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급품
補給品 / Supplies
군대에서 군인들에게 주어지는 물품의 총칭. 군인이 받는 물품뿐만 아니라 군용으로 각 전투부대에 들어오는 모든 피복, 식자재, 생활용품, 탄약, 군용물자 전부를 아우르는 말이지만, 일반적으로는 군인 개개인에게 주어지는 보급품만을 뜻한다.
군대에서 쓰이는 모든 광의의 물자는 군수품이라 한다.
2020년 6월 기준
육군훈련소 입소대대나 사단 신병교육대[5] 에 처음 들어가면 보급품을 받고 몇 차례 사이즈를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이 때 좀 안 맞다 싶으면 '''무조건 손들고 나가서 바꿔야 한다.''' 순간의 갈굼을 참으면 2년이 편하다. (사이즈 안 맞아서 바꿔달라고 해도 갈굼을 받는 거에 의문이 들 수 있지만, 똥군기 문화가 남은 부대라면 신병들에게 사소한 거 요구하면서 사람들 귀찮게 하지마라며 기선제압 목적으로 짧게 갈구기도 한다.) 특히 전투화의 경우 사이즈 한번 잘못 택하면 2년을 고생할 수도 있다. 헌데 기간병들도 쓰다보면 사이즈 늘어난다는 둥 박박 우겨대니 원... 또는 입소자들끼리 맞교환 시키기도 한다. 공군기본군사훈련단의 경우는 그래도 훈련병의 자유를 보장해 주는 편이다. 바꾼다고 갈구는 편이 아니며 염연히 '''훈련병의 신체적 자유''' 중 하나다.
간부 과정은 위에 명시된 보급품 외에 아래 품목을 추가로 받는다.
여군은 위에 명시된 항목 외에 아래 품목을 추가로 받으며, 남군이 받는 몇몇 품목은 여군에 맞는 다른 것으로 대체된다. 남군들은 속옷과 내의 등을 보급받지만 여군은 보급되지 않고, 소모성 피복비라 하여 현금으로 지급된다. (그 가격으로는 물론 매우 부족하다고 한다. 생리대나 스킨•로션값은 포함되지 않는다.)
2020년 6월 기준
(해군은 창고매장형 보급소에서 보급)
간부 과정은 위에 명시된 보급품 외에 아래 품목을 추가로 받는다.
여군은 위에 명시된 항목 외에 아래 품목을 추가로 받으며, 남군이 받는 몇몇 품목은 여군에 맞는 다른 것으로 대체된다. 남군들은 속옷과 내의 등을 보급받지만 여군은 보급되지 않고 소모성 피복비라 하여 현금으로 지급된다. (그 가격으로는 물론 매우 부족하다고 한다. 생리대나 스킨•로션값은 포함되지 않는다.)
2021년 1월 기준
간부 과정은 위에 명시된 보급품 외에 아래 품목을 추가로 받는다.
여군은 위에 명시된 항목 외에 아래 품목을 추가로 받으며, 남군이 받는 몇몇 품목은 여군에 맞는 다른 것으로 대체된다. 남군들은 속옷과 내의 등을 보급받지만 여군은 보급되지 않고 소모성 피복비라 하여 현금으로 지급된다. (그 가격으로는 물론 매우 부족하다고 한다. 생리대나 스킨•로션값은 포함되지 않는다.)
해/공군에서는 오래전부터 인사계에서 영현 처리를 담당하였지만 육군에서는 전반적인 업무를 군수 파트에서 하는 바람에, 죽은 사람을 물건 취급하냐는 비판 때문에 인사계에서 처리하는 걸로 바뀌어서, 지금은 해/공군처럼 물자 소모 정도만 군수 파트에서 처리하고 그 외에는 인사계에서 처리한다고 한다.
여군 보급품에 대해서는 보급품/여군 문서로.
1. 개요
군대에서 군인들에게 주어지는 물품의 총칭. 군인이 받는 물품뿐만 아니라 군용으로 각 전투부대에 들어오는 모든 피복, 식자재, 생활용품, 탄약, 군용물자 전부를 아우르는 말이지만, 일반적으로는 군인 개개인에게 주어지는 보급품만을 뜻한다.
군대에서 쓰이는 모든 광의의 물자는 군수품이라 한다.
