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건설선
1. 소개
'''미완성 노선'''. 건설을 시도했지만 완전 개통에 이르지 못하고 중단된 철도 노선.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선 일본에서 수입해온 미성선未成線(みせいせん)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한다.
2. 종류
- 건설을 시작했지만 완공에 이르지 못하고 버려진 노선.(일제강점기 동해중부선[1] , 신시내티 지하철,러시아 옴스크 지하철)
- 부분개통은 시켰지만 전구간 완공시키지 못한 채로 공사가 중단되어 노선이 제 역할을 못하여 전체가 폐선당한 경우.(일제강점기 전남선, 코힌호쿠선 및 코힌난선 등 일본국유철도 민영화 당시 수많은 로컬선들)
- 부분개통을 시켜서 운행중이지만 공사를 포기한 연장구간만을 미성선으로 칭하기도 한다.(쿠루리선)
- 서류상으로만 공사한 정치철도.(박정희정권 시절의 비인선등)
- 공사까지는 이르지 못했지만 부지 확보등 실제적인 노력을 했으나 실현되지 못한 경우.(수도권 남부순환선, 나리타 신칸센, 간니치키타선)
- 일본처럼 민간에서 면허를 받아서 자력으로 철도를 건설할 수 있는 국가의 경우, 면허를 취득했으나 건설하지 못한 것도 가장 낮은 등급의 미성선으로 보기도 한다.
3. 이유
- 원래 수요가 낮지만 안이한 정책이나 정치적인 압력으로 건설을 시작하다 제정신 차리고 중단.(일본의 많은 로컬선들)
- 건설 시작 당시는 수요가 많아보였으나 건설이 질질 끄는 동안 동네가 망해서 수요가 줄어든 경우.
- 애초에 수요가 뻥튀기(보성-임성리선은 J프로젝트를 의식하고 과다하게 수요를 책정했으나 재조사 결과 수요가 빈약하여서 사업이 중단되었고 강력한 미성선 후보였으나, 현재는 착공식을 거쳐 2020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국가의 재정 파탄, 전쟁, 지방 독립등 비상사태.(일제강점기에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거의 모든 노선이 불요불급선으로 건설이 중단되고 자재는 전쟁물자로 쓰였다.)
- 주민의 격렬한 반대(나리타 신칸센은 부지도 확보해놨지만,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취소되었다.)
- 예상치 못한 난공사(큐슈의 타카치호선는 원래 타카모리역까지 연장되어 타카모리선과 연결될 예정이었으나 도중에 터널공사중에 수맥을 건드려버려서 주택 1000여채가 단수, 농작물이 모두 말라죽는 사고를 일으키고 공사가 중단되었다.)
- 사철의 경우 공사를 다 하지 못한채 파산.
4. 기타
[1] 일부역을 제외하고는 동해선으로 계승되었으며 2018년 6월 기준 한참 공사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