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합중국 유럽사령부

 

[image]
'''미합중국 유럽사령부'''
'''United States European Command'''
'''USEUCOM'''

[image]
'''역사'''
1952년 8월 1일~현재
'''분류'''
통합전투사령부
'''국가'''
[image] 미국
'''소속'''
[image] 미합중국 국방부
'''전신'''
미국 유럽 전구 (1945~1947)
'''본부'''
독일, 슈투트가르트
'''사령관'''
토드 D. 월터스 대장
1. 개요
2. 상세
3. 편제
3.1. 구성 사령부
3.2. 하위 사령부
4. 역대 사령관

[clearfix]

1. 개요


'''미합중국 유럽사령부'''
'''United States European Command; USEUCOM'''
미합중국 유럽사령부는 미합중국 국군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유럽사령부들을 총괄하는 권역별 통합전투사령부(Unified Combatant Command)이다.

2. 상세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대규모의 미군이 유럽 전역에 주둔하게 되었다. 그리고 1952년 발표된 최초의 통합전투사령부 계획에 따라 유럽 주둔 미군을 지휘할 단일 사령부로 유럽사령부가 창설되었다.
한국 전쟁 발발 이후 냉전의 위협이 커짐에 따라 미군은 기존에 주둔하던 12만 명 가량의 병력을 40만 명 이상으로 증강시켰다. 3만 5천 명의 병력과 3개 비행 전대를 배치하고 있었던 유럽 공군은 13만 6천 명의 병력과 11개의 비행단을 갖추게 되었고 지중해에 배치되어있던 6함대 소속 함선은 두 배 이상 증가해 40척 이상이 배치되었다. 유럽 육군 역시 1개의 보병 사단과 3개의 독립 연대만을 갖추고 있었지만 2개의 군단과 2개의 예비군 사단을 포함한 5개의 사단을 갖추게 되었고 이를 통합 지휘하기 위해 7군이 재창설되었다. 또한 소련의 특수전에 대항해 제10특전단을 창설하고 유럽에 배치했다.
유럽사령부의 사령관은 북대서양 조약기구 산하 유럽연합군 최고사령부의 사령관을 겸임하였고 바르샤바 조약기구에 맞서 냉전의 최전선에서 군을 지휘하게 되었다.
그러나 소련의 붕괴 이후 유럽 전선의 중요성이 떨어지고 중동 전선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유럽사령부의 전력 역시 축소되었고 특히 육군의 전력이 축소되어 기존에 배치되어있던 7군단이 해체되었고 5군단 역시 이라크 전쟁 파견 이후 해체되었다가 2020년 미 본토에서 본부만 재소집되었다.
2007년 아프리카사령부의 설립에 따라 유럽 해군과 유럽 공군이 아프리카 해군과 아프리카 공군을 겸임하게 되었다.
2020년 10월 1일 기사에 따르면 기존의 유럽 육군이 아프리카 육군/제9군과 통합되 공군과 해군의 사례처럼 유럽-아프리카 육군으로 재편성되어 유럽사령부와 아프리카사령부의 육군 구성군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현 사령관은 토드 D. 월터스 공군 대장으로 유럽-아프리카공군사령관을 맡던 중 부임했다.

3. 편제



3.1. 구성 사령부


  • 유럽 해병대 - 아프리카 해병대(United States Marine Forces Europe and Africa , MARFOREUR/AF , )

3.2. 하위 사령부


  • 유럽 특수작전사령부(Special Operations Command Europe , SOCEUR , )

