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샤 코헨

 

'''사샤 코헨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전미선수권 여자 싱글 챔피언'''
[image]

미셸 콴
(2005)

'''사샤 코헨
(2006)'''

키미 마이즈너
(2007)




[image]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은메달 획득 당시'''
<colbgcolor=#690925> '''이름'''
알렉산드라 폴린 코헨
Alexandra Pauline Cohen[1]
'''국적'''
미국 [image]
'''출생'''
1984년 10월 26일(40세)
미국 캘리포니아 주 웨스트우드
'''신체'''
158cm
'''종목'''
피겨 스케이팅
'''소속'''
Orange Country FSC
'''은퇴'''
2010년
'''링크'''

1. 소개
2. 선수 경력
2.1. 1999-00 시즌
2.2. 2000-01 시즌
2.3. 2001-02 시즌
2.4. 2002-03 시즌
2.5. 2003-04 시즌
2.6. 2004-05 시즌
2.7. 2005-06 시즌
2.8. 2009-10 시즌
3. 평가
4. 기록
5. ISU 공인 최고점수
6. 수상 기록
7. 기타
8. 관련 문서


1. 소개


미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이다. 현역 시절 세계신기록 5회 경신, 세계선수권 3회 연속 입상 등의 화려한 전적을 가졌다.

2. 선수 경력



2.1. 1999-00 시즌


[image]
2000 전미선수권
2000 전미선수권에 시니어로 처음 출전하여 은메달을 따면서, 일시적으로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얻었다. 당시 ISU의 연령 제한 규정에는 허술한 점이 있었기 때문에, 코헨은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메달을 딴다면 시니어 세계선수권에 출전할 수 있었다.[2] 그러나 2000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6위에 그쳤다.

2.2. 2000-01 시즌


그랑프리 시리즈 2000 슈파카센 컵 5위, 2000 컵 오브 러시아 4위를 했다. 코헨은 등에 스트레스 골절 진단을 받아 2001 전미선수권에 출전하지 않았다.
2001년 6월 훈련을 재개하였다.

2.3. 2001-02 시즌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우승했다. 그랑프리 2001 스케이트 아메리카 4위, 2001 트로피 랄리크에서는 동메달을 땄다.
2002 전미선수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대표로 선발되었다.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는 최종 4위를 했다. 올림픽이 끝나고 2002 세계선수권에서도 4위를 했다.

2.4. 2002-03 시즌


이번 시즌에 타티아나 타라소바와 함께 훈련하기 시작했다.
그랑프리 시리즈 2002 스케이트 캐나다2002 트로피 랄리크에서 모두 우승하였고, 2002 컵 오브 러시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 결과로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였다.[3]
2002-03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우승하였다. 2003 전미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땄고, 2003 세계선수권에서는 작년과 동일하게 4위를 했다.

2.5. 2003-04 시즌


이 시즌이 코헨의 전성기였다.
[image]
[image]
[image]
2003 스케이트 아메리카
2003 스케이트 캐나다
2003 트로피 랄리크
이번 시즌 처음으로 그랑프리 시리즈가 신채점제로 시행되었다. 그랑프리 1차 대회였던 2003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우승하면서 기록한 쇼트 66.46점, 프리 130.89점, 총점 197.35점은 신채점제 첫 대회에서의 여자 싱글 최고점이기 때문에 모두 세계신기록으로 기록되었다. 2003 스케이트 캐나다에서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자신의 기록을 경신하며 '''71.12점'''을 기록, 여자 싱글 최초로 쇼트 70점을 돌파하였다. 총점은 '''197.60점'''을 기록해 역시 자신의 기록을 경신한 세계신기록을 세웠다. 이 대회에서도 우승한 것은 물론 2003 트로피 랄리크에서도 총점 197점대로 우승하였다.
[image]
[image]
2003-04 그랑프리 파이널
2004 세계선수권
그러나 2003-04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총점 177점대로 부진하며 은메달을 땄다. 2004 전미선수권에서도 은메달, 2004 세계선수권에서도 은메달을 따며 개인 첫 메달을 획득했다.

2.6. 2004-05 시즌


계속되는 등 부상으로 그랑프리 시리즈를 스킵하였다.
[image]
[image]
2005 전미선수권
2005 세계선수권
2005 전미선수권과 2005 세계선수권에서 모두 은메달을 땄다.

2.7. 2005-06 시즌


[image]
[image]
2005 트로피 에릭 봉파르
2006 전미선수권
2005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은메달을 땄다. 2006 전미선수권에서 우승하며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대표로 선발되었다.

