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사의 사자상

 

Lion of Lucerne
Lion Monument.
[image]
1. 개요
2. 의미


1. 개요


사자는 자신의 갈기를 깎아지른 절벽 아래의 은신처에 드리웠다. 그는 절벽의 살아있는 돌에서 깎아낸 사자이기 때문이다. 사자의 크기는 웅장했고, 그 자세는 고귀했다. 그 어깨에는 부러진 창이 꽂혀 있는채, 사자는 고개를 숙이고서 그 앞발로 프랑스의 백합을 지키고 있었다. 절벽에 드리운 덩쿨은 바람을 따라 흔들리고, 절벽 위에서 맑은 샘물이 흐르다 저 아래 연못으로 떨어저내렸다. 수련이 핀 연못의 부드러운 표면 위로 사자의 모습이 비쳤다.

그 주변에는 녹음이 우거졌다. 이 곳은 소음과 복잡함과 혼란에서 떨어져 차분한 숲의 구석에서 보호받고 있다. 이 사자가 죽어갈 곳으로는 예쁘장한 철제 난간을 쳐둔 소란스러운 광장의 화강암 받침대가 아니라 이곳이 걸맞았다. '''루체른의 사자는 어디에 있던 인상적일 것이다. 하지만 이곳만큼 그의 모습이 인상적일 곳도 없으리라.'''

- 마크 트웨인, 유럽 방랑기(A Tramp Abroad), 1880

1821년 덴마크의 조각가 베르텔 토르트발젠(1770~1844)이 기획하고 루카스 아혼(1789~1856)이 1824년 완성한 작품으로 스위스 루체른에 세워졌으며 1792년 8월 10일 봉기 당시 튀일리 궁을 지키다가 단 한명도 남김없이 전사한 786명의 스위스 근위대를 기리는 조각이다. 사진으로 보면 그리 커 보이지 않지만 저래봬도 '''길이 10m, 높이 6m'''에 달하는 대형 조각.
[image]
실제 크기가 얼마나 큰지 실감할 수 있는 사진. 처음 사진과 함께 보면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1]