4. 역대 사령관


'''사진'''
'''이름'''
'''기간'''
'''계급'''
'''복무'''
'''비고'''
[image]
매튜 리지웨이(Matthew B. Ridgway)
1952년 5월 ~ 1953년 7월
육군
대장
퇴역
[1]
[image]
알프레드 그룬터(Alfred M. Gruenther)
1953년 7월 ~ 1956년 11월
육군
대장
퇴역
[2]
[image]
로리스 노스타드(Lauris Nostard)
1956년 11월 ~ 1963년 1월
공군
대장
퇴역
[3]
[image]
리먼 렘니처(Lyman L. Lemnitzer)
1963년 1월 ~ 1969년 7월
육군
대장
퇴역
[4]
[image]
앤드류 굿패스터(Andrew J. Goodpaster)
1969년 7월 ~ 1974년 12월
육군
대장
퇴역
[5]
[image]
알렉산더 헤이그(Alexander M. Haig, Jr.)
1974년 12월 ~ 1979년 7월
육군
대장
퇴역
[6]
[image]
버나드 로저스(Bernard W. Rogers)
1979년 7월 ~ 1987년 6월
육군
대장
퇴역
[7]
[image]
존 갈빈(John R. Galvin)
1987년 6월 ~ 1992년 6월
육군
대장
퇴역
[8]
[image]
존 샬리카시빌리(John M. D. Shalikashvili)
1992년 6월 ~ 1993년 10월
육군
대장
퇴역
[9]
[image]
조지 졸완(George A. Joulwan)
1993년 10월 ~ 1997년 7월
육군
대장
퇴역
[10]
[image]
웨슬리 클라크(Wesley K. Clark, Sr.)
1997년 7월 ~ 2000년 5월
육군
대장
퇴역
[11]
[image]
조지프 랠스턴(Joseph W. Ralston)
2000년 5월 ~ 2003년 1월
공군
대장
퇴역
[12]
[image]
제임스 존스(James L. Jones)
2003년 1월 ~ 2006년 12월
해병
대장
퇴역
[13]
[image]
밴츠 크래덕(Bantz J. Craddock)
2006년 12월 ~ 2009년 7월
육군
대장
퇴역
[14]
[image]
제임스 스타브리디스(James G. Stavridis)
2009년 7월 ~ 2013년 5월
해군
대장
퇴역
[15]
[image]
필립 브리드러브(Philip M. Breedlove)
2013년 5월 ~ 2016년 5월
공군
대장
퇴역
[16]
[image]
커티스 스캐퍼로티(Curtis M. Scaparrotti)
2016년 5월 ~ 2019년 5월
육군
대장
퇴역
[17]
[image]
토드 월터스(Tod D. Wolters)
2019년 5월 ~ 현재
공군
대장
현역
[18]

[1] 1917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극동사령관 출신. 육군참모총장으로 영전.[2] 1918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유럽연합군 최고사령부 참모장 출신.[3] 1930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유럽연합군 최고사령부 항공 부사령관 출신.[4] 1920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합동참모의장 출신.[5] 1935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베트남 군사지원사령부 부사령관 출신. 퇴역 이후 재소집되어 미국육군사관학교장 역임 후 재퇴역.[6] 1947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백악관 비서실장 출신. 로널드 레이건 정부에서 국무장관 역임.[7] 1943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육군참모총장 출신.[8] 1954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남부사령관 출신.[9] 1958년 브래들리 대학교 졸업. 합동참모의장 보좌관 출신. 합동참모의장으로 영전.[10] 1961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남부사령관 출신.[11] 1962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남부사령관 출신.[12] 1965년 마이애미 대학교 졸업. 합동참모차장 출신. 불륜 논란으로 인한 합동참모의장 인준 실패 이후 유럽사령관 부임. [13] 1966년 조지타운 대학교 졸업 해병대사령관 출신. 버락 오바마 정부에서 국가안보보좌관 역임.[14] 1971년 웨스트버지니아 대학교 졸업. 남부사령관 출신.[15] 1976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남부사령관 출신.[16] 1977년 조지아 공과대학교 졸업. 유럽-아프리카 공군사령관 출신.[17] 1978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한미연합군사령관 출신.[18] 1982년 미국공군사관학교 졸업. 유럽-아프리카 공군사령관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