2.7.1.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신채점제가 적용되는 첫 올림픽이었지만, 구채점제 시대 선수들 간에 메달 경쟁이 이뤄진 대회였다. 수구리 후미에, 안도 미키, 조아니 로셰트, 카롤리나 코스트너 등 구채점제에서 신채점제로 넘어가는 과도기 시절에 데뷔한 선수들이 각자 저마다의 이유로 제 기량을 보이지 못했기 때문이였다. 또한 김연아아사다 마오가 나이 제한으로 출전하지 못하여, 구채점제 시대 선수들간의 메달 쟁취전이 이루어졌다.
[image]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대망의 올림픽 무대에서 본인의 명작 중 하나인 다크 아이즈를 클린하며 쇼트 1위에 올랐다. 이리나 슬루츠카야[4]와 금메달 자리를 놓고 경쟁하게 되었는데, 프리 웜업 당시 아라카와 시즈카의 진로를 대놓고 방해하는 장면이 포착되었다. 프리 경기에서는 처음부터 트리플 러츠에서 넘어지는 실수를 범했다.[5] 그녀가 만약 프리도 클린했다면 당시 프리 프로그램(로미오와 줄리엣)도 명작이 되었을 가능성이 컸다. 그러나 프리 프로그램은 실수 때문에 빛을 보지 못했으며, 큰 실수 없이 경기를 펼친 아라카와 시즈카에게 밀려 은메달을 획득했다.

2.7.2. 2006 세계선수권


[image]
2006 세계선수권
올림픽이 끝나고 열린 2006 세계선수권에서도 실수를 연발하며 키미 마이즈너에게 밀려 동메달을 획득, 이 대회를 끝으로 은퇴하였다. 사샤 코헨 이후 미국 여자 싱글은 큰 침체기에 빠졌는데, 그녀를 이을 실력있는 선수들이 전무한 상황이다. 심지어 2020년 현재 시점에서도 미국을 대표할 만한 인재가 나오지 않고 있다.

2.8. 2009-10 시즌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출전을 기약하며 복귀를 선언했다. 이 시즌에는 유독 김연아를 제외하고 뛰어난 두각을 보이는 선수가 없었다. 대표적으로 아사다 마오는 올림픽 직전까지 부진을 면하지 못했고, 카롤리나 코스트너는 무릎 부상과 심리적인 문제로 흔들리고 있었다. 안도 미키는 나이가 나이인지라 전성기가 어느 정도 지난 상황이었다. 위협이 될만한 선수가 워낙 없다보니 본인의 기량을 충분히 보여주면 메달 획득도 노려볼만 했을것이다. 본래 코헨은 그랑프리 시리즈에 참가할것이라 밝혔으나 2010 전미선수권에 처음으로 출전해 모습을 보였다.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트리플 러츠- 더블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가 명백히 투풋 랜딩이었지만 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프리 스케이팅에서는 공백기가 길었던 탓[6]에 좋지 못한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4위를 기록, 최종 4위로 올림픽 대표에는 선발되지 못했다. 이 대회를 끝으로 진짜 은퇴했다.

3. 평가


[image]
스플릿+스파이럴
기계체조 선수 출신이어서 유연성이 매우 뛰어났다. 시그니쳐 기술로는 현재 사라진 스파이럴 시퀸스 동작이 있으며, 팔과 다리가 길어 단연 돋보였다. 이와 더불어 동시에 뛰어난 스피너로서 유연성을 돋보이는 여러 스핀 기술들을 선보였다.
대표작으로는 말라게냐(2002~04 시즌 쇼트 프로그램), 백조의 호수#s-1(2003-04 시즌 프리 프로그램), 다크 아이즈(2005-06 시즌 쇼트 프로그램)가 있다. 특히 말라게냐는 인생작을 넘어 구채점제에서 손꼽히는 명작 중 하나이다. 음악에 딱딱 맞아 떨어지는 안무와 힘찬 스파이럴 시퀸스가 화룡점정을 찍으며 이내 마지막 스핀에서 바로 이어지는 엔딩 포즈와 음악의 싱크로율도 완벽했다.
유연성이 강한 선수들이 대체로 갖는 특징이지만 점프 컨시가 좋지 못했으며, 러츠의 엣지가 롱엣지였다.[7] 점프에서도 투풋 랜딩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긴 공백기 후에 복귀무대였던 2010 전미선수권에서는 사실상 거의 모든 점프가 투풋 랜딩이었다.
구채점제 시대에는 흡입력이 대단했던 미셸 콴이리나 슬루츠카야에게 밀렸고, 신채점제에도 비점프 요소가 훌륭했던 아라카와 시즈카에게도 종종 밀렸다. 그녀가 스핀이나 스텝에는 강한 선수였지만 구채점제에 익숙한 선수들이 그러하듯, 스핀이나 스텝에서의 레벨을 얻는 것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해 비점프 요소를 놓치는 일이 빈번했다. 따라서 점프 실수라도 하면 그대로 점수에서 밀릴 수밖에 없었다.
또한 2002-03 그랑프리 파이널 금메달이 코헨의 유일한 A급 국제대회 금메달이다. 2002년 이전에는 자국 내에서 미셸 콴에게 밀렸고, 그나마 그녀가 메달을 얻기 시작한 2002-03 시즌 이후부터는 아라카와 시즈카에게 밀려 콩라인을 탈출하지 못했다.

