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야발
大野勃
(?~?)
걸걸중상의 아들이자 대조영의 아우.[1]
그에 대해 전해지는 내용은 거의 없다. 애당초 발해인 가운데 자세한 사항이 전해지는 사람이 얼마 안 되기도 하고, 왕족이니까 그나마 이름이라도 남은 것으로 봐야 할 듯.
대야발 본인보다는 그가 발해의 10대 국왕인 선왕 대인수의 조상이라는 점이 주목되는 부분이다. 9대 왕인 간왕이 후사 없이 붕어하는 바람에 대조영계의 왕통이 끊겨버렸고 이 탓에 대야발의 후손에게로 왕위가 넘어갔기 때문. 발해가 멸망 뒤에 고려에 귀부해 온 태자 대광현이 발해의 마지막 왕인 대인선의 아들이라고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넓게 보면 한국에 남아 있는 모든 태씨들의 직계 조상이라고 볼 여지도 있는데, 발해의 왕은 대현석 이후로는 어떻게 계승되었는지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어서 확실한 것은 아니다.
간혹 발해와 말갈의 연관성을 강조할 때 이 이름을 소개하며 '이름에서 말갈의 거친 어감이 느껴진다' 라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무엇이 '거친 어감' 인가?' 라는 물음 자체에 답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진지하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소리이며, 고구려나 백제, 신라 등에도 이런 '거친 어감이 느껴' 지는 이름은 수두룩하다.[2]
단기고사의 저자로 전해지기도 하는데, 고려시대~조선시대 선계 사서에도 나오기는 하지만 믿기 어려운 환빠틱한 이야기가 권위 있는 백과사전 등지에도 나오니 미스테리한 일. 다만 김대문의 화랑세기와 마찬가지로 단기고사라는 책이 실제로 있었다고 하더라도 원본은 소실되고 이름만 같은 위작이나 위서가 전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KBS 대하드라마 드라마 대조영에서는 중요인물이라 등장할 법한데도 전혀 등장하지 못했는데, 걸사비우는 그렇다 쳐도 가공인물인 흑수돌과 셋이서 의형제를 맺는 바람에 끼어들 틈이 없었을 듯.[3] 드라마 상에서는 처음부터 대조영이 외아들로 표현되었다.
(?~?)
1. 소개
걸걸중상의 아들이자 대조영의 아우.[1]
그에 대해 전해지는 내용은 거의 없다. 애당초 발해인 가운데 자세한 사항이 전해지는 사람이 얼마 안 되기도 하고, 왕족이니까 그나마 이름이라도 남은 것으로 봐야 할 듯.
대야발 본인보다는 그가 발해의 10대 국왕인 선왕 대인수의 조상이라는 점이 주목되는 부분이다. 9대 왕인 간왕이 후사 없이 붕어하는 바람에 대조영계의 왕통이 끊겨버렸고 이 탓에 대야발의 후손에게로 왕위가 넘어갔기 때문. 발해가 멸망 뒤에 고려에 귀부해 온 태자 대광현이 발해의 마지막 왕인 대인선의 아들이라고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넓게 보면 한국에 남아 있는 모든 태씨들의 직계 조상이라고 볼 여지도 있는데, 발해의 왕은 대현석 이후로는 어떻게 계승되었는지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어서 확실한 것은 아니다.
2. 기타 사항
간혹 발해와 말갈의 연관성을 강조할 때 이 이름을 소개하며 '이름에서 말갈의 거친 어감이 느껴진다' 라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무엇이 '거친 어감' 인가?' 라는 물음 자체에 답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진지하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소리이며, 고구려나 백제, 신라 등에도 이런 '거친 어감이 느껴' 지는 이름은 수두룩하다.[2]
단기고사의 저자로 전해지기도 하는데, 고려시대~조선시대 선계 사서에도 나오기는 하지만 믿기 어려운 환빠틱한 이야기가 권위 있는 백과사전 등지에도 나오니 미스테리한 일. 다만 김대문의 화랑세기와 마찬가지로 단기고사라는 책이 실제로 있었다고 하더라도 원본은 소실되고 이름만 같은 위작이나 위서가 전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3. 창작물
KBS 대하드라마 드라마 대조영에서는 중요인물이라 등장할 법한데도 전혀 등장하지 못했는데, 걸사비우는 그렇다 쳐도 가공인물인 흑수돌과 셋이서 의형제를 맺는 바람에 끼어들 틈이 없었을 듯.[3] 드라마 상에서는 처음부터 대조영이 외아들로 표현되었다.
[1] 유득공의 발해고에서 그의 증손 선왕에 대해 고왕의 아우 야발의 증손이라 소개하고 있다.[2] 고구려에도 연타발, 고돌발 등 이름이 '-발' 자로 끝나는 사람이 있었으며, 조선시대에도 이시발이라는 인물이 있었다.[3] 이름이 발음하기 어려워 흑수돌로 대체되었다는 의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