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니토 후아레스

 


'''멕시코 제26대 대통령
Benito Juárez'''
[image]
'''임기'''
1857년 1월 15일 ~ 1872년 7월 18일
'''국적'''
멕시코
'''신체'''
'''137cm'''[1], 60kg
'''출생일'''
1806년 3월 21일
'''출생지'''
오아하카 주 산파블로겔라타오
'''사망일'''
1872년 7월 18일 (향년 66세)
'''사망지'''
멕시코 시티
1. 개요
2. 평가
3. 여담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베니토 파블로 후아레스 가르시아(Benito Pablo Juárez García, 1806년 3월 21일 ~ 1872년 7월 18일)는 멕시코아메리카 원주민(사포텍) 출신 법률가로, 1857년부터 1864년, 1867년에서 1872년까지 멕시코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후아레스는 역대 멕시코 대통령 중 유일하게 백인이 아니었다. 한편으로 멕시코가 독립한 해가 1821년인데 불과 36년만에 26대 대통령이 되었다. 그 기간동안 멕시코가 얼마나 혼란스러웠는지 알 수 있다.
1847년부터 1852년 고향인 오아하카 주의 주지사를 역임했다. 1855년 혁명 때는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를 타도하고 후안 알바레스가 이끄는 자유당(liberales)의 임시내각에서 내무장관과 대법원장을 역임했다. 1857∼1861년 임시 대통령으로서 헌법을 제정하여 가톨릭 교회와의 정교 분리, 가톨릭 교회 재산의 몰수, 토지개혁을 하려 하였으나 대지주·가톨릭 성직자들의 반대에 부딪혀 3년 간 내란을 겪었다.
다행히 이를 진압하였으나, 그 동안 있었던 내전 때문에 외채가 가득 쌓인 멕시코가 디폴트를 행하자 1864년부터 1867년 사이에 보수파는 빚을 떼인 프랑스에 원조를 청하여 나폴레옹 3세프랑스군을 멕시코에 출병했다. 나폴레옹 3세는 막시밀리아노 1세를 괴뢰 황제로 내세우고 멕시코 제2제국을 수립하게 된다. 후아레스는 미국과의 국경 지대에 버티면서 항전을 계속하였으며, 더욱이 남북전쟁으로 외부에 신경 쓸 여력이 없던 미국이 남북전쟁이 끝난후 프랑스의 멕시코에 대한 내정간섭을 격렬하게 비판하면서 막시밀리아노 1세의 멕시코 황제 등극을 반대했고, 프랑스는 프로이센이 점점 강대해지자 멕시코에 신경을 쓸 여유가 없어졌다. 결국 미국의 지원을 받은 후아레스가 막시밀리아노의 군과 프랑스군을 물리치기 시작하기 시작했고 결국 1867년 5월 막시밀리아노 1세를 케레타로에서 사로잡아 군사재판에 붙여 6월에 총살하였다.
후아레스는 1867년 8월 전국선거와 함께 의회가 5개의 헌법 개정안을 받아들일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국민투표를 실시한다고 공포함으로써 자신의 정치경력에서 가장 중대한 실수를 저질렀다. 여론은 후아레스가 대통령 재선거에 입후보하는 것을 반대하지는 않았지만 헌법개정에는 후아레스에게 공감을 느끼던 사람들을 포함한 많은 멕시코 국민들이 즉각적이고 격렬한 반응을 보였다. 그가 제안한 개정안은 의회가 단독으로 제정한 개정안을 위헌으로 보았고 행정력을 강화하는 내용이었기 때문이다. 후아레스는 재선거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지만 행정부는 개정안에 의해 실시된 이 투표를 집계조차 하지 않음으로써 신임의 위기를 불러일으켰다. 병과 개인적인 불행(1870년 10월 후아레스는 뇌졸증을 앓았고 3개월 뒤에는 아내의 죽음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1871년 다시 입후보하기로 결심했다.
격렬한 선거운동으로 다시 대통령에 선출되었지만 많은 멕시코 국민들은 이 선거 결과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고 그에 대항해 무기를 잡았다. 후아레스는 평화를 회복하려고 노력하면서 여생의 마지막 몇 개월을 보냈으며, 1872년 심장마비로 죽었다.


2. 평가


후아레스의 정치적 부상은 그의 자유주의 사상을 영구적인 현실정치로 변화시키고, 원주민이라는 자신의 배경에 대한 사회적 통념을 극복하기 위한 계속적인 투쟁과정이었다. 20세기에 이르러서야 멕시코인은 자신들의 원주민 혈통에 자부심을 갖게 되었다.[2] 19세기의 평가는 후아레스의 비범한 능력과 업적을 강조하고 강화시켰다.
그가 시행한 국내의 개혁은 멕시코를 신식민주의의 가장 악명 높은 유물로부터 해방시켰고 프랑스에 대항한 그의 지도력은 후아레스를 멕시코의 영웅으로 만들었다.

3. 여담


[image]
[image]
멕시코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20페소 지폐와 500페소 지폐의 모델이다.
멕시코에서는 매년 3월 21일(후아레스 출생일)이 있는 주간에는 해당 주 월요일을 기념일로 정하여 쉬고 있다.
멕시코의 수도인 멕시코 시티 베누스티아노 카란사에 그의 이름을 딴 국제공항인 베니토 후아레스 국제공항이 있다. 그 외에도 멕시코의 도시 시우다드후아레스 역시 그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오아하카 주의 최대도시인 오아하카 데 후아레스도 그의 이름을 따온 것이며, 다른 방식으로는 카베사 후아레스라던지, 겔라타오도[3] 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이탈리아파시스트 독재자베니토 무솔리니의 이름은 사회주의자였던 그의 아버지가 이 베니토 후아레스의 이름을 따 붙인 것이다. 왕정이었던 당대 이탈리아에서 후아레스가 신봉했던 공화주의/자유주의 이념은 좌파 사상이었다. 하지만 무솔리니는 이름과는 달리 극우 파시스트가 된다.
키가 유난히 작은 편인데, 웬만한 단신도 140은 넘는 것에 비해 137cm밖에 되지 않는다. 이 키는 왠만한 왜소증 환자의 키와 똑같다. . 그리고 이건 인류 역사상 가장 키가 작았던 국가원수 1위다. 그리고 그가 죽여 없앤 막시밀리아노 1세는 도 아이러니하게도 그보다 '''무려 50cm나 큰''' 187cm였다. 또 심지어 멕시코 역사상 두번째로 작은 대통령인 프란시스코 마데로는 베니토 후아레스의 키 차이가 '''20cm나 큰''' 157cm였다. 참고로 멕시코 대통령 중 키가 가장 큰 대통령인 베누스티아노 카란사는 베니토 후아레스의 키 차이가 '''무려 61cm나 큰''' '''198cm'''였다.

4. 관련 문서



[1] 그리고 멕시코 대통령하고 인류 역사상 가장 키가 작은 국가원수다.[2] 어디까지나 메스티소들의 (상당히 맹목적인) 조상자랑이다. 마야계 원주민 대우는 여전히 문자 그대로 개취급이다.[3] 해당 지명을 쓰는 곳은 많다. 당장 멕시코 시티만 하더라도 빈민가 중 하나인 카베사 데 후아레스와 근처에 있는 도시철도역인 겔라타오역이 베니토 후아레스에서 따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