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

 


1. 물질을 가공하는 행위
1.1. 개요
1.2. 역사
1.2.1. 고대
1.2.2. 중세
1.2.3. 근세
1.2.4. 현대
1.3. 조각을 다루는 곳
1.4. 관련 문서
2. 물질의 파편
2.1. 창작물에서
2.1.1. 조각이 스토리 진행에 영향을 주는 작품
2.2. 관련 문서
3. 법률용어
4. 내각을 조직함
5. 짐승의 발톱과 뿔
6. 조각달
7. 관련 문서


1. 물질을 가공하는 행위



1.1. 개요


彫刻 / '''Sculpture'''

조각05 (彫刻/雕刻) 「명사」 『미술』 「1」재료를 새기거나 깎아서 입체 형상을 만듦. 또는 그런 미술 분야. 주로 나무·돌·금속 따위로 만든다. ≒각06「2」·조전06(彫鐫).¶ 그는 회화보다는 조각에 소질이 있다. 「2」=조소01 (彫塑). 「참고 어휘」소조09(塑造), 조각하다/조각되다/조각적

- 표준국어대사전

그저 돌덩이를 멋지게 깎는 것이 아니야. 천국의 모습을 만드는 것이지.

- 미켈란젤로

다시 말해 조각이란 좁게는 이런저런 물질을 새기거나 깎아 만드는 행위 또는 그 가공물을 뜻하며, 폭넓게는 '조각을 하는 주체'의 기준에서 어떠한 매체를 '가공'하는 행위, 가공된 물질 등의 전반적인 것을 지칭한다.
인간에게 있어서 조각이란, 예술의 모든 시초가 그렇듯 모든 인간이 지구상에서 살아가면서 생애 한번쯤 시도해볼 수 있는 의미가 담기는 의도적인 창작 행위이다. 이러한 행위를 직업으로 삼아 살아가는 이들을 조각가라고 부른다.

'깎아내서' 원하는 모양을 만들어내는 행위다. 미술에서는 입체 표현 방법 중에서 금속이나 돌 같은 단단한 물체를 깎아내는 것만 조각으로 부르고 있다.[1] 반대로 찰흙처럼 부드러운 것을 붙여가면서 모양을 만드는 것은 '''소조'''라고 부르며, 조각과 소조를 합쳐서 함께 '''조소'''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는 혼동되거나 섞어서 사용할 때가 많은 단어.
사람들이 조각과 관련된 단어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조각과 관련된 상념을 그 예시를 들어 정리한다.
조각상은 말 그대로 조각 되어 만들어진 형태물건혹은 예술품이다.
석상, 석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조각상이다.
동상은 주로 청동, 동 소재로 주물을 통해 캐스팅기법으로 만들어진 조각상이다.
목각상은 나무, 목재를 깎아 만들어낸 조각상이다.
조각가는 미켈란젤로성 베드로 대성당을 지었을 때를 넘어서는, 더 확장된 존재가 되어가고 있다.
현대에 들어서, 조각은 이에 더해 나아가 공간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적 실존 형태를 지칭할 수 있는 말이 되어가고 있다.
뒤샹은 그래서, 변기 오브제로 유명한 화가이자, 조각가이다.
앤디 워홀은 브릴로 박스(미국 기저귀 박스) 오브제로 유명한 화가이자, 조각가이다.
현재 세상에서 제일 값비싸게 거래된 예술품의 형태는 입체 설치물의 형태를 하고 있다.

1.2. 역사


조각의 역사 또한 중요하고 매우 거대한 예술의 역사이기에 인간의 문명과 함께하며, 구체적인 사건들이 기록되어 오고 있으며, 사조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다.
여러 재료로 만들어졌지만 나무는 쉽게 썩기 때문에 남아 있는 목재조각은 적다.

1.2.1. 고대


고대에 만들어진 조각상의 적절한 예시로는 선사시대에 만들어진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가 있다. 풍요와 순산을 과장되게 표현한건지 기형적으로 가슴과 엉덩이가 발달하고 살이 찐 모습으로 조각되어 있다.
이후 고대 그리스에서는 좀 더 오늘날의 미의 기준에 근접한 비너스상이나 라오콘 군상을 만들었다.
동양에서는 많은 불상이 조각으로 만들어졌는데, 한국사에서는 삼국시대 때에 많은 반가사유상석탑들이 만들어졌다. 통일신라에서는 석굴암 본존불이 대표적이며, 불상 외에도 경주 장항리 서 오층석탑금강역사 부조 등 불교와 관련된 상이나 무열왕릉거북모양 능비 등이 남아있다.

1.2.2. 중세


서양의 성당에서 십자고상, 성상 등이 만들어졌다.
이콘 문서 참조.