4. 기록


  • 2003-04 시즌 신채점제가 그랑프리 시리즈에 도입되고 난 후부터 총 5개의 세계신기록을 세웠다.
'''여자 싱글 총점 기록'''
'''날짜'''
'''점수'''
'''대회'''
'''비고'''
2003.11.01
197.60
2003 스케이트 캐나다
2005년 11월 26일 이리나 슬루츠카야에 의해 경신.
2003.10.25
197.35
2003 스케이트 아메리카

'''여자 싱글 쇼트 기록'''
'''날짜'''
'''점수'''
'''대회'''
'''비고'''
2003.10.31
71.12
2003 스케이트 캐나다
쇼트 70점을 넘은 최초의 여자 선수.
2007년 3월 23일 김연아에 의해 경신.
2003.10.24
66.46
2003 스케이트 아메리카

'''여자 싱글 프리 기록'''
'''날짜'''
'''점수'''
'''대회'''
'''비고'''
2003.10.25
130.89
2003 스케이트 아메리카
프리 130점을 넘은 최초의 여자 선수.
2007년 3월 24일 아사다 마오에 의해 경신.

5. ISU 공인 최고점수


'''ISU 공인 최고점수'''
<colbgcolor=#690925> '''쇼트'''
71.12(2003 스케이트 캐나다)
'''프리'''
130.89(2003 스케이트 아메리카)
'''총점'''
197.60(2003 스케이트 캐나다)

6. 수상 기록


올림픽
은메달
2006 토리노
여자 싱글
세계선수권
은메달
2004 도르트문트
여자 싱글
은메달
2005 모스크바
여자 싱글
동메달
2006 캘거리
여자 싱글
그랑프리 파이널
금메달
2002-03 상트페테르부르크
여자 싱글
은메달
2003-04 콜로라도 스프링스
여자 싱글

7. 기타


  • 사샤의 성 ‘코헨’은 흔한 유대계 성씨 중 하나이며, 어머니가 우크라이나 오데사#s-1 출신 유대인 이민자이다. 때문에 러시아어에 능통하다. 잠시 사샤의 코치를 맡았던 타티아나 타라소바의 인터뷰에 따르면 자신은 러시아어를, 사샤는 영어를 말하며 서로 대화하지만 재밌게도 알아듣는 것엔 문제가 없었다고 한다.
  • 같은 유대계이자 이름도 같은 헐리우드 배우 사샤 바론 코헨이 있으나 둘은 당연히 남남이다.[8] 그러나 본인들도 이 이름에 대한 유머를 잘 인지하는지 사샤 바론 코헨은 자신의 트위터 계정 프로필 사진에 사샤 코헨의 사진을 넣는 장난을 쳤다.
  • 2016년 만 27세의 나이로 안타깝게 사망한 배우 안톤 옐친의 부모님이 사샤의 첫 피겨 스케이팅 코치였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즈음에 뉴욕타임즈25살 은퇴에 대한 올림픽 경험자의 안내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

8. 관련 문서


[1] Alexandra를 줄여서 Sasha라고 부른다.[2] 현재 시니어 나이 규정에 따른다면 일어날 수 없는 일이다. 현재 규정은 당 해 7월 1일 기준 만 15세가 넘어야 한다. 이 시기 코헨은 만 14세였다.[3] 상위 두 대회 결과 반영[4] 2005 세계선수권에서 적지 않은 나이였음에도 불구하고 트리플 러츠-트리플 룹 콤비네이션 점프를 성공시키며 우승했다.[5] 이 올림픽은 최악의 빙질로 악명이 높았다. 그녀 뿐만 아니라 종목 불문 많은 선수들이 실수했는데, 그녀의 경쟁자였던 이리나 슬루츠카야도 트리플 룹 점프에서 넘어지는 실수를 범했다. 그리고 아라카와 시즈카도 평소 잘 뛰었던 3-3 컴비네이션 점프를 하나도 뛰지 못했고, 트리플 룹을 더블링 처리하기도 했다. 즉 각 선수들의 컨시보다 당시 경기장의 빙질이 제일 문제였던 것이었다. 룹은 특히 빙질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점프이기 때문에, 선수들 사이에서 룹 점프 실수가 제법 나온 것이 증거라 할 수 있다.[6] 이 부분은 해설진도 중계 중 언급한 내용이다.[7] 구채점제 세대 선수들(미셸 콴, 이리나 슬루츠카야, 타라 리핀스키 등)은 대체로 러츠와 플립 엣지의 구분이 잘 안되었다.[8] 이쪽은 코헨이 아니라 ‘바론 코헨’이 성이다.