2. 대한민국 육군 초도보급 품목
2020년 6월 기준
2.1. 병 5주 훈련 과정
- 베레모 1개[1]
- 운동모 1개(검은색 캡모자에 육군 글자가 있는 것)
- 동계작전모 1개(검은색비니에 대한민국 육군이라고 써져 있는 것)
- 전투복 (동계전투복 2착, 하계전투복 2착)
- 팬티 (사각 4매, 드로즈형 3매)
- 런닝 (국방색 런닝(반팔) 4매, 디지털 런닝(반팔) 3매)
- 동내의 상하의 2벌
- 방한복 상의 내피(일명 깔깔이) 상의
- 방상 외피(야전상의)
- 고무링 2조
- 디지털 요대
- 양말(면 6켤레, 방한용 2켤레)
- 전투화 2켤레(기능성 2켤레)
- 동계 활동복 상하의 2벌
- 하계 활동복 상하의 2벌
- 춘추 활동복 1벌
- 세면백(치약. 칫솔. 비누+비누갑 포함)+ 바느질 세트(실+바늘)
- 세탁비누, 가루비누 - 세탁비누 보급이 줄고, 대신 가루비누 보급이 늘고 있는 형편이다.
- 면도기와 면도날 2개
- 활동화 2켤레
- 슬리퍼 1켤레[2]
- 축구화 1켤레
- 장갑(외출용, 전피장갑, 모장갑)
- 의류대(더플백)
- 수건 4개, 손수건 2개
- 군번줄(인식표)
- 휴지
- 구두약, 구둣솔
- 안면마스크[3] 1착
- 세탁망 2망
- 소중한 나의 병영일기 1권
- 손톱깍기 세트(귀이개 포함)
- 목토시, 귀덮개(동계 기준)
- 사단 신교대 또는 육군훈련소에 보관된 대여품(퇴소 및 수료시 반납)
- CS 야상 1벌
- CS 전투복 1조
- 낡은(!) 내복 1조 +낡은 활동복 추가 지급[4]
- 자대 배치 전 추가 지급 물품
- 이등병 계급장
- 사단 마크(신병교육대 한정)
2.1.1. 보급품 수령시의 유의사항
육군훈련소 입소대대나 사단 신병교육대[5] 에 처음 들어가면 보급품을 받고 몇 차례 사이즈를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이 때 좀 안 맞다 싶으면 '''무조건 손들고 나가서 바꿔야 한다.''' 순간의 갈굼을 참으면 2년이 편하다. (사이즈 안 맞아서 바꿔달라고 해도 갈굼을 받는 거에 의문이 들 수 있지만, 똥군기 문화가 남은 부대라면 신병들에게 사소한 거 요구하면서 사람들 귀찮게 하지마라며 기선제압 목적으로 짧게 갈구기도 한다.) 특히 전투화의 경우 사이즈 한번 잘못 택하면 2년을 고생할 수도 있다. 헌데 기간병들도 쓰다보면 사이즈 늘어난다는 둥 박박 우겨대니 원... 또는 입소자들끼리 맞교환 시키기도 한다. 공군기본군사훈련단의 경우는 그래도 훈련병의 자유를 보장해 주는 편이다. 바꾼다고 갈구는 편이 아니며 염연히 '''훈련병의 신체적 자유''' 중 하나다.
2.2. 장교/부사관
간부 과정은 위에 명시된 보급품 외에 아래 품목을 추가로 받는다.
- 정모 1개
- 동정복 1벌
- 감색잠바 1벌
- 와이셔츠 (하늘색) 1벌
- 우의 1개
- 넥타이 1개
- 백색장갑 1짝[6]
2.3. 여군
여군은 위에 명시된 항목 외에 아래 품목을 추가로 받으며, 남군이 받는 몇몇 품목은 여군에 맞는 다른 것으로 대체된다. 남군들은 속옷과 내의 등을 보급받지만 여군은 보급되지 않고, 소모성 피복비라 하여 현금으로 지급된다. (그 가격으로는 물론 매우 부족하다고 한다. 생리대나 스킨•로션값은 포함되지 않는다.)
