두어 낳은 아들인 주몽을 양육했다고 볼때 유화는 해모수가 노년에 거둔 첩이나 부인으로 짐작된다. 그렇게 보면 해모수의 증손자인 대소가 해모수의 아들인 주몽보다 연상으로 봐도 무리는 아니며 삼국사기에서도 대소는 주몽보다 연상으로 기록되고 있다. 6명의 동생의 존재를 감안한다면 연상인게 확실하다.[4] 당장에 금와부터 해부루의 친자가 아닌 업동이이며 해부루가 금와를 태자로 삼은 것도 그 자신에게 대를 이을 아들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금와가 대를 이은 것이고 대소도 금와의 뒤를 이을 것이 자명한데 증조부 해모수의 아들이 태어나면 대소 자신의 입지가 매우 불리해지기 때문이다.[5] 다만 기본적으로 부여의 국력이 명백히 우위에 있었기에 고구려 군을 물리치는 데에는 성공했다고 보는게 옳다는 시각도 있다.[6] 물론, 대소왕 나이를 생각해보면 장수왕이 그랬듯이 후계자를 정해놨는데 자기보다 먼저 늙어 죽었을 가능성도 있다.[7] AD49년에 후한 광무제에게 입조한 부여왕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가 갈사국으로 이탈하지 않은 부여의 후계왕일 가능성이 높다. 다만 북부여와 동부여의 관계도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현 상황에 이 시기의 중국측 기록에 부여라고 표현되는 세력이 정말 동일집단인지는 아직 알 방법이 없다.[8] 실제로는 유리명왕이 한동안 금와왕의 보호 아래 있다가 대소왕이 왕위에 오르자 부여를 탈출한 것으로 추정된다.[9] 양정과의 거래를 통해 부여의 교역 문제를 해결하고, 진보된 강철검의 제작에 성공했다. 또한 무예에서도 주몽에 비해 궁술은 밀렸으나, 검술에서는 호각지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