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쌈

 


1. 음식
2. 납치혼의 다른 표현
4. 어구(漁具)의 일종


1. 음식



[image]
'''보쌈 '''
돼지고기나 기타 고기를 삶은 수육과 양념속을 소금에 절인 배추잎 또는 겉절이에 싸먹는 음식.[1] 김치와 맛의 궁합이 환상적인지라 김장을 하고 나면 곧잘 같이 먹게 되는 음식이다. 보통 족발과 보쌈은 한 묶음으로 해서 야식의 꽃으로 보는 사람들도 많다보니, 시중의 보쌈가게에서는 족발을 같이 취급한다.
본격 주객이 전도된 사례. 원래 '보쌈' 이라는 것은 절인 배추로 속을 감싸서 만드는 '''김치'''의 종류를 말한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수육과 함께 먹으면서 수육을 보쌈이라 부르고, 진짜 보쌈인 김치를 '보쌈김치'라고 따로 이름을 붙였다.[2] 즉 고기는 메인이 아니기 때문에 보쌈에 같이 내는 삶은 고기(수육)는 돼지 어느 부위라도 상관이 없다. 주로 어깨, 다리(전지, 후지), 목살 등을 쓰며 삼겹살을 내는 집도 많다.[3] 껍질을 붙여 내는지(미박) 제거하는지는 개인의 취향에 달렸다.
고기의 질(삶은 방식이나 고기 자체의 질 등)도 중요하지만 이 보쌈김치와 같이 곁들여 먹는 메뉴의 맛도 보쌈의 맛을 좌지우지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미묘하게 족발보다 비싼데, 이는 주로 사용하는 부위인 삼겹살이 다리살에 비해 비싼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김치를 담그는데 들어가는 노동력 크기 때문에 그렇다. 단순히 수육에다가 익은 김치 꺼내다 파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보쌈집에서는 보쌈김치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매일같이 김치를 담근다. 이러니 가격이 비쌀 수밖에 없다. 반면, 시중 배달 보쌈집의 태반이 비싼 보쌈김치가 아닌 그냥 겉절이에 무채를 많이 넣은 김치속, 삶은 삼겹살, 생 배추속 등 몇 가지만으로 구성하면서도 비싸게 받아먹는다. 모자라는 품질을 막국수 서비스 따위로 때우는 식이기에, 제대로 만든 보쌈김치를 만드는 보쌈을 먹으려면 일부러 찾아가야 할 정도다. 자신이 김치보다 고기를 먹기 위해 보쌈을 먹으려 한다면 집에서 고기만 삶아서 김치와 먹는 것이 훨씬 낫다.
한국의 명물 음식 중 하나로, 특히 일본에선 떡이나 파전과 더불어 유명한 한국 음식이다. 고기를 야채에 싸먹는다는 건 다른 문화권에서도 익숙하긴 하지만 그걸 손수 본인이 그때그때 일일히 하는 '쌈' 문화가 일본인의 식습관상 마음에 닿은 것 같다. 다만 역으로 손을 통한 식사를 꺼리는[4] 문화권에서는 별로 환영받지는 못하는 음식이기도 하다. 주로 미주-유럽권이 대표적.[5] 그래서 이런 지역의 현지인들에게 대접할 땐 미리 쌈을 싸두고 내놓는다고. 이는 다른 쌈 요리들도 마찬가지다.