- 하이힐, 단화 1짝씩
- 동스커트 1벌
- 하스커트 1벌
- 정복 바지 1벌
- 블라우스 1벌
- 무도복 내의 (흰색 티셔츠)
2.4. 사회복무요원 4주 과정
- 초도보급 품목
- 훈련소에 보관된 중고품을 사용하는 품목(퇴소 시 반납)
- 퇴소 시 지급되는 예비군복
- 전투복 1벌
- 전투화 1켤레
- 야전상의 1벌[11]
- 이름표 2개
- 개구리마크 3개
- 인식표+인식표줄
3. 대한민국 해군 초도보급 품목
2020년 6월 기준
(해군은 창고매장형 보급소에서 보급)
- 동정복 1벌
- 하정복 1벌
- 정복 코트 1벌
- 병 정모 2개 (속칭 빵모)
- 네카치프
- 흰색 머플러
- 해상병 전투복(셈브레이, 당가리)
- 디지털전투복 4벌(사계 2벌 하계 2벌)
- 디지털 야전상의 1벌
- 전투모 1개
- 동체육복 2벌
- 하체육복 2벌
- 춘추체련복 2벌
- 체육모 1개
- 비니 1개
- 전투화 2켤레
- 단화 2켤레
- 운동화 2켤레[12]
- 축구화 1켤레[13]
- 실내화 1켤레
- 가죽장갑 1켤레
- 면장갑 1켤레
- 모장갑 1켤레
- 전투장갑 1켤레
- 위장마스크 1개
- 넥워머 1개
- 귀마개 1개
- 의류대 1개[14]
- 허리띠 국방색 1개, 검정색 1개, 흰색 1개
- 동내의 1벌
- 춘추내의 1벌
- T형런닝 (흰색, 감색)
- 삼각팬티 3개 (흰색, 감색)
- 사각팬티 2개
- 드로즈 3개
- 면양말 4켤레
- 모양말 3켤레
- 면수건 4개
- 손수건 2개
- 세면주머니 1개
- 인식판 2개
- 인식표줄 1개
- 고무링 1조
- 치약 1개
- 칫솔 1개
- 손톱깎이 세트 1개[15]
- 면도기 1개
- 면도날 3~6개[16][17]
- 휴지 2롤
- 세면비누 1개
- 세탁비누 1개
- 비누곽 1개
- 가루세제 1kg[18]
- 구두약 1통
- 구두솔 1개
- 노트 1권
- 수양록 1권
- 기초군사교육단에 보관된 중고품을 사용하는 품목(퇴소 및 수료시 반납)
- 재활용 전투복 3벌
- 재활용 야전상의 1벌
- 재활용 방상내피 1벌
- 해군기초군사교육단 간부용 동체육복 1벌+병사용 구형 하체육복 1벌[19]
- 우의 1벌
3.1. 장교/부사관
간부 과정은 위에 명시된 보급품 외에 아래 품목을 추가로 받는다.
- 정모 1개
- 동정복 1벌
- 감색잠바 1벌
- 와이셔츠 (하늘색) 1벌
- 우의 1개
- 넥타이 1개
- 백색장갑 1짝[20]
3.2. 여군
여군은 위에 명시된 항목 외에 아래 품목을 추가로 받으며, 남군이 받는 몇몇 품목은 여군에 맞는 다른 것으로 대체된다. 남군들은 속옷과 내의 등을 보급받지만 여군은 보급되지 않고 소모성 피복비라 하여 현금으로 지급된다. (그 가격으로는 물론 매우 부족하다고 한다. 생리대나 스킨•로션값은 포함되지 않는다.)
- 하이힐, 단화 1짝씩
- 동스커트 1벌
- 하스커트 1벌
- 정복 바지 1벌
- 블라우스 1벌
- 무도복 내의 (흰색 티셔츠)
4. 대한민국 공군 초도보급 품목
2021년 1월 기준
- 동약정복 1벌
- 하약정복 1벌
- 약정복 코트 1벌
- 게리슨모 1개
- 디지털전투복 4벌(사계 2벌 하계 1벌+컴뱃셔츠1벌)
- 디지털 야전상의 1벌
- 전투모 1개
- 동체련복 2벌
- 하체련복 2벌
- 춘추체련복 1벌
- 체련모 1개
- 비니 1개
- 전투화 2켤레
- 단화 1켤레
- 체련화 2켤레[21]
- 축구화 1켤레[22]
- 실내화 1켤레
- 가죽장갑 1켤레
- 면장갑 1켤레
- 모장갑 1켤레
- 전투장갑 1켤레
- 위장마스크 1개
- 넥워머 1개
- 귀마개 1개
- 의류대 2개[23]
- 허리띠 국방색 1개, 감색 1개
- 약복 버클 1개
- 동내의 1벌
- 춘추내의 1벌
- T형런닝 (백색) 2벌
- 사각팬티 2개
- 드로즈 5개
- 면양말 (전투복용) 5켤레
- 모양말 5켤레
- 면수건 4개
- 손수건 1개
- 세면주머니 1개
- 인식판 2개
- 인식표줄 1개
- 고무링 1조
- 치약 1개
- 칫솔 1개
- 손톱깎이 세트 1개[24]
- 면도기 1개
- 면도날 2~4개[25][26]
- 휴지 2롤
- 세면비누 2개
- 세탁비누 1개
- 비누곽 1개
- 가루세제 1kg[27]
- 구두약 1통
- 구두솔 1개
- 노트 1권[28]
- 훈련일지(수양록) 1권[29]
- 기본군사훈련단에 보관된 중고품을 사용하는 품목(퇴소 및 수료시 반납)
- 재활용 전투복 3벌
- 재활용 야전상의 1벌
- 재활용 방상내피 1벌
- 기본군사훈련단 간부용 동체련복 1벌+병사용 구형 하체련복 1벌[30]
- 우의 1벌
4.1. 장교/부사관
간부 과정은 위에 명시된 보급품 외에 아래 품목을 추가로 받는다.
