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살무늬토기

 

[image]
1. 소개
2. 용도
3. 분포지역
4. 의의와 평가
5. 소장 박물관
6. 여담
7. 둘러보기


1. 소개


: [1] / En: Comb-pattern pottery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로써, 그릇 표면을 빗살같이 길게 이어진 무늬새기개로 누르거나 그어서 점·금·동그라미 등의 기하학무늬를 나타낸 등의 특징이 있다. 한자어명칭인 '즐문토기'에서 즐문(櫛文)은 '빗 모양 무늬'라는 뜻이다.[2] 빗살무늬를 넣은 이유에 대해서 주술적인 의미가 있기 때문이라 주장하기도 하고, 토기 이전에 사용했던 게 버드나무나 지푸라기를 엮어 만든 도구들이라 그것을 계승하는 의미에서 새겼다는 주장도 있다. 아무튼 이 같은 예술 행위가 발생 된 원인으로 수렵채집 시절에는 시간적인 여유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실제 농경시대로 가면 빗살무늬 토기보다 좀 더 발전되고 기능적인 형태지만 무늬가 없는 민무늬 토기들이 나온다.

2. 용도


토기의 용도는 그 크기에 따라 각각 달랐을 것으로 추측하는데, 현재의 과 같이 대형은 음식저장용, 중형은 취사용, 소형은 식기와 음식준비 과정에 각각 사용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인 평평한 그릇과 다르게 밑이 뾰족하므로, 이걸 어떻게 써먹었나 생각할수 있지만 땅을 파서 밑부분만 묻어 세우거나, 아궁이같은 구조물로 지탱하여 써먹은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빗살무늬는 장식과는 별개로 미끄럼 방지를 위한 기능도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3. 분포지역


한반도의 빗살무늬 토기와 유사한 형태의 토기는 핀란드, 스웨덴 남부, 북부 독일, 서북 러시아의 카렐리아 지방에서 오카 강·볼가 강 상류지방에 걸친 북유럽 일대, 우랄 산맥을 넘어서 오브 강·예니세이 강 유역 일대, 바이칼 호지역, 몽고지방, 연해주 일대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들 지역의 토기도 빗같은 무늬새기개의 끝으로 눌러서 새기고, 그어서 생긴 선으로 토기 겉면을 장식하고 있고, 토기의 기형면(器形面)에서도 공통되는 점이 많다. 따라서 한반도의 빗살무늬 토기와 동일계통의 것으로 생각된다.
한반도에서 발견된 빗살무늬 토기가 출토된 유적의 수는 135개에 달한다. 이들은 한반도 전역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는 않고 주로 해안가·강가 그리고 도서지방에서 발견된다. 크게는 대동강·한강을 포함한 서해안 지역, 낙동강을 포함한 남해안 지역, 두만강을 포함한 동해안 지역의 3개 지역군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지역군 사이에는 뚜렷한 지역차가 있다. 서해안 및 남해안 지역에서는 뾰족 밑을 기본으로 하는 첨저형 빗살무늬 토기가 분포된 반면, 동해안지역에서는 납작 밑을 기본으로 하는 평저형 빗살무늬 토기가 분포되어 있다.

4. 의의와 평가


한반도 신석기 시대 문화의 주류를 이루는 빗살무늬 토기의 성격이나 변천 과정은 한반도 신석기시대의 문화 내용이나 편년설정 규명에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반도에 번영했던 빗살무늬토기도 서기전 1세기 전후에는 농경을 배경으로 전개된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문화의 융성으로 대부분은 무문토기에 흡수, 동화되어 버렸다. 일부 도서지방 같은 곳에서는 그 문화의 전통을 보다 오래 이어가다가 점차 쇠퇴해버린 것으로 생각된다.

5. 소장 박물관


거의 원형에 가까운 빗살무늬토기를 전시하고 있는 박물관은 다음과 같다.

6. 여담


특유의 무늬 외에 밑부분이 뾰족한 걸로도 유명해서, 작붕이나 과도한 뽀샵, 성형으로 이 지나치게 뾰족한 걸 빗살무늬토기에 비유하기도 한다.
루리웹을 비롯한 일부 웹사이트에서는 '망한 게시판(사이트) 판독기'[3] 의 대명사로 쓰이고 있다. 간단히 말해서 빗살무늬토기 사진이 베스트글에 오르면 그 게시판은 망한 게시판이라는것. 대체로 망게의 특징은 별 영양가도 없는 글이 친목질이나, 글 리젠 부족 등으로 인해 베스트 글에 가는 경우가 많은데, 그 영양가 없는 글에 빗대어 빗살무늬토기 사진만 올린 글을 올린 후 '이게 베스트로 가면 이 게시판은 망한 거다' 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
모에화도 있다. 링크

7. 둘러보기




[1] (무늬 문)을 써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도 있을 수 있겠는데, 文(글월 문)에도 네이버 사전 기준 8번째 위치에 '무늬'라는 뜻이 있다.[2] 즐비(櫛比)할 때의 즐 맞다. 빗 즐(櫛).[3] 망갤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