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젠 메이든(2004년 애니메이션)

 

'''로젠 메이든'''
ローゼンメイデン

작품 정보 ▼
'''장르'''
판타지, 배틀
'''원작 / 시리즈 감수'''
PEACH-PIT
'''감독'''
마츠오 코우[6]
'''시리즈 구성'''
하나다 줏키
'''캐릭터 디자인'''
이시이 쿠미(石井久美)
'''총 작화감독'''
'''이미지 디자인'''
카스가이 히로유키(春日井浩之)
'''미술 감독'''
시바타 치카코(柴田千佳子)
'''색채 설계'''
카츠누마 마도카(勝沼まどか)
'''촬영 감독'''
키시 카츠요시(岸 克芳)
'''편집'''
타케미야 무츠미(武宮むつみ)
'''음향 감독'''
츠루오카 요타(鶴岡陽太)
'''음악'''
미츠무네 신키치(光宗信吉)
'''애니메이션 제작'''
노매드
'''제작'''
장미소녀 제작위원회
TBS
'''방영 기간'''
2004. 10. 08. ~ 2004. 12. 24.
'''방송국'''
[image] 도쿄 방송 / (금) 01:55
[image] 퀴니 / (수~금) 20:00
'''편당 방영 시간'''
24분
'''화수'''
12화
'''국내 심의 등급'''
12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
1. 개요
2. 주제가
3. 회차 목록

[clearfix]

1. 개요


[image]
로젠 메이든을 원작으로 하는 구판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TVA 제1기를 다루는 문서.
호평받던 원작의 그림체와 분위기가 달랐던데다[1] 스토리도 원작과 다른 오리지널 전개 로 흘러갔으며, 특히 스이긴토의 설정을 각색한지라 원작 팬들에게 안 좋은 소리를 듣기도 했다. 하지만 원작과 다른 노선을 탔는데도 불구하고 개성있는 스토리와 귀여운 인형들로 인해 센세이션한 인기를 거두는데 성공한다.
전개를 보면 원작에 비해 다소 무겁고 스토리나 설정이 다듬어진 느낌이다. 자잘한 개그 신이 삭제되었기 때문인 듯.[2][3] 물론 개그가 없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분명하게 존재한다. 또한 분위기가 원작보다 무거워졌다고 해도 그렇게 시리어스한 것은 아니며 오히려 대결을 제외한 부분은 가벼운 분위기라서 긴장할 필요는 없다. 대결도 오프닝 마냥 잔인하게 싸우는 것도 아니다.
본래 1기만 만들고 마칠 셈이었다고 한다. 감독도 1기 제작 후 "하고 싶었던 것은 전부 했다."라고 언급했으나, 평균 9천장(박스판 3200장)의 DVD판매량을 기록했고 관련 상품의 수익이 예상 외로 짭짤했던지라 급하게 2기를 만들었다고 한다.

2. 주제가


'''로젠 메이든 여는 노래'''

'''TV ver.'''

'''Full ver.'''

'''한국어 더빙 ver.'''
'''제목'''
금지된 장난(禁じられた遊び)
'''노래'''
[image] ALI PROJECT
[image] 반디
'''작사'''
타카라노 아리카(宝野アリカ)
'''작곡'''
카타쿠라 미키야(片倉三起也)
'''편곡'''
'''콘티'''
아사카 모리오
'''연출'''
'''작화감독'''
코바야시 아케미(小林明美)
원작 분위기가 분위기다보니 OP들이 상당히 어둡고 음침하다. [4]
<로젠 메이든 오베르튜레>의 오프닝곡인 장미지옥소녀는. 본작의 악역 스이긴토의 불행한 과거를 다룬 이야기라서 그런지,가사 내용도 사람에 따라 소름이 돋을 만큼 얀데레끼가 다분하다.
'''로젠 메이든 닫는 노래'''

'''TV ver.'''

'''Full ver.'''

'''한국어 더빙 ver.'''
'''제목'''
투명 Shelter(透明シェルター)
'''노래'''
[image] refio+시모츠키 하루카(refio+霜月はるか)
[image] 박보람
'''작사'''
myu
'''작곡'''
'''편곡'''
refio
'''콘티'''
마츠오 코우
'''연출'''
'''작화감독'''
이시이 쿠미(石井久美)

3. 회차 목록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薔薇乙女
장미소녀
하나다 줏키
마츠오 코우
이시이 쿠미
(石井久美)
日: 2004.10.08.
韓:
제2화
雛苺
히나이치고
타카하시 타케오
타마이 키미코
(玉井公子)
日: 2004.10.15.
韓:
제3화
水銀燈
스이긴토
오오하시 요시미츠
요시모토 타케시
(吉本 毅)
키타노 유키히로
(北野幸広)
키타오 마사루
(北尾 勝)
日: 2004.10.22.
韓:
제4화
翠星石
스이세이세키
오카다 마리
사쿠라비 카츠시
시마자키 나나코
(島崎奈々子)
후쿠다 노리유키
(ふくだのりゆき)
日: 2004.10.29.
韓:
제5화
階段
계단
타마이☆츠요시
호리노우치 모토[5]
(堀之内 元)
코바야시 토모키
아베 타츠야
(阿部達也)
日: 2004.11.05.
韓:
제6화

눈물
시시도 준
사토 토시하루
(郷 敏治)
타카하시 타케오
타마이 키미코
日: 2004.11.12.
韓:
제7화


하나다 줏키
타무라 슈우헤이
(田村しゅうへい)
요시모토 타케시
키타노 유키히로
日: 2004.11.19.
韓:
제8화
蒼星石
소우세이세키
오카다 마리
마츠오 코우
미즈모토 하즈키
(水本葉月)
키쿠치 토시히로
(菊池聡延)
日: 2004.11.26.
韓:
제9화

감옥
紫紺
이케다 시게타카
(池田重隆)
카와무라 켄이치
후쿠다 노리유키
야마자와 미노루
(山沢 実)
日: 2004.12.03.
韓:
제10화
別離
이별
타마이☆츠요시
호리노우치 모토
오오타 마사히코
키타오 마사루
아베 타츠야
日: 2004.12.10.
韓:
제11화
運命
운명
하나다 줏키
타카하시 타케오
마츠다 키요시
(松田 清)
타마이 키미코
日: 2004.12.17.
韓:
제12화
真紅
신쿠
마츠오 코우
이시이 쿠미
日: 2004.12.24.
韓:
[1] 구체적으로는 원작 초창기의 다소 각진 화풍을 옮겨온 것에 가깝다.[2] 가령, 신쿠스이긴토의 작중 첫 조우 당시 원작에서는 다시 봐도 못생겼다고 티격태격대는 장면이 있었지만, 애니판에서는 일관적으로 살벌한 분위기로 흘러간다.[3] 비슷한 경우로 2003년판 강철의 연금술사가 있다. 원작보다 분위기가 어두우며 오리지널 전개로 호평을 받은 케이스. 여담으로 이 당시 각본진에는 현재 애니메이션 팬들에게 공공의 적 취급을 받는 하나다 줏키오카다 마리가 있었다.[4] 한국어로 번안될 때에는 가사의 몇몇 부분이 편집되었다. 특히 트로이멘트 오프닝의 경우에는 거의 '''통편집 수준''', 일본어판과 한국판을 잘 듣고 가사 번역을 비교해보자.[5] 니헤이 유이치(二瓶勇一)의 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