- 정모 1개
- 동정복 1벌
- 감색잠바 1벌
- 와이셔츠 (하늘색) 1벌
- 우의 1개
- 넥타이 1개
- 백색장갑 1짝[31]
4.2. 여군
여군은 위에 명시된 항목 외에 아래 품목을 추가로 받으며, 남군이 받는 몇몇 품목은 여군에 맞는 다른 것으로 대체된다. 남군들은 속옷과 내의 등을 보급받지만 여군은 보급되지 않고 소모성 피복비라 하여 현금으로 지급된다. (그 가격으로는 물론 매우 부족하다고 한다. 생리대나 스킨•로션값은 포함되지 않는다.)
- 하이힐, 단화 1짝씩
- 동스커트 1벌
- 하스커트 1벌
- 정복 바지 1벌
- 블라우스 1벌
- 무도복 내의 (흰색 티셔츠)
5. 보급품의 분류
- 1종 보급품: 주·부식류를 포함한 전투식량 등 전투 상황 및 지리적인 차이에 구애됨이 없이 대략 1일 일정한 비율로 소모되는 품목. 군인의 식생활 환경은 이 1종의 보급 상황에 좌우된다.
- 2종 보급품: 모든 피복류와 생활물자, 개인장구류, 천막류, 행정보급품, 내무생활용 보급품, 수공구 등의 품목. 위에 있는 '초도보급품'이 모두 이 2종에 들어있으며, 내무실에 들여놓을 관물대, 취사장에 올라갈 솥, 유격장에 갈 밧줄 등등, 없는 게 없을 정도.[32] 군인의 내무생활환경은 이 2종의 보급상황에 좌우된다.
- 3종 보급품: 석유, 연료, 윤활유 및 절연유류, 보존유, 액체, 압축기체, 냉각제, 해빙제, 방독제, 첨가제, 석탄 등의 품목. 주로 연료나 기기 유지에 들어가는 소모품이 들어간다. 이 3종보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비행기는 못뜨고, 차량은 못움직이고, 겨울에 추위에 덜덜 떨며 지내는 상황이 벌어진다.
- 4종 보급품: 시멘트, 철근, 각목, 합판, 못 등의 공사자재, 설치된 장비를 포함한 모든 건축자재 및 축성자재.
- 5종 보급품: 화학탄을 포함한 모든 탄약류, 폭파자재, 신관, 기폭약 등의 탄약류.
- 6종 보급품: 비군사 판매되는 개인 수요품목. 알기 쉽게 말하자면 PX에서 판매되는 품목.
- 7종 보급품: 주요 완제품, 최종결합체, 즉 각종 차량, 총포, 기계 등의 품목.
- 8종 보급품: 의무기재, 약품, 위생소모품, 의무수리 부속품 등의 품목.
- 9종 보급품: 수리부속품(의무장비 수리부속품 제외), 모든 장비의 정비지원에 소요되는 키트, 결합체를 포함한 부속 및 구성품.
- 10종 보급품: 1종에서 9종까지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물자. 사실 '군대 내부에서'쓰이는 물자는 1~9종으로 거의 다 망라되기에, 10종은 '군대 외부에 쓰이는', 즉 비군사 목적의 대민지원물자 및 자재가 대부분.
