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사장

 



1. 무사들의 지휘관 또는 책임자


'무사'에 우두머리를 뜻하는 '장'을 붙인 명칭이다.

1.1. 눈물을 마시는 새피를 마시는 새의 직책


눈물을 마시는 새피를 마시는 새에 등장하는 즈믄누리[1] 도깨비들의 직책이자 도깨비의 '''최종병기'''.
폭력과 피를 싫어하는 도깨비의 유일한 전투 병력이며 제2의 병력은 없다. '사람을 상대로 불을 쓸 수 있는 도깨비는 한 명이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단 한명이지만 그 힘은 말 그대로 '''세계 최강'''. 때문에 이름은 무사'''장'''이지만 따로 통솔하는 무사 집단은 존재하지 않는다.
눈물을 마시는 새의 '사빈 하수언'이 무사장으로 등장하긴 하며 무사장이라는 존재에 대한 서술은 어느 정도 있었지만 그 비중은 높지 않았고, 무사장에 대해 자세하게 서술된 것은 후속작 피를 마시는 새에서였다.
다만, 무사장의 선발 방식에 관해선 알려지지 않았다. 시우쇠가 그렇듯 무사장이 된다고 해서 특별히 능력이 강해지는 것도 아니며, (작중 표현을 따르면 시우쇠는 자신의 선민 종족에게 '''자신이 쓰는 것과 똑같은 불을 주었다.''' 즉, 탈해가 불로 정교한 영상을 만들어내는 것처럼 기교의 차이는 있을 수 있어도, 적어도 화력 면에서는 별 차이가 없다는 의미이다.) 피를 마시는 새 초반부에 탈해 머리돌이 복도에서 피범벅이 된 정우를 보고는 공포에 질려 불을 마구 휘두르는(차가운 불이었지만) 대목을 보건대 피나 폭력에 대한 공포심이 사라지지도 않는다. 정우 규리하가 바우 성주가 탈해를 무사장으로 임명했다는 식으로 언급하는 걸 보면, 그냥 성주가 임명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또 눈물을 마시는 새에서, 비형 스라블이 피라미드에서 '''살아있는''' 두억시니들을 불태우고자 '''아킨스로우와 페시론의 그 불'''을 사용하려 하는 대목을 보건대 무사장이 아니면 생물에게 불을 쓸 수 없는 것도 아니다. 단, 당시 비형이 두억시니를 '사람'으로 여겼는지에 따라 다소 해석이 갈릴 수 있다.[2]
어쩌면 비형이 구출대에 뽑힌 방식처럼 '모두 똑같은 판에 아무나 한다'[3] 식으로 직함만 주는 걸지도 모른다.
다른 도깨비와 특별히 능력 상의 차이는 없으나, 나가의 2차 확장 전쟁때 북부군에 가세한 자신을 죽이는 신화신시우쇠처럼 만일 일이 터질 경우 계곡이나 섬 하나를 '''녹여서''' 평지로 만들 수 있는 불을 싫어도 사용해야 하는 직책이다. 2차 확장 전쟁 당시의 나가들은 단신으로 군단급 병력을 태워버리는 화신 시우쇠를 보며 그럴 수 있는 녀석들 중에서 실제로 시도하는 녀석이 하나뿐이라는건 참 다행이다'라고 생각했다는데, 사실은 하나 더 있었다. 물론 제2차 대확장 전쟁에서도 무사장이 출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큰 차이점은 없지만.
이 세상에서 도깨비가 일으킨 2대 대참사로 아킨스로우 협곡과 페시론 섬의 사건을 꼽는데, 두 사건의 결정적인 차이는, 아킨스로우 협곡의 참사는 도깨비가 피를 뒤집어쓰고 폭주해서 일어난 '사고'지만, 페시론 섬은 유리 기픈골 무사장이 성주의 명을 받고 한, 일종의 '''군사 작전'''이다. 이 사건 이후로 도깨비의 성주가 나와서 중재할만한 사건이 생기면 '''무사장이 또 출동할거 같아서''' 알아서 자기들끼리 대충 협상한다고 한다.
도깨비불을 싸움에 사용하는 도깨비들이 얼마나 강력한지, 그리고 그들이 얼마나 싸움을 싫어하는지를 모두 알려주는 존재이다. 그렇기에 도깨비들이 성주 다음으로 가장 꺼리는 직업[4][5]이지만, 출두 명령이 떨어지는 일 자체가 별로 없기에[6] 쾌활한 도깨비들은 무사장이 되었다는 것에서 심각한 불행의 소지를 찾지는 않는다.
본작에 직접 등장한 무사장은 눈물을 마시는 새의 사빈 하수언, 피를 마시는 새탈해 머리돌이 있다. 그리고 작중에는 직접 등장하지는 않고 설명으로만 유리 기픈골이 잠깐 언급되었다.

