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럼 1세

 




[image]
'''이름'''
빌럼 프레데리크
(Willem Frederik)
'''출생'''
1772년 8월 24일
네덜란드 공화국 헤이그 하우스텐보스
'''사망'''
1843년 12월 12일 (71세)
프로이센 왕국 베를린
'''재위'''
나사우오라녜풀다 공
1803년 2월 25일 ~ 1806년 10월 27일
오라녜나사우 공
1차
1806년 4월 9일 ~ 1806년 10월 27일
2차
1813년 11월 20일 ~ 1815년 3월 16일
네덜란드의 왕, 룩셈부르크의 대공
1815년 3월 16일 ~ 1840년 10월 7일
림부르크의 공작
1839년 9월 5일 ~ 1840년 10월 7일
'''배우자'''
프로이센의 빌헬미나 (1791년 결혼 / 1837년 사망)
헨리에타 드울트레몬트 (귀천상혼)
'''자녀'''
빌럼 2세, 프레데리크, 폴린, 마리안느
'''아버지'''
오라녜 공 빌럼 5세
'''어머니'''
프로이센의 빌헬미나 공주
'''형제'''
루이세, 프레데리크
네덜란드 왕국의 초대 국왕.
침묵공 빌럼 1세의 방계후손으로 침묵공의 동생인 나사우딜렌부르크 백작 요한 6세의 후손[1]이며 네덜란드 연합왕국의 초대국왕이다. 오라녜나사우 왕조의 초대 국왕(1815~1840)이며, 룩셈부르크의 대공을 겸하였다. 헤이그에서 오라녜 공 빌럼 5세와 프로이센의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손녀 빌헬미나 사이에 태어났다. 1795년 프랑스가 네덜란드 공화국을 침공하자, 가족과 함께 영국으로 망명하였다. 1809년, 나폴레옹 전쟁에서 나폴레옹 1세에 대항하는 데 오스트리아군에 복무한 것 이외에는 1812년 프로이센의 궁정에서 망명생활을 하였다.1813년에 네덜란드인들이 프랑스 통치에 저항하자, 빌럼은 네덜란드 공화국의 주권적 왕자가 되면서 지방자치제 정부의 마련을 받아들였다. 1815년 네덜란드 연합 왕국(벨기에와 룩셈부르크까지 포함)의 초대 국왕이 되었다. 국왕에 오르자마자, 국가의 경제 부흥 프로그램을 세웠다. 1822년 은행을 설립하여 벨기에의 산업 확대에 힘쓰고, 1824년 네덜란드 무역 회사를 이루어 나라의 북부에서 장거리 상업을 촉진하였다. 벨기에와 네덜란드 사이에 국회에서 동등한 대표권이 주어지고 동등한 세금을 받아들이자, 벨기에인들은 네덜란드 북부와의 연합에 반대하였다. 벨기에의 자유주의와 가톨릭 당파들은 1828년에 가입된 빌럼 1세의 통치에 반대하였고, 그에게 정치와 종교적 개혁을 청원하였다. 1830년 7월에 일어난 파리 혁명에 영감을 받자, 다음 달에 브뤼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군사적 성공 후에 유럽의 열강들이 회의를 가져 1831년 1월에 벨기에를 독립국으로 선언할 것을 결정하였다.그는 벨기에가 네덜란드와 갈라지는 것에 대해 반대하였다. 네덜란드 국민들이 그의 정책에 반대하자, 그는 1840년 10월에 퇴위하고 베를린으로 망명하여 그곳에서 사망하였다.
사실 빌럼 1세는 친개신교를 표방했지만 어설픈 개혁안으로 인해 오히려 네덜란드 국내의 개신교를 분열시키기도 했다. 즉위 이듬해인 1816년에 '교회 치리 정관'을 반포하였는데 이는 영국이나 독일의 성공회, 루터교회 등을 모델로 해서 수장제와 감독제를 도입하고, 공화국 시절의 개혁교회를 완전히 국교화하는 것이었으나 이 과정에서 교단 총회 내 인사들이 모조리 낙하산으로 물갈이되는 등의 비리가 일어났으며 개편안을 지지하는 파와 반대하는 파로 갈라져 옥신각신하게 되었다. 결국 1834년 헨드리크 코크라는 목사를 주축으로 기존 국교회에서 등을 돌린 사람들이 '분리파'(Afscheiding) 혹은 '십자가 밑의 교회'라고 불리는 교단을 새로 차리는 데까지 가게 되었다.[2] 먼나라 이웃나라 네덜란드편에서는 그냥 어쩌다 목사들끼리 다퉈서 분열된 것처럼 그려졌으나 실상은 그렇게 단순화하기엔 복잡한 뒷사정이 있었다.
이 시기의 네덜란드 국가는 '네덜란드인의 피'(Wien Neêrlands Bloed)였으며 현 국가인 Het Wilhelmus로 바뀐 것은 빌헬미나 여왕 시기인 1932년부터이다.

[1] 요한 6세는 형이 네덜란드에서 오라녜나사우 가문을 창시해 활약한 것과 달리 아버지의 작위인 나사우딜렌부르크 백작을 이어갔는데 침묵공의 직계가 영국왕을 겸했던 윌리엄 3세 사후 단절되면서 침묵공과 가장 가까운 항렬인 요한 6세의 나사우딜렌부르크 계열이 네덜란드 국가원수직을 맡게 되었다.[2] 이 분리파 교단은 현대에도 '기독개혁교회'(Christelijke Gereformeerde Kerken)란 이름으로 계속 명맥을 잇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