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프 가문

 


Die '''Welfen''' (Haus Welf)
House of Welf
1. 개요
2. 상세
3. 관련 인물
4. 함께 보기


1. 개요


프랑크 계통의 옛 가문. 독일의 유서 깊은 유력 제후 가문.
벨프 가문은 구 벨프 가문(Elder House of Welf)과 그 유산을 이은 벨프-에스테 가문(House of Welf-Este)으로 나뉘는데, 구 벨프 가문은 아를 왕국[1]을 차지한 부르군트 계와 슈바벤 계로 나뉘어 이어지다 각각 1032년과 1055년에 단절되었다.
단절된 구 벨프 가문 슈바벤 계의 유산을 외조카인 에스테 가문의 장남이 이어받아[2] 벨프-에스테 가문이 탄생했으며, 이후 바이에른 공작(1070-1139, 1156-1180), 작센 공작(1138-1139, 1142-1180), 독일 국왕(1198-1218),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등을 배출하고 18세기 영국 하노버 왕조로 이어진다.
벨프 가문이라 하면 보통 후자 쪽을 가리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 상세


벨프 가문이 전성기를 맞이한 것은 12세기 하인리히 사자공 시절이었다. 사자공은 상속과 정복, 정치력을 두루 발휘하며 바이에른 공국과 작센 공국, 그리고 슈바벤의 일부 지역을 획득하여 신성 로마 제국에서 최대의 영토를 지배하는 제후가 되었다. 그의 영지는 황제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로사의 영지보다 훨씬 넓었다.
사자공은 바르바로사 황제와 지속적인 다툼을 벌였지만 결국 황제에게 패하고 만다. 1180년 바르바로사 황제는 사자공에게 법익(法益) 피탈자(법의 보호를 박탈당한 사람, outlaw) 처벌을 내려 그의 모든 작위를 박탈하고 영지를 몰수하여 자신의 측근들에게 재분배하면서 벨프 가문에게 거의 멸문 수준의 징벌을 내린다. 이로서 벨프 가문은 사자공의 모친이 보유한 브라운슈바이크 일대의 사유지만을 보유하며, 역사 속에서 그대로 사라질 뻔 한다.
그러나 제국 내에서는 벨프 가문에 우호적인 세력과 호엔슈타우펜 가문에 적대적인 세력이 많았다. 때문에 벨프 가문은 비교적 빠르게 재기하게 된다.
바르바로사 황제가 익사로 사망한 후 그의 아들인 하인리히 6세는 강력한 정적인 사자공에게 다소 유화적인 조치를 취하여 1194년 사자공에게 내려진 추방령을 해제하고 브라운슈바이크 일대의 작은 공국을 다스리게 했다. 사자공은 고향으로 돌아와 건축과 예술을 지원하며 조용히 여생을 보내다가 1년 후인 1195년 사망하게 된다.
그리고 2년 후인 1197년, 바르바로사 황제의 유업을 이어 위대한 호엔슈타우펜 가문신성 로마 제국을 건설하려 했던 젊고 야심많은 황제 하인리히 6세가 32세라는 젊은 나이에 갑작스레 사망하게 된다. 하인리히 6세의 아들 프리드리히 2세는 3살에 불과했다. 이에 호엔슈타우펜 가문에 반대하는 세력들이 프리드리히의 나이가 너무 어리다고 주장하며 벨프 가문의 오토 4세를 독일왕(황제)으로 지지하게 된다. 반면 호엔슈타우펜 세력들은 어린 프리드리히 대신 하인리히 6세의 동생 필리프 폰 슈바벤을 독일왕(황제)으로 지지했다. 이에 양 세력이 각각의 후보를 독일왕으로 선출하면서 두 명의 대립독일왕이 탄생하게 된다.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필리프가 결국 단독 독일왕이 되었지만 곧 암살당하고 오토 4세가 단독 독일왕이 되었다. 이어 오토 4세가 교황으로부터 정식 대관을 받으면서 벨프 가문 최초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된다. 그러나 오토 4세가 황제로 즉위한 후에도 교황 및 호엔슈타우펜 가문 및 다른 제후 세력들과의 권력 다툼이 이어졌고 결국 프랑스와의 전쟁 패배를 기점으로 절정의 위세를 과시하던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압력을 받아 1215년 퇴위하고 만다.