1.2.3. 근세


르네상스 시대에는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레오나르도 다 빈치 등이 활약했다.

1.2.4. 현대


20세기 들어와 초현실주의, 추상 예술이 조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알베르토 자코메티, 콘스탄틴 브랑쿠시 등이 이 사조를 이끌었다. 주물 등의 공업적 캐스팅 기술, 선반, 밀링 머신과 같은 공작기계와 CNC 등을 활용한 공작 활동도 조각과 관련이 있다.

1.3. 조각을 다루는 곳


이러한 조각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연구하고 조각 예술품을 만드는 사람을 조각가라고 한다.
조각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정식적이고 학술적인 연구로서의 조각 공부는 미술대학의 조소과(Dept. of Sculpture)[2]에서 전문적으로 다룬다.

1.4. 관련 문서



2. 물질의 파편


한 물건에서 따로 떼어 내거나 떨어져 나온 작은 부분. 또는 그 단위.
화약이 등장한 이래로 셀 수 없이 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간 것 또한 폭탄 자체와 그 폭발력으로 인해 부서져 날아간 다른 물질이다. 이 용도로는 거의 '파편'이라고만 쓰는 편. 수류탄부터 항공폭탄까지 여러 종류의 인마살상용 폭탄처럼 안에 작약이 들어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냥 쇳덩이라도 충분히 고속으로 날릴 수 있다면 맞은 지점을 기점으로 파편이 사방팔방 튀는 것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마찬가지다. 전장에서 대부분의 사상자가 파편 때문에 생길 정도로 현대전에서 비중이 큰 공격 수단이며, 총탄은 거의 막지 못하는 '방탄'모를 쓰는 이유도 총알이 아니라 파편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함포가 등장한 초기에는 포탄이라고 해도 화약이 없는 무거운 쇠공일 뿐이었지만 그것이 나무 선체를 뚫고 지나가면서 뿌려지는 뾰족한 나무파편도 살상 수단이었고, 현대까지 전차를 잡기 위해 쓰이는 철갑탄도 전차 내부에 피해를 입히는 수단은 장갑재를 파괴하면서 뿌리는 파편이다.

2.1. 창작물에서


게임 등에서는 크리스탈이나 각종 광석의 조각이 나오며, 이를 모은 뒤 제련하는 과정이 있기도 하다.

2.1.1. 조각이 스토리 진행에 영향을 주는 작품


조각을 모두 모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작품들이 여럿 있는데, 그 작품은 다음과 같다.
반대로 적들이 조각을 모으고 주인공은 이를 막는 역할이다.

2.2. 관련 문서



3. 법률용어


阻却
'방해하거나 물리친다'는 의미이며, 한자로는 위와 같이 쓴다. 우리나라 법전의 한자어답게 실생활에서는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나마 가장 널리 쓰이는 경우는 위법성조각사유라는 표현이며, 어떤 사람이 범죄에 해당하는 행동을 저질렀다고 하더라도, 그럴 만한 사유가 있으면 '위법성'이 인정되지 않아서 죄가 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정당방위가 있는데, 상대방에게 중대한 상해를 가했다 하더라도(심지어 사망에 이르게 하였더라도)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였다는 납득할 만한 이유가 있다고 판단되면 죄가 되지 않는 것이다.

4. 내각을 조직함


組閣
집권당이 내각을 조직한다는 의미이다. 특히 비례대표제, 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에서는 국회에 다수의 정당이 진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연립정부가 아니면 내각 구성이 거의 불가능하다. 심각할 경우 벨기에처럼 몇 년씩 국정공백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3]

5. 짐승의 발톱과 뿔


爪角
짐승의 발톱과 뿔이라는 뜻으로, 자신을 적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6. 조각달


초승달상현달 사이, 하현달그믐달 사이에 나타나는 반달보다 얇지만 초승달이나 그믐달이라 부르기에는 두꺼운 달을 통틀어 말한다. 각각 음력 5일 전후, 음력 25일 전후로 나타난다. 시의 단골 소재이다. 2019년 4월 23일 러블리즈의 멤버 베이비소울은 이 이름으로 싱글 곡을 내기도 했다.

7. 관련 문서



[1] 금속을 용접으로 붙여서 다양한 철조 작품을 만드는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는 결국 용접할 금속을 깎는 행위를 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포함된다.[2] 졸업작품으로 사람을 모델로 한 조각상을 제출해야 한다고. 되도록 손은 몸에 붙여서, 튀어나오는 부분이 적게 해서 중간에 삑사리 나더라도 수정이 가능하게 디자인한다. 물론 제출 몇 주 전에 코를 내리까서 졸업하지 못했다는 눈물 나는 슬픈 사례도 존재한다(...).[3] 출처: 비정상회담, 줄리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