2. 굽시니스트본격 제2차 세계대전 만화


이 만화에서는 베니토 무솔리니를 저렇게 부른다. 무대리에서 회사를 뛰쳐나와 피자사장이 되어서 무사장이며 '무사'장이 아니라 무'사장'이다. 일종의 언어유희.

[1] 다만 이 세계관에서 언급되는 도깨비 도시는 즈믄누리 하나뿐이므로 아무래도 좋다.[2] 정확히는 도깨비들이 불로 다른 생물을 태워 죽이지 않는 것은 '''거부감 때문에 안 하는 것'''이지 못 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게 아니다. 작중에서도 '그래야만 할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도깨비들은 얼마든지 불을 쓸 수 있다'라고 언급된다.[3] 정확히는 비형이 뽑힌 이유는 "한계선 아래쪽 생활을 경험해 본 도깨비는 아무도 없으니까 아무 도깨비나 골라 잡아서 보내도 합리적이다" 라는 이유였다. 무사장의 경우에도 '''살육을 경험해 본 도깨비는 아무도 없으니까''' 이 논리가 그대로 적용될 수도 있겠다.[4] 어쩌면 성주보다도 더 싫어하는 일일 수도 있다. 육신을 잃고 어르신이 된 도깨비는 불을 쓰지 못하기 때문에 어르신이 돼서도 그만두기가 어려운 성주와는 달리 임기가 정해져있지만, 대신 지극히 낮은 확률이지만 피를 봐야할 수도 있는 무사장 역시 꺼려지는 일이긴 매한가지다. 한계선이 방어막이 되어준 제1차 대확장 전쟁과는 달리, 라호친 정도 되는 혹한의 지역을 제외하면 대책없이 밀린 제2차 대확장 전쟁에서 시우쇠가 나타나지 않았다면 종족의 존속을 위해서라도 무사장이 나서야했을지도 모른다.[5] 단, 비형이 첫 등장부터 사빈에게 '제 일을 뺏을 셈입니까? 그럼 제가 오늘부터 무사장입니다' 라고 말하는 장면을 보아 무사장이 임무를 수행할 확률을 아주 낮게 보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6] 1,2차 대확장 전쟁에도 무사장이 출전하지 않았음을 생각하자. 근데 이런 상황에서도 출동 안 했으면 페시론 섬에서는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그런데 어쩌면, 대확장 전쟁에서는 '''진짜로 필요가 없어서''' 안 나간 거일 가능성이 있다. 1차 대확장 전쟁 때는 기온 때문에 나가들의 진격이 멈출 것을 알고 있었고, 2차 대확장 전쟁때는 사람을 상대로 불을 쓸 수 있는 도깨비는 하나만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이 즈믄누리의 믿음이면 이미 하나가 있었으니까. 혹은 반대로 출전시킬 수 없었던 상황일 가능성도 있다. 2차 대확장 전쟁은 무사장이 출격 한번으로 끝낼 수 있는 전쟁이 아니었고, 무사장이 딱히 일반적인 도깨비와 정신이 다르지 않다면 과연 무사장이 '''군대를 따라다니며''' 여러번 전투를 하는 상황을 이겨낼 수 있을지는 심히 의문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