2. 납치혼의 다른 표현


아닌 밤중에 혼자 사는 여자를 보자기에 싸서 데려왔다고 해서 보쌈이라 불리며, 이런 행위는 당연히 범죄이다.
조선에서의 보쌈은 문자 그대로의 의미만을 넘어 그 내면의 사회적 풍습을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조선은 성리학 국가로서 정실과 정조에 대한 관념이 교조적이었으며, 과부의 재가는 법적으로 금지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보쌈이라 함은 당사자간 또는 행위자와 여자의 부모간에 상호 연락이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행하는 짜고 치는 고스톱이었고, 지역 사법권의 주체인 '사또' 역시 이러한 액션에 '어쩔 수 없다.'며 눈 감아주는 방편이었던 것이다. 보쌈에 으레 붙는 수식어가 '과부 보쌈'이라는 것부터가 '아무나 납치해서 오면 된다.'는 개념이 아니라는 것을 뜻한다. 실제로 이런 보쌈을 행했다는 기록은 많지 않지만 설화로 이어져 왔다. 한두 차례 사또가 사법적 선처를 했는데, 그것이 계속 구전으로 회자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키르기스스탄에서는 보쌈이 일상화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알라 카추 문서 참조.
한국에서도 70년대 까지는 종종 있는 일이었고, 이상해를 비롯한 원로배우들 중에도 이 방법으로 결혼한 경우가 있을 정도였다. 당시엔 이게 범죄라는 인식이 없다시피해서 가능했지만 1970년대 이후로는 명백한 범죄행위가 되었다.
영화 보랏에서는 주인공 보랏파멜라 앤더슨에게 이걸 시도한다!

3. 버스 회사


안양의 유명 업체 보영운수삼영운수를 묶어서 부르는 명칭. 좀 더 늘이면 삼보영이고 이 보쌈이라는 명칭도 버스 동호인 사이에서 많이 통한다. 애당초 둘이 같은 회사이기 때문에 가능하기도 하다.[6]

4. 어구(漁具)의 일종


강이나 시내에서 민물고기를 잡는 데 쓰던 옛날 어로도구. 댕댕이덩굴로 통이나 바구니 형태로 만들었다. 안쪽에는 물고기를 유인할 미끼로 깻묵이나 된장 따위를 넣고 입구를 천으로 덮어 떨어지지 않도록 끈으로 동여맨 뒤, 천 한가운데에 물고기가 들어갈 구멍을 뚫었다. 통발과는 달리 물이 고여 잘 흐르지 않는 곳에 넣어 작은 물고기를 잡았다.
현대에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만든 보쌈을 보려면 민속박물관에나 가야 한다. 대신 넓적한 금속 그릇 따위의 안쪽에 미끼를 넣고 구멍을 낸 천이나 랩 따위로 그릇 위쪽을 덮어 끈으로 동여매고, 줄이 잔잔하게 흐르는 시내나 개천 따위에 바닥에 박아두는 식으로 변했다. 물의 흐름을 바꾸어 물고기가 더 잘 모이도록 근처에 있는 돌을 모아 둑처럼 쌓기도 한다. 미끼 냄새를 강하게 풍기려고 미끼로 쓰는 것을 천에 뚫린 구멍 주변에 문지르기도 한다. 미끼로는 깨끗한 물가에서 많이 사는 날도래 유충[7]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과거처럼 된장을 쓰는 경우는 별로 없는 듯. 이러면서 '보쌈'이라는 단어 또한 댕댕이덩굴로 만든 어로도구가 아니라 이렇게 물고기를 잡는 방법, 또는 물고기를 잡으려고 천이나 랩을 싸둔 그릇을 가리키는 것으로 의미가 바뀌었다.

[1] 삼겹살같은 요리도 김장김치에 싸서 먹기는 하지만 그것과는 다르다.[2] 그 보쌈김치는 고독한 미식가 드라마판 시즌 4 2화에 등장했다.[3] 삼겹살이 제일 맛있기는 하지만 가성비는 목살이 더 좋다.[4] 기본적으로 손으로 먹는 걸 금기하는 법이나 문화는 없지만, 품위 문제 때문에 기피하는 경우는 많이 있다.[5] 여기서 말하는 식사는 다이닝(Dining)으로, 햄버거나 감튀같은 스낵(Snack)등에는 해당되지 않는 이야기이다. 즉, 구미권에선 식사도구를 써야 할 때와 아닐 때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편인데, '''보쌈은 아무리 봐줘도 간식이라 말하기엔...''' [6] 삼영이 본사, 보영이 계열사.[7] 낚시꾼들은 날도래 유충을 흔히 '꼬네기'라고 부르는데, 원래는 '미끼'를 가리키는 강원도 사투리이다. 날도래 유충을 미끼로 많이 쓰다 보니 '꼬네기'라는 단어가 유충을 가리키는 일반명사처럼 낚시꾼들 사이에 퍼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