해/공군에서는 오래전부터 인사계에서 영현 처리를 담당하였지만 육군에서는 전반적인 업무를 군수 파트에서 하는 바람에, 죽은 사람을 물건 취급하냐는 비판 때문에 인사계에서 처리하는 걸로 바뀌어서, 지금은 해/공군처럼 물자 소모 정도만 군수 파트에서 처리하고 그 외에는 인사계에서 처리한다고 한다.
여군 보급품에 대해서는 보급품/여군 문서로.
[1] 전투모가 부활될 경우 베레모는 휴가, 행사용과 병행 착용한다.[2] 내구성이 너무 좋아서 아다만티움 슬리퍼, 국방부 마지막 양심이라고 우스갯소리로 불리는 물건이다.[3] 2012년 1월 이후[4] 각개전투, 유격 등 야외훈련 시 사용하며 낡은 활동복은 신교대에서 입다 이러저러한 이유로 찢어지는 경우가 있어서 그런 듯하다.[5] (구)제3야전군사령부 담당구역은 2014년까지 306보충대로, (구)제1야전군사령부 담당구역은 2016년 9월 27일까지 102보충대로 입영하는 부대였다.[6] 임관식 때 사용한다.[7] 무려 쓰리세븐제. 그 명성 그대로니 슬리퍼, 면도기와 함께 전역할때까지 챙기자.[8] 도루코 6중날 면도기. 피복샵에서 저렴하게 면도날을 구매할 수 있으니 전역할때 면도날을 가득 사들고 나오면 좋다. 사회에서 면도날 가격 보면 눈돌아간다.[9] 내피, 외피, 전투복, 내복, 활동복 등 새것을 받지 않은 모든것들은 반납대상이다.[10] 수료식이 얼마 남지 않은 날 보급품을 받았다는 사인을 할 텐데 그곳에 나와있는 모든것들은 가져가도 되는 것들이다.[11] 방상내피 는 안준다.[12] 784기부터 1켤레가 아닌 2켤레 지급.[13] 600기 후반대부터 지급 중단되었지만 783기부터 보급 재개.[14] 기수마다 단색 이기도,디지털 이기도 하다. 여튼 전역 전 모두 반납해야 한다.[15] 손톱깎이, 귀이개, 핀셋으로 구성되어 있다.[16] 도루코 6중날 면도기. 피복샵에서 저렴하게 면도날을 구매할 수 있으니 전역할때 면도날을 가득 사들고 나오면 좋다. 사회에서 면도날 가격 보면 눈돌아간다.[17] 초도지급소에 물량이 부족하면 3개씩만 주고 자대 가서 더 사라고 한다.[18] 호실에 여유분을 비치해 놓기에 필요시 더 가져갈 수도 있다. [19] 3차전형 기간 동안 입으며, 입단식 이후에는 자신의 체육복을 입는다. 어째서인지 동체육복은 간부용이 비치되어 있다.[20] 임관식 때 사용한다.[21] 784기부터 1켤레가 아닌 2켤레 지급.[22] 600기 후반대부터 지급 중단되었지만 783기부터 보급 재개.[23] 기수마다 단색 2개이기도, 단색 1개 디지털 1개이기도 하다. 여튼 전역 전 모두 반납해야 한다.[24] 손톱깎이, 귀이개, 핀셋으로 구성되어 있다.[25] 도루코 6중날 면도기. 피복샵에서 저렴하게 면도날을 구매할 수 있으니 전역할때 면도날을 가득 사들고 나오면 좋다. 사회에서 면도날 가격 보면 눈 돌아간다.[26] 초도지급소에 물량이 부족하면 3개씩만 주고 자대 가서 더 사라고 한다.[27] 호실에 여유분을 비치해 놓기에 필요시 더 가져갈 수도 있다. [28] 훈련 및 특기학교 교육 내용을 필기할 때 사용된다. 보안체계관리와 항공정보운영 특기는 교육 내용이 2급 군사기밀이기에 회수하여 세절한다.[29] 훈련단에서만 사용되며, 자대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아예 이름부터가 훈련일지다. 그리고 소대장에게 제출한다. 이건 뭐 초등학교 일기도 아니고... 아예 특기학교에 버리고 가는 사람이 대다수다.[30] 3차전형 기간 동안 입으며, 입단식 이후에는 자신의 체련복을 입는다. 어째서인지 동체련복은 간부용이 비치되어 있다.[31] 임관식 때 사용한다.[32] 못이나 전지같은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살림거리로 분류되는 물건은 몽땅 여기 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