2. 의미


사자는 죽어간 스위스 용병들을 상징하며 심장이 찔렸음에도 부르봉 왕조백합 문양이 새겨진 방패를 지키고 있는 것은 왕실에 충성스러운 용병들의 모습을 찬양하는 것이라 한다. 사자상 위에는 "HELVETIORUM FIDEI AC VIRTUTI"라는 라틴어 명문이 새겨져 있으며 그 의미는 "헬베티아(스위스)의 충성심과 용감함"이라는 뜻이라 한다.
당시 분노한 수만의 파리 군중들이 튀일리 궁으로 진격하던 시점에서 프랑스 국왕 루이 16세를 지키던 프랑스군 '''근위대'''마저 몽땅 도망간 상황이었지만 루이 16세가 고용했던 스위스 용병들은 단 한 명도 이탈하지 않고 혁명군에 맞서 왕을 지키다 전멸했다. 고용주인 루이 16세가 "그대들은 이만 철수해도 좋다"라고 이야기했음에도 이들은 끝까지 떠나지 않았다. 그리고 죽는 순간까지 루이 16세를 지켰다.
사실 혁명 정부와 군중들도 굳이 외국인 용병인 이들을 죽일 의향은 없어서 조용히 떠나면 그냥 보내줄 생각이었기에 항복부터 권했고, 그렇지 않아도 루이 16세의 뜻대로 따랐으면 살 수 있었다. 아무리 분노한 군중들이라지만 이들이 엄연히 외국인이고, 단지 왕의 경호만 담당할 뿐 지배계급이 아니라 자기들과 같은 처지에서 가난을 벗어나려고, 혹은 굶주리는 가족을 보다 못해 용병이 됐다는 것쯤은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싸운 이유는 이후 죽은 병사의 품에서 발견된 유서에서 나왔는데, 만일 그들의 신의를 저버리고 도망친다면 이후 그들의 후손들 역시 신의를 잃어 용병으로서 일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스위스 용병의 신의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코 디 로마 때 전멸한 스위스 근위대의 이야기와 함께 자주 언급되는 일화인데, 당시 스위스인들은 용병업이나 알프스 산맥에서의 숙박업 외에 특별히 할 수 있는 것이 없었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용병으로서 전장에서 돈을 벌어야만 가족을 부양할 수 있었다. 그들이 도망가고 신용을 잃어 더 이상 용병일을 할 수 없게 되는 순간 가족들의 삶이 어떻게 될지 생각한다면 도망치는 것은 불가능했다.
숫적으로 압도적인 데다 대포까지 끌고 온 군중들이 당연히 이기고 루이 16세를 끌어냈지만, 이 과정에서 용병들이 단 한 명도 항복을 하지 않고 싸운 탓에 엄청난 수의 인명피해를 내야 했다. 루이 16세를 지키기 위해 정말 단 한 명도 항복하지 않고 죽었으며 이 과정에서 군중들도 수백여 명이 죽어나갔기에 말 그대로 궁전 일대가 피로 물들었고, 이후 죽은 군중의 유족들이 몰려와 죽은 용병의 시신을 난도질하고 옷을 벗겨 거리에 매달고 반토막내기도 하고 신체부위를 잘라내서 거리에 매달아둘 정도였다. 나폴레옹이 회고하길 당시 여자들이 스위스 근위대의 '''성기'''를 잘라 매달았기에 기분이 매우 불쾌했다고 한다. 귀족이나 왕의 정규 군인도 아니고, 민중학살에 가담한 자들도 아닌 외국인 용병들이 받을 대우는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혁명의 광기들이 나폴레옹이 혁명에 질리게 만든 계기 중 하나가 아닐까 하는 추측도 있다. 나폴레옹은 국왕이 스위스 근위대를 제대로 지휘만 했다면 무도한 폭도들을 몰아낼 수 있었을 거라고 평하기도 했다. 실제로 나폴레옹은 평생 민중봉기를 두려워했고, 정권을 잡은 뒤에는 프랑스에서 최대한 혁명색을 빼내려 노력했다.
장 르누아르 감독이 제작한, 프랑스 혁명을 소재로 한 라 마르세예즈에서도 이를 다룬 장면이 나온다. 군중들이 튈르리 궁을 공격하려 하고 근위대도 도주하려 하지만, 정작 스위스 용병대는 의무를 다하겠다며 자리에 남는다. 한 근위대 장병이 '도망가라는 지휘관의 말 못들었나? 우리와 함께 몸을 피하자'라고 말하자 용병대 장병이 독일어 억양이 섞인 목소리로 ''''우리는 스위스 용병대다. 스위스 용병은 목숨이 붙어 있는 한 결코 무기를 버리지 않아. 우리는 절대 도망치거나 항복하지 않을 거다!''''라고 단호하게 다짐하는 모습도 나온다. 해당 장면
이후에도 스위스 용병들은 계약을 유지했다. 프랑스의 정부가 바뀌자 바로 그 정부에 용병을 보냈던 것이다. 뒤이어 나폴레옹과 계약을 갱신한 스위스 용병들은 러시아 원정에서 7,000명이 700명으로 줄어드는 순간까지도 전장을 이탈하지 않고, 나폴레옹이 철군한 뒤에야 함께 스위스로 돌아왔다. 나폴레옹을 배신하는 순간 받을 보복도 보복이지만, 전장을 이탈하는 순간 자손들은 용병이 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이 현실이 아닌 전설이 된 것은 스위스가 용병업 및 자국민의 타국 군대 입대를 아예 금지한 뒤의 일이다.[2]

[1] 사진에 있는 빨간색 얼룩은 2009년도 1월 말에 누군가 페인트 테러를 한 것으로, 지금은 깨끗하게 복구되었다고 한다.[2] 유일하게 바티칸에 남아 있는 스위스 근위대는 법적으론 '군대'가 아니라 '경찰' 부대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