오토 4세의 즉위로 벨프 가문이 다시 전성기를 맞는가 했으나 동맹 관계였던 영국의 존 왕을 지원하려다 프랑스의 필리프 2세에게 부빈에서 수적 우세에도 불구하고 대패하였고 이를 기회로 신성 로마 내부의 패권을 되찾기로 한 호엔슈타우펜 가문과 그 지지 세력들에게 다시 밀려 퇴위당하고 말았다. 오토 4세는 비록 황제 자리에까지 올랐으나 그의 아버지 사자공이 거의 모든 영지와 작위를 빼앗겼기 때문에 실제로 그와 벨프 가문이 가진 영지와 작위는 매우 보잘 것 없었다. 그나마 오토를 아꼈던 외삼촌인 리처드 1세가 그의 딱한 처지를 어여삐 여겨 오토에게 푸아투 백작 작위를 물려주어 체면치레를 하고 있었으나(이는 황제가 되기 이전의 일이다.), 오토가 독일왕으로 선출되고 이어 황제의 자리에 오르자 푸아투 백작위는 다시 리처드 1세에게 되돌아갔다.
1215년 오토 4세가 퇴위한 후 벨프 가문은 다시 작센 일대의 사유지를 보유한 조그마한 가문이 되었지만, 여전히 벨프 가문의 명성과 영향력은 신성 로마 제국에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결국 1235년 마인츠에서 열린 제국 의회는 벨프 가문에게 내려진 가혹한 조치를 다소 완화하여 벨프 가문이 보유하고 있던 사유지에다가 바르바로사 황제가 몰수한 구 작센 공국 영토 중 일부를 다시 환수하여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을 설치하고 벨프 가문이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위를 잇도록 했다. 비록 사자공 시절에 광대했던 작센 공국 영토에 비하면 터무니 없이 작은 영토였지만 이미 작센 공국은 바르바로사 황제에 의해 여러 제후들에게 쪼개어져 재분배되었고, 때문에 구 작센 공국 영토에는 여러 소규모 제후국들이 난립하게 되었다. 이런 구 작센 공국 영토에서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의 규모는 상당한 편이었고, 벨프 가문은 곧 이 지역에서 주도적인 영향력을 어느 정도 회복하게 되었다.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은 이후 상속을 거치며 분할과 재결합을 반복하였고, 30년 전쟁이 진행되던 1636년, 수도를 하노버로 옮기면서 '''하노버 공국'''이 되었다. 1692년에는 '''하노버 선제후국'''으로 승격되었다.
1714년 하노버 선제후인 게오르크 1세가 영국왕 조지 1세로 즉위하면서 벨프 가문은 영국 왕위를 겸하게 되었고, '''영국 하노버 왕조'''가 시작되었다.
나폴레옹 전쟁을 거친 후 1815년 빈 회의에서 벨프 가문 직계가 다스리는 지역은 하노버 왕국으로, 방계가 다스리는 지역은 브라운슈바이크 공국으로 독립되었다.

3. 관련 인물



4. 함께 보기



[1] 루돌프 1세가 888년에 상 부르군트의 왕이 되었고 931년에 루돌프 2세가 하 부르군트 대부분을 위시한 부르군트 전역의 왕이 되었다. 이를 부르군트 제2왕국이라 하며, 수도가 아를에 있었기에 아를 왕국이라고도 불렀다. 부르군트인의 나라였던 부르군트 제1왕국과는 달리 프랑크인의 나라였다.[2] 에스테 가문은 이복동생이 이어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